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불가설불가설전

자연수의 단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은 화엄경에 등장하는 자연수의 하나이다. 불경에 등장하는 수량을 나타내는 구체 명사로는 최대급이다.

정의

화엄경 제45권 아승지품(阿僧祇品) 제30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100낙차(洛叉;10만을 의미)를 1 구저(倶胝)로 한다. 구저구저(구저*구저)를 1 아유다(阿庾多)로 한다. 아유다*아유다를 1 나유타(那由他)로 한다. 나유타*나유타를 1 빈파라(頻波羅)로 한다. (중략) 불가설전*불가설전을 1 불가설불가설로 한다. 이 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을 1 불가설불가설전으로 한다. 즉, 구저에서 시작하여 그 전에 등장한 단위를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수를 표현할 말이 없을 때,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이것을 상수(上數)라 칭함)가는 식으로 하여, 불가설불가설전은 제122번째에 속하는 것으로

1불가설불가설전==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 이다. 즉, 약 10의 37간(澗)제곱이다.

Remove ads

다른 큰 수와의 비교

1무량대수는 1068, 구골은 10100이다. 불가설불가설전은 이들 기존의 큰수에 비해 훨씬 큰 수이다. 무량대수의 약 5400구(溝) 제곱이 1불가설불가설전이 된다. 1불가설불가설전의 270나유타 제곱이 약 1구골플렉스가 된다. 이것은 불가설불가설전이 1구골플렉스(10^구골)보다는 많이 작다는 것을 나타낸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