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다리꼴 공식 근사의 오차

를 생각하자. 만약
가
함수라면 (즉, 그 2차 도함수가 존재하며 연속 함수라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증명: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g_{i}\colon [0,t_{i+1}-t_{i}]\to \mathbb {R}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fe79491bc17368e6a112f14fb3f9f19f6d86882)

즉,

이다. 그러면



이다. 즉,
![{\displaystyle K=\min _{x\in [t_{0},t_{N}]}f''(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68ddf727a42fdb7237d1624b4167b9d98b36635)
![{\displaystyle L=\max _{x\in [t_{0},t_{N}]}f''(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7f14024fa32c1797925d4ce59990e3600bb7f74)
를 정의하면,

이며, 이를 두 번 적분하면

가 된다. 즉,

이다.
가 연속 함수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중간값 정리에 따라

인
가 존재한다.
특히, 만약
들이 산술 수열을 이룬다면,

가 된다. 즉,
일 때, 오차는
의 속도로 0으로 수렴한다.
특히, 만약
가 항상 양수일 때, 사다리꼴 공식 근사
는
보다 더 작으며, 반대로
가 항상 음수일 때, 사다리꼴 공식 근사
는
보다 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