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나무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소나무좀
Remove ads

소나무좀(학명: Tomixus piniperda 토믹수스 피니페르다[*])은 딱정벌레목 나무좀과의 곤충이다. 주로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의 나무에 피해를 입히며, 성충은 광택이 있는 암갈색이며 회색의 털이 있고 더듬이의 마디 갯수는 4개이다.

간략 정보 소나무좀,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피해

  • 월동한 성충이 나무 줄기나 가지의 껍질 밑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형성층에 산란하면 부화한 유충이 인피부를 식해하여 수목의 양분과 이동을 단절시켜 임목을 고사시키는 2차해충이다.
  • 6월 초부터는 우화하여 새로 나온 성충이 신초를 가해하여 고사시키는 후식(後食) 피해를 준다.

생활사

  • 1년에 1회 발생하고 1년에 1마리가 3개 이상의 새순을 가해한다.
  • 11월부터 성충의 형태로 수간의 지면 가까운 부분이나 뿌리 근처의 수피 틈에서 월동한다.
  • 부화한 유충은 어미가 파 놓은 갱도와 직각으로 굴을 파고 5월 하순~6월 하순 구멍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3월 하순~4월 상순에 월동 성충이 벌채된 나무나 수세가 쇠약한 나무의 수피밑 형성층에 구멍을 뚫고 침입하여 밑에서 위로 10cm 정도의 갱도를 뚫고 양쪽에 6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 산란기간은 12~20일이다.
  • 6월 초순부터 성충이 우화하여 10월 하순까지 소나무 새순에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가 새순은 적갈색으로 고사한다.

방제

  • 수세가 약한 나무를 제거한다.
  • 먹이나무를 배치하여 월동 성충이 산란하게 한 후 5월에 박피하여 소각한다.

참고 문헌

  • 부민문화사 자연과학부, 『2021 리뉴얼 산림기사 산업기사 2: 산림보호.임도.사방』, 부민문화사, 2021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