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군다 디비시온 2011-12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군다 디비시온 2011-12(스페인어: Segunda División de España 2011-12, 협찬사의 이름을 따 리가 아델란테로도 불림)는 스페인 2부 리그의 출범 이래 81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2011년 8월 26일에 개막하여 2012년 6월 3일에 정규 시즌이 끝났고, 2012년 6월 16일에 승격 플레이오프 결선으로 막을 내렸다. 본래 시즌은 2011년 8월 19일에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스페인 축구 선수 협회(AFE)의 총파업으로 개막이 연기되었다.[1]
시즌 첫 골의 주인공은 엘체의 샤비에르 에체이타로 지로나를 상대로 경기 시작 9분 만에 득점을 올렸다. 첫 퇴장의 불명예는 지로나의 리치에게 돌아갔는데, 그는 엘체와의 개막전에서 퇴장당했다. 첫 해트트릭의 주인공은 비야레알 B의 호셀루로, 짐나스틱을 상대로 기록했다.
Remove ads
참가 구단
요약
관점
참가 구단의 변동
데포르티보, 에르쿨레스, 그리고 알메리아는 전 시즌에 라 리가에서 강등당했다. 데포르티보는 20년 만에, 에르쿨레스는 1년 만에, 그리고 알메리아는 4년 만에 1부 리그에서 강등당했다. 반면 베티스는 2년 만에 1부 리그 승격을 이룩했고, 라요 바예카노는 8년 만에, 그리고 그라나다는 35년의 오랜 세월 끝에 1부 리그 복귀에 성공했다.
세군다 디비시온 B로 강등된 구단들은 살라망카, 테네리페, 폰페라디나, 그리고 알바세테였다. 이 네 구단을 대신해 세군다 디비시온 B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한 네 구단이 대신했다: 무르시아 (4조 우승 후 플레이오프전 우승), 사바델 (3조 우승 후 플레이오프전 준우승), 알코야노, 그리고 과달라하라
구단별 구장 및 위치
다음 구단들이 2011-12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카나리아 제도
자치주별 구단
구단 인사 및 협찬사
감독 교체
Remove ads
리그 순위
요약
관점
최종 순위
출처: LFP - 리가 아델란테
순위 결정방식: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C) 우승; (P) 승격; (R) 강등.
비고:
순위 결정방식: 1) 승점; 2) 상대 전적; 3) 상대 골득실; 4) 상대 다득점; 5) 골득실; 6) 다득점; 7) 페어플레이 점수
(C) 우승; (P) 승격; (R) 강등.
비고:
순위 변동표
출처: LFP 리가 아델란테
참고: 총파업으로 인해일정이 변경되면서,[3] 1라운드 경기는 10월 25일과 27일 사이에 치러졌고, 30라운드는 40라운드와 41라운드 사이에 치러졌다. 위의 표는 20라운드가 치러진 2012년 5월 2일까지 시간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4]
Remove ads
결과
Source: BD푸트볼
Remove ads
승격 플레이오프전
요약
관점
승격 플레이오프전(스페인어: Promoción de ascenso)은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 제외)이 승격 플레이오프전에 참가했다. 5위 구단은 4위를, 6위 구단은 3위를 상대했다. 준플레이오프 1차전은 2012년 6월 6일에 진행되었고, 높은 순위를 기록한 구단의 안방에서 2012년 6월 10일에 2차전이 진행되었다.[5] 결선 플레이오프전도 2경기로 진행되었는데, 1차전은 2012년 6월 13일에, 2차전은 6월 16일에 진행되었고, 이 경우에도 순위가 더 높은 구단이 2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다. 이 시즌부터 합계에서 동률을 이루면 연장전을 치르고, 그 후에도 균형이 깨지지 않을 경우 승부차기 없이 더 높은 순위의 구단이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올라갔다.[6] 바야돌리드와 알코르콘이 결선 플레이오프전에서 맞대결을 펼쳤고, 바야돌리드가 승리하면서 2년 만에 다시 라 리가 무대로 복귀하게 되었다. 코르도바와 에르쿨레스는 준플레이오프전에서 탈락했다.
