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사회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좌파 정당들의 연맹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Remove ads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영어: Socialist International, 약칭 SI)은 1951년사회민주당 간의 국제 교류 촉진을 위해 설치된 중도좌파 기구이다. 소속 조직의 성향의 대다수는 사회민주주의, 개혁적 사회주의 제3의 길이며, 소수는 민주사회주의이다.[1]

간략 정보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Socialist International, 결성 ...

역사

1951년 6월 30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첫번째 총회를 열고 프랑크부르트 선언을 발표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코민포름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를 비난하며 미국영국자본주의제국주의를 지지, 친서방 정책을 천명했다. 그들은 공익이 우선되는 민주적이고 새로운 자본주의 체제가 열릴 것이라 굳게 믿었다.[2] 그러나 1973년 미국에 사주로 칠레에서 쿠데타가 발생하고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대량 학살이 자행되면서 과거의 친서방 정책을 수정했다. 프랑수아 미테랑이 신임 회장이 된 이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친서방, 친자본주의 노선을 완전히 폐기하고 반제국주의 노선에 가까워졌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기존의 친서방, 친자본주의 노선으로 회귀했고, 1990년대에는 사회민주당에서 제3의 길이 인기를 끌면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는 중도우파 성격의 정당이 가입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에 미국의 제국주의에 반대하던 라틴아메리카의 사회민주당들은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을 떠나 상파울루 포럼 창립에 참여했다. 2013년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을 주도하던 당 중 하나였던 독일 사회민주당이 따로 떨어져 나가 진보동맹을 세우면서 다시 한번 더 분열되었다. 2019년 알제리 반정부시위의 결과로 국민해방전선이 추방되면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축소되었다.

Remove ads

역대 의장 및 총회 개최지

역대 회장

총회 개최지

  1. 서독의 기 서독 프랑크푸르트, 1951년
  2.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밀라노, 1952년
  3.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53년
  4. 영국의 기 영국 런던, 1955년
  5.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 1957년
  6. 서독의 기 서독 함부르크, 1959년
  7.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로마, 1961년
  8.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1963년
  9. 벨기에의 기 벨기에 브뤼셀, 1964년
  10.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66년
  11. 영국의 기 영국 이스트본, 1969년
  12.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 1972년
  13. 스위스의 기 스위스 제네바, 1976년
  14. 캐나다의 기 캐나다 밴쿠버, 1978년
  1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드리드, 1980년
  16.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알부페이라, 1983년
  17. 페루의 기 페루 리마, 1986년
  18.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톡홀름, 1989년
  19. 독일의 기 독일 베를린, 1992년
  20. 미국의 기 미국 뉴욕, 1996년
  21. 프랑스의 기 프랑스 파리, 1999년
  22. 브라질의 기 브라질 상파울루, 2003년
  23. 그리스의 기 그리스 아테네, 2008년
  24.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2012년
  25.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2017년

