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상곡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상곡군(上谷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전국·진

전한

유주자사부에 속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36,008호, 117,762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5현이다. 치소는 진나라 시절과 마찬가지로 저양현이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군의 이름을 삭조(朔調)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전한, 신 ...

후한~위진

8성 10,352호 51,204명을 거느렸다.[4] 진 혜제시기인 태강연간에 일부지역이 광녕군(廣寗郡)으로 분리되었고 일부 현들이 폐지됨에 따라 서진대에는 저양현, 거용현의 2현과 1,070호만을 거느린 작은 군이 되었다.[5]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북위

태화연간에 환주 동부지역이 연주(燕州)로 분리됨에 따라 연주에 속하게 되었으나 효창연간에 속현까지 완전히 폐지되었다. 동위가 성립된 이후인 천평연간에 복구되었다.[8]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581년(수문제 개황 원년) 상곡군 지역에 역주(易州)를 신설했다가 대업북제가 폐지했던 탁군의 폐고안현(廢故安縣)이 있던 지금의 바오딩 시 이 현일대로 치소가 옮겨진 상태에서 재설치 되었으며 북제, 북주가 폐지했던 현과 수문제가 요서에서 이치한 현들을 속현으로 두게 되었다. 6현 38,700호를 거느렸다.[9]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두건덕을 토벌한 뒤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수나라의 옛 상곡군이 역주(易州)로 바뀌었고 역현, 래수현, 영락현, 수성현, 내현의 5개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급현이 북의주(北義州)로 승격되었으나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에 북의주가 폐지되면서 다시 본주의 속현이 되었다. 735년(당 현종 개원 23년) 오회, 누정, 판성의 3개현이 신설되었고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에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상곡군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758년(당 현종 건원 원년)에 주현제로 복귀되면서 다시 역주로 바뀌었다. 과거 5현 12,820호 63,457명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 신설된 3개현을 포함해 8개현을 거느리고 인구또한 44,230호 258,779명으로 늘었다.[10]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군수·태수

  • 반장(班長)
  • 이광 (경제 시기)
  • 학현(? ~ 기원전 121년)
  • 장유(張孺)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