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삼화고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삼화고속(三和高速)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경기도시외버스, 고속버스, 전세버스 등을 운행하는 업체로 1966년에 설립되었다. 본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에 있다.[1]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연혁

  • 1966년 3월 12일: 삼화교통 주식회사 설립
  • 1970년 2월 23일: 고속버스 운송면허 취득
  • 1973년 1월 1일: 금호그룹 출범과 동시에 금호 계열사에서 제외
  • 1973년 9월 6일: 서울 - 부평 시외버스 운행
  • 1975년 12월 20일: 용현동 인천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운행
  • 1977년 12월 15일: 인천발 3개 노선 (천안, 아산, 대전)과 대전발 3개 노선 (목포, 마산, 울산) 신설
  • 1980년 9월 13일: 본사를 코리아나호텔로 이전
  • 1984년 12월 24일: 대구발 3개 노선 (동서울, 청주, 전주) 신설
  • 1987년 12월 4일: 동서울 - 대구 고속버스 운행
  • 1988년 2월 19일: 인천발 3개 노선 (광주, 대구, 부산) 신설
  • 1988년 5월 17일: 해외관광 사업 영업 개시
  • 1989년 7월 26일: 서울역 - 계산동 시외버스 신설
  • 1992년 3월 6일: 서울역 - 서인천 시외버스 신설
  • 1992년 10월 23일: 우등 고속버스 운행개시
  • 1993년 2월 23일 관광 차고지 준공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1993년 9월 7일: 회사명을 삼화교통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삼화고속으로 변경
  • 1997년 2월 1일: 육군사관학교 관광사업 개시
  • 1997년 3월 6일: 도시형버스 161번을 삼화상운에 매각하고, 마을버스 7번,7-2번을 삼하운수로 분리
  • 1997년 4월 1일: 김포시 애기봉 안보관광사업 시작
  • 1997년 7월 1일: 제3땅굴 안보관광사업 개시
  • 1997년 11월 20일: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 관교동으로 이전
  • 1999년 6월 1일: 인천 - 여의도역 시외버스 신설
  • 2000년 10월 31일: 인천 - 남원 고속버스 신설
  • 2001년 9월 30일: 국내 (전세) 영업 매각.
  • 2002년 3월 25일: 수원 - 목포 고속버스 신설
  • 2003년 4월 1일: 서울역 - 인천 간 시외버스를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
  • 2004년 4월 1일: 계열사 조일제지 (현 아세아제지 시화공장[3])를 금호그룹으로 매각
  • 2004년 12월 17일: 연수동 - 서울역 시외버스가 1300번 광역버스로 전환[4]
  • 2005년 1월 12일: 부평역 - 양재역 시외버스가 9500번 광역버스로 전환[5]
  • 2005년 8월 20일: 인천터미널 - 서울역 시외버스가 1400번 광역버스로 전환[6]
  • 2005년 12월 17일: 광역버스 1500번과 1600번 개통[7][8]
  • 2006년 4월 12일: 광역버스 1101번 개통[9]
  • 2006년 5월 25일: 시외버스 송도국제도시 - 강남고속버스터미널 노선(9900번)이 신설되었다.[10]
  • 2006년 5월 27일: 광역버스 1301번 개통[11]
  • 2006년 6월 16일: 광역버스 1601번 개통[12]
  • 2006년 9월 2일: 광역버스 2500번 개통[13]
  • 2006년 10월 26일: 시외버스 가좌동 - 양재역 노선(9800번)이 신설되었다.[14]
  • 2006년 11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관교동 15 (인천종합버스터미널)에 지점 개설.
  • 2006년 12월 2일: 광역버스 2300번 개통[15]
  • 2007년 5월 10일: 광역버스 9501번 개통[16]
  • 2007년 7월 25일: 시외버스 9802번 개통[17]
  • 2007년 8월 30일: 광역버스 2400번 개통[18]
  • 2007년 9월 13일: 광역버스 2100번 개통[19]
  • 2007년 9월 13일: 시외버스 9901번 개통[20]
  • 2007년 10월 10일: 시외버스 9803번 개통[21]
  • 2007년 10월 16일: 시외버스 9902번 개통[22]
  • 2008년 1월 23일: 시외버스 9900번과 9802번을 통합하여 9900번으로 변경하였다.[23]
  • 2008년 5월 2일: 시외버스 9803번이 폐선되어 9801번과 통합되었다.[24]
  • 2008년 9월 1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189 (수원종합버스터미널)에 지점 개설.
  • 2008년 12월 23일: 자회사 공항고속과 그 노선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 센트럴시티 ~ 인천국제공항[25])을 KD운송그룹대원공항 (대원교통)에 매각
  • 2009년 12월 26일: 삼화고속 지하 신촌역 · 서울역행 노선 중 5개 노선 변경 (신촌로 - 양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에 따른 정류소 신설, 이전 · 변경)
  • 2010년 6월 1일: 시외버스 9900번이 9900번과 9802번으로 재분리되었다.[26] 광역버스 7000번이 신설되었다.[27]
  • 2011년 2월 22일: 9510번 광역버스 개통[28]