대진표
준플레이오프전 | 결선 플레이오프전 | |||||||||||
5 | 에르쿨레스 | 1 | 0 | 1 | ||||||||
---|---|---|---|---|---|---|---|---|---|---|---|---|
4 | 알코르콘 (원) | 1 | 0 | 1 | ||||||||
4 | 알코르콘 | 0 | 1 | 1 | ||||||||
3 | 바야돌리드 | 1 | 1 | 2 | ||||||||
6 | 코르도바 | 0 | 0 | 0 | ||||||||
3 | 바야돌리드 | 0 | 3 | 3 |
준플레이오프전
- 1차전
2012년 6월 6일 | 에르쿨레스 | 1 – 1 | 알코르콘 | 알리칸테 | ||
20:00 CEST | 에스카시 ![]() A. 사르디네로 ![]() 아간소 ![]() 사무엘 ![]() |
리포트 | 앙헬 ![]() 마누 ![]() O. 리에라 ![]() |
경기장: 호세 리코 페레스 관중 수: 12,000 심판: 다니엘 오콘 아라이스 | ||
2012년 6월 6일 | 코르도바 | 0 – 0 | 바야돌리드 | 코르도바 | ||
22:00 CEST | 카바예로 ![]() 가스파르 ![]() 나바로 ![]() |
리포트 | 오스카르 ![]() 페레스 ![]() 나프티 ![]() 게라 ![]() |
경기장: 누에보 아르캉헬 관중 수: 11,773 심판: 에두아르도 프리에토 이글레시아스 | ||
- 2차전
2012년 6월 10일 | 바야돌리드 | 3 – 0 (합계 3 – 0) |
코르도바 | 바야돌리드 | ||
20:00 CEST | 루에다 ![]() 오스카르 ![]() 게라 ![]() 시시 ![]() 바라하 ![]() 조프레 ![]() ![]() |
리포트 | 가스파르 ![]() 로페스 가라이 ![]() A. 가르시아 ![]() 두바르비에르 ![]() |
경기장: 호세 소리야 관중 수: 18,064 심판: 산티아고 하이메 라트레 (아라곤) | ||
2012년 6월 10일 | 알코르콘 | 0 – 0 |
에르쿨레스 | 알코르콘 | ||
22:00 CEST | 마누 ![]() 앙헬 ![]() 사울|Saúl ![]() 모라 ![]() |
리포트 | 페냐 ![]() 힐반 ![]() 아간소 ![]() ![]() 아르비야 ![]() 아길라르 ![]() |
경기장: 산토 도밍고 심판: 헤수스 힐 만사노 (에스트레마두라) | ||
결선 플레이오프전
- 1차전
2012년 6월 13일 | 알코르콘 | 0 – 1 | 바야돌리드 | 알코르콘 | ||
21:00 CEST | 나고레 ![]() 베르무데스 ![]() 루에다 ![]() |
리포트 | 게라 ![]() 페냐 ![]() 발렌시아가 ![]() 바라하 ![]() |
경기장: 산토 도밍고 관중 수: 4,700 심판: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발렌시아) | ||
- 2차전
2012년 6월 16일 | 바야돌리드 | 1 – 1 (합계 2 – 1) |
알코르콘 | 바야돌리드 | ||
21:00 CEST | 게라 ![]() ![]() 바라하 ![]() |
리포트 | 루에다 ![]() 아구스 ![]() O. 리에라 ![]() 살레스 ![]() |
경기장: 누에보 호세 소리야 관중 수: 26,500 심판: 호세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카나리아 제도) | ||
Remove ads
수상 및 통계
요약
관점
득점 집계
다음은 리그의 사무국인 스페인 프로축구연맹(LFP)의 득점 순위표이다.
- 출처: 마르카
트로페오 사모라
트로페오 사모라가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수상되었다.
- 출처: 마르카
페어플레이상
페어플레이상은 1999년을 기점으로 1시즌 동안 페어플레이를 가장 잘 준수한 구단에게 수여되었다. 순위 책정은 별도의 규정을 따른다.[7] 그 중에 카드 갯수, 출장 정지, 관중의 태도, 외에 징계도 점수 산정에 고려된다. 이 제도의 시행은 페어플레이를 가장 잘 준수하는 구단을 선별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승점, 상대 전적, 득실차, 다득점 등의 모든 규정에서 동률일 경우 순위의 우열을 따지는 데에도 사용된다.
출처: 2011–12 시즌 페어플레이 순위[8]
득점 통계
- 시즌 1호골: 샤비에르 에체이타 (엘체 vs 지로나, 2011년 8월 26일)
- 가장 이른 시간에 터진 득점: 50초 – 레오나르도 우요아 (알메리아 vs 엘체, 2011년 9월 23일)
- 가장 늦은 시간에 터진 득점: 90+5분
- 최다 점수차 승리: 6골
- 단일 경기 최다 득점: 8골
- 시즌 1호 해트트릭: 호셀루 (비야레알 B vs 짐나스틱, 2011년 9월 30일)
- 단일 선수 단일 경기 최다 득점: 3골
- 호셀루 (비야레알 B vs 짐나스틱, 2011년 9월 30일)
- 앙헬 (엘체 vs 알코르콘, 2011년 12월 16일)
- 하비 게라 (바야돌리드 vs 사바델, 2012년 1월 7일)
- 레오나르도 우요아 (알메리아 vs 과달라하라, 2012년 1월 14일)
- 오스카르 (바야돌리드 vs 짐나스틱, 2012년 2월 5일)
- 훌리오 알바레스 (누만시아 vs 엘체, 2012년 3월 17일)
- 헤수스 베로칼 (레크레아티보 vs 과달라하라, 2012년 4월 7일)
- 코로 (지로나 vs 과달라하라, 2012년 5월 5일)
- 다니 니에토 (지로나 vs 알코야노, 2012년 5월 12일)
- 키니 (알코르콘 vs 엘체, 2012년 5월 16일)
- 단일 구단 단일 경기 최다 득점: 6골
- 시즌 1호 자책골: 루이만 에르난데스 (라스 팔마스 vs 과달라하라, 2011년 8월 27일)
- 단일 구단 45분 최다 득점: 4골'
- 패배 경기 최다 득점: 3골
카드 통계
Remove ads
같이 보기
- 라리가 2011-12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2
- 세군다 디비시온 B 2011-12
- 코파 델 레이 2011-12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