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군다 디비시온 2010-11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군다 디비시온 2010-11(스페인어: Segunda División de España 2010-11, 협찬사의 이름을 따 리가 아델란테로도 불림)는 스페인 2부 리그의 출범 이래 80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2010년 8월 27일에 개막하여 2011년 6월 4일에 정규 시즌이 끝났고, 2011년 6월 18일에 승격 플레이오프 결선으로 막을 내렸다.
시즌 첫 골의 주인공은 바야돌리드의 하비 게라로 비야레알 B를 상대로 경기 시작 6분 만에 득점을 올렸다. 첫 퇴장의 불명예는 비야레알 B의 에르난 페레스에게 돌아갔는데, 그는 바야돌리드와의 개막전에서 퇴장당했다. 첫 해트트릭의 주인공은 알코르콘의 키니로, 지로나를 상대로 기록했다.
Remove ads
참가 구단
요약
관점
참가 구단의 변동
바야돌리드, 테네리페, 그리고 헤레스는 전 시즌에 라 리가에서 강등당했다. 바야돌리드는 3년 만에, 테네리페와 헤레스는 각각 1년 만에 1부 리그에서 강등당했다. 반면 레알 소시에다드는 3년 만에 1부 리그 승격을 이룩했고, 레반테는 2년 만에, 그리고 에르쿨레스는 구단 역사상 최장 기간인 14년 만의 1부 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된 구단들은 카스테욘, 레알 우니온, 무르시아, 그리고 카디스였다. 이 네 구단을 대신해 세군다 디비시온 B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한 네 구단이 대신했다: 그라나다 (우승), 폰페라디나 (준우승), 바르셀로나 B, 그리고 알코르콘 (각각 플레이오프전 승자)
구단별 구장 및 위치
다음 구단들이 2010-11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자치주별 구단
구단 인사 및 협찬사
감독 교체
Remove ads
리그 순위
요약
관점
최종 순위
출처: FBref - 2010-2011 2부 통계
순위 결정방식: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C) 우승; (P) 승격; (R) 강등.
비고:
순위 결정방식: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C) 우승; (P) 승격; (R) 강등.
비고:
순위 변동표
출처: LFP 리가 아델란테
Remove ads
결과
Source: FBref - 2010-2011 세군다 통계
Remove ads
승격 플레이오프전
요약
관점
이 시즌을 기점으로 새 방식의 승격 플레이오프전(스페인어: Promoción de ascenso)이 도입되어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게 되었다.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 제외)이 승격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했다. 5위 구단은 4위를, 6위 구단은 3위를 상대했다. 준플레이오프 1차전은 2011년 6월 8일과 9일에 진행되었고, 높은 순위를 기록한 구단의 안방에서 2011년 6월 11일과 12일에 2차전이 진행되었다. 결선 플레이오프전도 2경기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11년 6월 15일에, 2차전은 2011년 6월 18일에 진행되었고, 이 경우에도 순위가 더 높은 구단이 2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다.[2] 엘체와 그라나다가 결선에 진출하였는데, 그라나다가 결선에서의 승리로 35년 만에 라 리가로 복귀했는데, 이 중 26시즌을 세군다 디비시온 B와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보냈다. 셀타 비고와 바야돌리드는 준플레이오프전에서 탈락했다. 바르셀로나 B는 바르셀로나의 2군임에 따라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할 자격이 없었다.[1]
대진표
준플레이오프전
- 1차전
2011년 6월 8일 | 셀타 비고 | 1 – 0 | 그라나다 | 비고 | ||
21:00 CEST | 미추 ![]() |
리포트 | 경기장: 발라이도스 관중 수: 22,000 심판: 카를로스 델 세로 그란데 | |||
2011년 6월 9일 | 바야돌리드 | 1 – 0 | 엘체 | 바야돌리드 | ||
21:00 CEST | 게라 ![]() |
리포트 | 경기장: 호세 소리야 관중 수: 25,000 심판: 페드로 헤수스 페레스 몬테로 | |||
- 2차전
2011년 6월 11일 | 그라나다 | 1 – 0 (연) (합계 1 – 1) (5 – 4 승부차기) |
셀타 비고 | 그라나다 | ||
21:00 CEST | 오레야나 ![]() |
리포트 | 경기장: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 관중 수: 16,000 심판: 호세 루이스 레스마 로페스 | |||
승부차기 | ||||||
오레야나 ![]() 칼보 ![]() 아벨 ![]() 베니테스 ![]() 페레스 ![]() 로베르토 ![]() |
![]() ![]() ![]() ![]() ![]() ![]() | |||||
2011년 6월 12일 | 엘체 | 3 – 1 (합계 3 – 2) |
바야돌리드 | 알리칸테 | ||
21:00 CEST | 알바카르 ![]() 앙헬 ![]() |
리포트 | ![]() |
경기장: 마누엘 마르티네스 발레로 관중 수: 25,000 심판: 훌리오 아모에도 차스 | ||
결선 플레이오프전
- 1차전
2011년 6월 15일 | 그라나다 | 0 – 0 | 엘체 | 그라나다 | ||
21:00 CEST | 리포트 | 경기장: 누에보 로스 카르메네스 관중 수: 16,200 심판: 알폰소 피노 사모라노 | ||||
- 2차전
2011년 6월 18일 | 엘체 | 1 – 1 |
그라나다 | 알리칸테 | ||
21:00 CEST | 추메트라 ![]() |
리포트 | ![]() |
경기장: 마누엘 마르티네스 발레로 관중 수: 36,000 심판: 다비드 미란다 토레스 | ||
Remove ads
수상
요약
관점
트로페오 피치치
2011년 6월 4일 기준
트로페오 사모라
2011년 6월 4일 기준
페어플레이상
페어플레이상은 1999년을 기점으로 1시즌 동안 페어플레이를 가장 잘 준수한 구단에게 수여되었다. 순위 책정은 별도의 규정을 따른다.[3] 그 중에 카드 갯수, 출장 정지, 관중의 태도, 외에 징계도 점수 산정에 고려된다. 이 제도의 시행은 페어플레이를 가장 잘 준수하는 구단을 선별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승점, 상대 전적, 득실차, 다득점 등의 모든 규정에서 동률일 경우 순위의 우열을 따지는 데에도 사용된다.
- 출처: AS 라 리가 2011-12 가이드, 164쪽 (스포츠 잡지)
Remove ads
시즌 통계
득점
- 시즌 1호골: 하비 게라 (바야돌리드 vs 비야레알 B, 2010년 8월 27일)
- 가장 이른 시간에 터진 득점: 42초 – 칼라 (카르타헤나 vs 라스 팔마스, 2010년 12월 19일)
- 가장 늦은 시간에 터진 득점: 90+5분
- 최다 점수차 승리: 5골
- 단일 경기 최다 득점: 10골 – 누만시아 4–6 바르셀로나 B (2011년 2월 26일)
- 시즌 1호 해트트릭: 키니 (알코르콘 vs 지로나, 2010년 9월 18일)
- 시즌 1호 자책골: 알베르트 세라 (지로나 vs 테네리페, 2010년 8월 28일)
- 단일 선수 단일 경기 최다 득점: 4골 – 알렉산드레 헤이호 (그라나다 vs 바르셀로나 B, 2010년 11월 13일)
- 단일 구단 단일 경기 최다 득점: 6골
- 단일 구단 45분 최다 득점: 5골
- 패배 경기 최다 득점: 4골
카드
Remove ads
같이 보기
- 라리가 2010-11
- 세군다 디비시온 B 2010-11
- 코파 델 레이 2010-11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