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세페핌
4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세페핌(Cefepime)은 4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이다. 그람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 광범위한 활성을 보이며, 3세대 세팔로스포린 약제에 비해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더욱 강력한 효과를 가진다. 2007년 메타분석에서는 임상시험 데이터를 종합했을 때 세페핌 투여 환자가 다른 베타락탐 항생제 투여 환자보다 치명률이 높았다고 보고하기도 했으나,[1] 미국 식품의약국(FDA) 메타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치명률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2] 맥스핌(Maxipime)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된다.[3]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가 1982년 세페핌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의학적 사용이 승인된 것은 1994년이다.[4]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며 전 세계를 통틀어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5]
2019년에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서 제거되었다.[6]
Remove ads
의학적 사용
세페핌은 다제내성균(녹농균 등)이 일으키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원내감염 폐렴 치료, 또는 열성 호중구감소증의 경험적 치료에 쓰인다.[7]
세페핌은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다제내성 폐렴구균 등 중요 병원균에 좋은 효과를 보이며, 장내세균과에 특히 강력하다. 여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가 세균의 플라스미드나 염색체에서 암호화하는 베타 락타메이스로 인해 분해되는 경우가 많으나, 세페핌은 비교적 안정 상태를 유지하여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감수성 범위
세페핌은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이며, 폐렴, 피부 및 연조직 감염, 요로감염 등을 일으키는 세균 치료에 사용된다. 그 예로는 슈도모나스, 대장균속, 연쇄상구균 등이 있다. 아래는 몇몇 주요 병원균의 최소 저지 농도(MIC) 자료이다.[8]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