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합성

불교의 개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화합성
Remove ads

화합성(和合性, 산스크리트어: sāmagrī)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사마그리(sāmagrī)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전체(totality, entirety), 빠짐없음(completeness), 특히 구성 요소가 빠짐없이 포함된 집합(a complete collection or assemblage of implements or materials), 또는 수단(means)이다.[9] 화합(和合)이라는 한자어 낱말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화목하게 어울림'이다.[10]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화합성 또는 화합은 어울림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데[11][12] 인과(因果)의 여러 가지 원인[衆緣]이 모이는 것[集會]을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다.[13][14] 즉, 모든 유위법[行]들이 인연[緣: 즉 원인]을 따라 만나고 모이는[會] 성질, 즉 연회성(緣會性)을 마치 별도의 실재하는 인 것처럼 삼은 것이다.[15][16]

간단히 정의하자면, 화합성 또는 화합은 인연화합(因緣和合) 또는 인과화합(因果和合)을 말한다.[2][17][18] 여기서 '인과화합'에서의 인과(因果)는 동시인과의 관점에서 본 모든 또는 개별 유위법을 뜻한다.[3][4] 즉, 화합성 또는 화합은 각각의 유위법을 생겨나게 하는 모든 (因: 직접적 원인이 되는 유위법)과 (緣: 간접적 원인이 되는 유위법)이, 간략히 총괄적으로 말해서, 하나가 되는[為一] 것을 말한다.[19][20] 이러한 뜻에서 화합성 또는 화합을 달리 말하여 전통적인 표현으로 동사인(同事因)이라고도 하는데 동사인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현상[事] 즉 결과[事]의 원인들[因]이 서로 일치[同]하는 것이다.[19][20] 즉, 화합성 또는 화합은 각각의 유위법소작지(所作支: 형성요소, 구성요소)들이 누락되지도 않고 또한 이지러져 있지도 않을 때 즉 빠짐없을[completeness] 때 이러한 분위(分位: 측면, 국면, 양태, 단계, aspect, phase)를 마치 실재하는 (法)인 것처럼 가립(假立)한 것이다.[11][12]

Remove ads

정의

현대의 학자들에 따르면 인도불교유식학의 역사는 크게 3기로 나뉘는데, 제1기는 미륵(彌勒)과 무착(無着)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世親)의 유식학이고, 제3기는 호법(護法)과 안혜(安慧) 등의 10대 논사유식학이다.[21]

아래 단락들은 이러한 구분에 의거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해당 유식학 논서에서 나타나는 화합성 또는 화합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유가사지론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대승오온론·광오온론

대승백법명문론·해

성유식론

Remove ads

참고 문헌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44, T.1614). 대승백법명문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4(17-808), T.1614(31-855).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K.619, T.1613). 대승광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9(17-641), T.1613(31-85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6, T.1605).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6(16-228), T.1606(31-694).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6, T.1562). 아비달마순정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6(27-680), T.1562(29-32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영어)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Institute of Indology and Tamil Studies, Cologne University (www.sanskrit-lexicon.uni-koeln.de). |title=, |출판사=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T.1613).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2).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