정회원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알바니아 사회당집권
알제리의 기 알제리사회주의세력전선비집권
안도라의 기 안도라사회민주당비집권
앙골라의 기 앙골라앙골라 해방인민운동집권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 혁명 연맹연립 내각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급진시민동맹연립 내각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사회당비집권
아루바의 기 아루바대중선거운동집권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비집권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비집권
{{{1}}}}}{{bar{{{3}}}|{{{1}}}}}바베이도스 노동당비집권
벨기에의 기 벨기에플랑드르 사회당비집권
벨기에의 기 벨기에사회당집권(연립 내각)
베냉의 기 베냉사회민주당비집권'민주역동 동맹'의 일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독립사회민주동맹집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집권
브라질의 기 브라질민주노동당집권(연립 내각)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불가리아 사회민주당비집권'불가리아 연합'의 일부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불가리아 사회당비집권'불가리아 연합'의 일부
부르키나파소의 기 부르키나파소민주진보당/사회당비집권
카메룬의 기 카메룬사회민주당비집권
캐나다의 기 캐나다신민주당비집권
카보베르데의 기 카보베르데케이프베르데 독립 아프리카당집권
칠레의 기 칠레칠레 사회당비집권
칠레의 기 칠레사회민주급진당비집권
칠레의 기 칠레민주당비집권
콜롬비아의 기 콜롬비아콜롬비아 자유당비집권
코트디부아르의 기 코트디부아르코트디부아르 인민 전선집권
코스타리카의 기 코스타리카자유국민당집권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비집권
퀴라소의 기 퀴라소신 앤틸리스운동비집권
키프로스의 기 키프로스사회민주운동집권(연립 내각)
체코의 기 체코체코 사회민주당비집권
덴마크의 기 덴마크사회민주당비집권
도미니카 공화국의 기 도미니카 공화국도미니카 혁명당비집권'한나라동맹'의 일부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민주좌파당집권'빠이스 동맹'의 일부
이집트의 기 이집트민주국민당집권
적도 기니의 기 적도 기니사회민주연대비집권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사회민주당집권
핀란드의 기 핀란드핀란드 사회민주당집권
프랑스의 기 프랑스사회당비집권
독일의 기 독일독일 사회민주당연립 집권
가나의 기 가나민주국민회의집권
그리스의 기 그리스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비집권
과테말라의 기 과테말라희망국민연대집권
기니의 기 기니기니인민연합비집권지난 선거를 보이콧함에 따라 의석 없음
아이티의 기 아이티아이티 사회민주융합집권 (연정 구성)
헝가리의 기 헝가리헝가리 사회당비집권
헝가리의 기 헝가리헝가리 사회민주당집권헝가리 사회당과 연정 구성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사회민주동맹집권 (연립 내각)
이라크의 기 이라크쿠르디스탄 애국 동맹집권(연립 내각)'쿠르디스탄 민주 애국 동맹'의 일부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노동당비집권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이스라엘 노동당비집권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신운동-매레츠비집권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좌파민주당비집권민주당의 일부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민주좌파비집권원외정당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사회주의자들비집권원외정당
자메이카의 기 자메이카인민국가당비집권
일본의 기 일본사회민주당비집권
레바논의 기 레바논진보사회당집권 (연립 내각)'3월 14일 동맹'의 일부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라트비아 사회민주노동당비집권원외정당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비집권
룩셈부르크의 기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 사회노동당집권 (연립 내각)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마케도니아마케도니아 사회민주동맹비집권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민주행동당비집권'파키스탄 라크얏'의 일부
말리의 기 말리말리 민주동맹집권'민주진보동맹'의 일부
말리의 기 말리말리 연합비집권'민주공화전선'의 일부
몰타의 기 몰타노동당집권
모리타니의 기 모리타니민주전선연합비집권
모리셔스의 기 모리셔스모리셔스 투쟁운동집권'MMM-MSM 동맹'의 일부
모리셔스의 기 모리셔스모리셔스 노동당집권'사회동맹'의 일부
멕시코의 기 멕시코민주혁명당비집권'멕시코동맹'의 일부
멕시코의 기 멕시코제도혁명당비집권'멕시코동맹'의 일부
몽골의 기 몽골몽골인민당집권
몬테네그로의 기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민주당집권 (연립 내각)'유럽 몬테네그로 연정'의 일부
몬테네그로의 기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민주사회당집권 (연립 내각)'유럽 몬테네그로 연정'의 일부
모로코의 기 모로코인민세력 사회연합집권 (연립 내각)
모잠비크의 기 모잠비크모잠비크 해방전선집권
나미비아의 기 나미비아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집권
네팔의 기 네팔네팔의회당집권 (연립 내각)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노동당비집권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뉴질랜드 노동당집권
니카라과의 기 니카라과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집권
니제르의 기 니제르나이지리아 민주사회당비집권
북아일랜드사회민주노동당원외정당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노르웨이 노동당비집권 (연립 내각)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파키스탄 인민당비집권
파나마의 기 파나마민주혁명당비집권
파라과이의 기 파라과이2월혁명당집권'변화를 위한 애국 동맹'의 일부
페루의 기 페루아메리카 인민혁명동맹집권 (연립 내각)
폴란드의 기 폴란드민주좌파동맹비집권
폴란드의 기 폴란드노동동맹비집권원외 정당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사회당집권
푸에르토리코의 기 푸에르토리코푸에르토리코 독립당비집권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사회민주당집권
산마리노의 기 산마리노사회민주당비집권
세네갈의 기 세네갈세네갈 사회당비집권지난 선거 보이콧으로 의석 없음.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민주당집권 (연립 내각)'유럽 세르비아'의 일부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사회민주당원외 정당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방향 - 사회민주집권 (연립 내각)
슬로베니아의 기 슬로베니아사회민주당집권 (연립 내각)
스페인의 기 스페인스페인 사회노동당집권
스웨덴의 기 스웨덴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집권
스위스의 기 스위스스위스 사회민주당집권 (연립 내각)
튀니지의 기 튀니지헌법민주연합집권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공화인민당비집권
영국의 기 영국노동당비집권
미국의 기 미국미국 민주사회당대표 없음선거용 정당 아님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우루과이 사회당집권'광역 전선'의 일부
우루과이의 기 우루과이신공간집권'광역 전선'의 일부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민주 행동비집권
베네수엘라의 기 베네수엘라사회주의운동비집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프리카 국민회의집권
짐바브웨의 기 짐바브웨민주변화운동 - 창기라이집권 (연립 내각)

자문 정당

옵저버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