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군다 디비시온 2021-22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군다 디비시온 2021-22(스페인어: Segunda División de España 2021-22, 협찬사의 이름을 따 라리가 스마트뱅크로도 불림[1])은 스페인 2부 리그의 출범 이래 91번째 시즌이다. 이 시즌은 2021년 8월 13일에 시작되어 2022년 6월 19일에 막을 내렸다.
Remove ads
참가 구단
요약
관점
참가 구단의 변동
총 22개 구단이 리그에 참가했는데, 이 중 15개 구단은 2020-21 시즌에도 참가한 구단들이며, 3개 구단은 라 리가에서 강등당한 구단들이고, 나머지 4개 구단은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한 구단들로, 이들은 모두 플레이오프전에서 승리하여 올라왔다.
- 라 리가로 승격된 구단들
2021년 5월 8일, 에스파뇰은 사라고사와의 경기에서 득점 없이 비기고 가장 먼저 산술적으로 라 리가 승격을 확정지었다.[2] 이어서 마요르카는 알메리아가 카르타헤나와의 2021년 5월 18일 경기에서 2-3으로 패하면서 승격에 성공했다. 두 구단 모두 강등 1년 만에 바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가장 마지막으로 라 리가로 승격한 구단은 라요 바예카노로, 승격 플레이오프전에서 레가네스와 지로나를 각각 합계 5-1, 3-2로 이겨 1부 리그행 막차를 탔다.
- 라 리가에서 강등당한 구단들
가장 먼저 라 리가 강등을 확정지은 구단은 에이바르였는데, 2021년 5월 16일에 1-4로 패하면서 7년 만의 1부 리그 강등을 확정지었다. 나머지 두 구단은 최종전 끝에 결정되었는데, 바야돌리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2021년 5월 22일 안방 경기에서 1-2로 패하며 3년 만에 2부 리그로 떨어졌다. 같은 5월 22일, 우에스카도 발렌시아와 0-0으로 비기면서 승격 첫 해에 다시 2부 리그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로 강등당한 구단들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가장 먼저 강등당한 구단은 알바세테였고, 2021년 5월 18일에 루고전에서 1-1로 비기면서 2부 리그에서의 4년 만에 강등당했다. 알바세테에 이어 카스테욘, 로그로녜스, 그리고 사바델도 알바세테를 따라 추락했다. 세 구단 모두 2021년 5월 30일에 강등당했는데, 모두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1년밖에 보내지 못하고 3부 리그로 강등당했다.
- 세군다 디비시온 B에서 승격한 구단들
플레이오프전 끝에 승격 새내기 4개 구단이 정해졌는데, 이 중 레알 소시에다드 B는 알헤시라스를 2021년 5월 22일에 이기고 승격했다. 레알 소시에다드 2군은 59년 만에 처음으로 2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이들 외에 아모레비에타가 바다호스를 이기고 한 단계 높은 리그로 상승했다. 이비사도 2021년 5월 23일에 UCAM 무르시아를 꺾고 2부 리그로 올라갔다. 아모레비에타와 이비사 모두 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 승격에 성공한 일이었다. 나머지 한 승격 구단은 부르고스로 2021년 5월 23일에 빌바오 아틀레틱을 이겼다. 부르고스는 2001-02 시즌 이래 처음으로 2부 리그 발을 디뎠는데, 당시 부르고스는 1년 만에 강등당했었다.
구단별 구장 및 위치
다음의 구단들이 2021-22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 참가했다:
- 참고
자치주별 구단
구단 인사 및 협찬사
감독 교체
Remove ads
리그 결과
요약
관점
최종 순위
순위 변동표
다음 순위 변동표는 매 라운드가 끝난 후의 구단들 순위를 나타낸다. 시간대에 따른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연기된 경기는 본래 경기가 치러진 시점에 반영되지 않으나, 최종전에만 반영된다. 예를 들어 13라운드 경기 일정이 16라운드와 17라운드 사이에 치러진 경우, 연기된 경기 결과는 16라운드의 순위 변동표에 반영된다. 코로나19 범유행에 따라 리그가 대부분 구단들이 31경기를 치른 상태에서 중단되었었다.
출처: BD푸트볼
경기 결과
Source: 라리가
Remove ads
승격 플레이오프전
승격 플레이오프전(스페인어: Promoción de ascenso)은 라 리가로 승격할 마지막 구단을 결정하기 위해 정규 시즌에 3위에서 6위를 차지한 구단들(2군을 제외하고)이 경합했다.
대진표
준플레이오프전 | 결선 플레이오프전 | |||||||||||
3 | 에이바르 | 1 | 0 | 1 | ||||||||
---|---|---|---|---|---|---|---|---|---|---|---|---|
6 | 지로나 (연) | 0 | 2 | 2 | ||||||||
6 | 지로나 | 0 | 3 | 3 | ||||||||
5 | 테네리페 | 0 | 1 | 1 | ||||||||
4 | 라스 팔마스 | 0 | 1 | 1 | ||||||||
5 | 테네리페 | 1 | 2 | 3 |
결과
시즌 통계
요약
관점
득점 집계
도움 집계
트로페오 사모라
마르카지는 최저 실점률을 기록한 골키퍼에게 트로페오 사모라를 수상했다. 이 상의 수상 자격을 얻으려면 최소 28경기 이상 출전해야 하며, 1경기 출전을 인정받으려면 해당 경기를 60분 이상 출전해야 했다.[67] [68]
해트트릭 목록
- 참고
(안) – 안방 경기; (원) – 원정 경기
징계
출처:[69]
- 선수
- 구단
- 최다 경고 구단: 푸엔라브라다 (124회)
- 최다 퇴장 구단: 푸엔라브라다 (11회)
- 최소 경고 구단: 레알 소시에다드 B (77회)
- 최소 퇴장 구단: 부르고스, 사라고사 (각 2회)
관중 통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구단은 경기장 관중을 꽉 채울 수 없었다. 전염병의 범유행 정도에 따라, 월별 최고 허용 관중수는 각 광역자치주와 중앙정부가 합의를 도출하여 스페인의 정부 방침을 따랐다.
- 8월 (1 ~ 3라운드): 수용 인원의 최대 40%까지 허용.[70] 같은 시기 바스크 주의 경우 수용 인원의 최대 20%만 허용했고,[71] 카탈루냐 주는 30%가 허용 최대치였으며,[72] 발렌시아 주는 중앙 정부의 방침을 따르는 것을 전제로 15,000명까지만 수용하는 방침을 발표했다.[73]
- 9월 (4 ~ 7라운드): 수용 인원의 최대 60%까지 허용.[74] 바스크 주는 최대 수용 인원의 30%까지,[75] 카탈루냐 주는 경기장 허용 인원을 40%까지 상향조정했다.[76]
- 10월 (8 ~ 12라운드): 허용 최대 인원이 60%인 카탈루냐 주와 바스크 주 제외, 만원 관중 허용.[77]
출처: 라 리가
참고:
1: 1경기는 이푸루아에서 진행.
Remove ads
수상
월간
같이 보기
- 라리가 2021-22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22
- 프리메라 디비시온 RFEF 2021-22
- 코파 델 레이 2021-22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