  • 2011년 3월 10일: 9502번 시외버스 개통[29]
  • 2011년 4월: 4월 6일에 9801번이,[30] 4월 8일에 9802번이,[31] 4월 13일에 9800번이,[32] 4월 20일에 9902번이 각각 시외버스에서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되었다.[33]
  • 2011년 4월 23일: 광역버스 2100번과 2400번이 폐선되었다.[34][35]
  • 2011년 5월 1일: 고속버스 대전 - 마산 노선을 중부고속에 매각
  • 2011년 6월 1일: 시외버스 9900번, 9901번 2개 노선이 통합하여 9901번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36]
  • 2011년 6월 18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으로 이전하였다[1].
  • 2011년 7월 1일: 광역버스 1600번 노선이 폐선되었다.[37]
  • 2011년 9월 16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61-1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442-15, 부평대로 우체국 11층으로 이전.
  • 2011년 10월 23일: 광역버스 1301번, 1601번, 2300번, 9902번 노선이 운행 중단되었다.[38] 현재 1301번은 천지교통이, 1601번은 신강교통이 운행한다.
  • 2011년 11월 4일: 광역버스 9801번과 9802번이 9802번으로 통합되었다.[39]
  • 2012년 5월 5일: 광역버스 7000번 노선이 폐선되었다.[40]
  • 2012년 6월 1일: 광역버스 1100번, 1101번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2년 6월 2일: 본점을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88 (부평동)에서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418번길 70 (신흥동3가)로 이전하였다.
  • 2012년 12월 1일: 고속버스, 시외버스 노선 중 인천속초, 남원, 수원순천, 대전울산 노선 KD운송그룹에 매각
  • 2013년 6월 13일: 시외버스 노선 중 인천천안 · 아산, 부천 · 인천공주 노선 동양고속에 매각
  • 2014년 8월 25일: 광역버스 9510번이 선진여객의 9300번에 통합되었다.[41]
  • 2015년 1월 1일: 광역버스 9800번이 폐선되었다.[42]
  • 2015년 4월 1일: 광역버스 2500번 강화교통으로 노선 양도[43]
  • 2015년 6월 16일: 광역버스 9501번, 9802번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5년 7월 21일: 시외버스 9502번 김포운수로 양도 및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44]
  • 2015년 11월 6일: 광역버스 1300번 천지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6년 3월 5일: 광역버스 1200번 신동아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6년 4월 29일: 부천 - 연무대 고속버스 신설
  • 2016년 8월 1일: 광역버스 9500번 부일운수(현 세운교통)로 노선 양도
  • 2016년 12월 6일: 광역버스 1400번 세운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4월 16일: 광역버스 1000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6월 1일: 광역버스 1501번 신설
  • 2017년 6월 10일: 광역버스 1501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9월 6일: 광역버스 1500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Remove ads

현황

2021년 1월 기준이다.[45]

자세한 정보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

운행 노선

요약
관점

인천종합버스터미널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을 주로 운행하며, 인천대전, 서울금산 노선을 단독으로 운행한다. 서울에서는 주로 경부축 노선에 들어가고, 호남축 노선은 서울남원 노선만 운행한다.

고속버스

2019년 4월 기준이다.[46]

경부선

자세한 정보 운행 노선, 공동 운행사 ...

호남선

자세한 정보 운행 노선, 공동 운행사 ...


남해선

자세한 정보 운행 노선, 공동 운행사 ...

경인선

자세한 정보 운행 노선, 공동 운행사 ...

88선

자세한 정보 운행 노선, 공동 운행사 ...
Remove ads

이전 보유 노선

Remove ads

관할 면허지

광역시에 고속버스 차적지를 둘 수 없는 관련 법에 따라, 면허(차적)지는 경기도 수원시로 되어 있다. 고속버스 차량 내에는 주 사무소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185-23번지로 부평역 북부 광장 인근에 있는 사무소다. 수원종합버스터미널의 주소가 찍힌 차량도 있다.

운행 차량

현대자동차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레스티지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레스티지

기아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썬샤인

회사 현황

갤러리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