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래포구항

인천광역시 남동구와 경기도 시흥시에 걸친 국가어항. 인천 쪽의 소래포구와 시흥 쪽의 월곶포구로 이루어져 있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소래포구항
Remove ads

소래포구항(蘇來浦口港)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걸쳐 있는 국가어항이다.[1] 소래포구라고 불리기도 한다.

간략 정보 소래포구항, 주소 ...

이름

소래포구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포구이다. 과거 이 지역 냇가에 소나무가 울창하여 솔내(松川)로 불리던 것이 와전되었다는 설과 삼국시대 당나라의 소정방이 산동성 내주에서 출발하여 이곳에 당도하였기 때문에 소정방이 당도한 곳이란 의미로 소래라 하였다는 설이 있으나 둘 다 확실하지 않다.[2]

자연

소래포구는 만수천, 장수천, 은행천 등이 합류하여 흐르는 뱀내천 하구에 위치해 있다. 주변으로 넓은 갯벌이 발달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간척되었다. 복동쪽의 소래산(299 m)이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대체적으로 평탄하다.[2] 뱀내천을 사이에 두고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시흥시가 마주하고 있다.

역사

조선시대까지 소래는 인천의 남촌면에 속해 있는 작은 어촌이었다.[3] 소래포구로 이어지는 만수천과 장수천을 인천과 부평으로 이어지는 운하로 쓰기도 하였다. 이 수로는 김포와 강화도 사이의 염하를 이용하는 것보다 빠르게 서울로 접근할 수 있는 지름길이었고 강화도조약 이후 일본의 상인이 무단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어 1878년 8월 장도포대를 구축하였다.[4]

일제강점기인 1934년부터 소래염전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5] 넓게 펼쳐진 갯벌을 이용한 염전은 규모를 계속하여 확장하였고 1950년대에 이르러 국내 소금 생산의 30% 가량을 담당하게 되었다.[6] 1937년 협궤열차를 이용하는 수인선이 부설되면서 기차가 다니게 되었다.[7] 이시기 소래의 주요 산업은 염전이었고 어업은 그리 크지 않았지만 한국전쟁으로 실향민이 몰려들면서 어민이 크게 늘었다. 1963년 설립된 소래어촌계의 회원 다수는 실향민이었다. [8] 소래에 정착한 실향민의 다수가 황해도 출신이어서 어촌계의 대동굿 역시 황해도식이 혼합되었다.[9] 이웃한 염전의 소금을 이용하여 만들기 시작한 새우젓은 1970년대에 들어 소래포구의 명물이 되었다. 1974년 인천내항이 준공되면서 새우잡이 소형어선이 인천항을 이용할 수 없게 되자 소래로 몰렸고[2] 1980년대 시화호 간척이 시작되자 시흥의 어민들도 소래로 옮겨와 포구가 더욱 커졌다.[8]

한편 1960년대에 들어 소금 공급 과잉이 일어나자 소래 염전은 규모를 축소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 염전 자리에는 남동공단이 들어섰다. 소규모 염전이 계속 운영되다 1996년 완전히 폐업하였다.[6] 수인선의 협궤 열차 역시 1995년 운행이 중단되면서 소래의 주요 교통로는 국도 제42호선이 유일하게 되었다.[10] 염전이 사라진 자리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2004년 인천에서는 77만평 규모의 논현지구를 조성하였고[11] 이웃한 시흥시도 아파트 단지로 변모하면서 소래포구는 도심속 어항이 되었다.

2012년 수인선이 표준 궤도로 재개통되면서 소래포구는 수도권에서 들리기 좋은 어항이 되었고 포구 주변으로 어시장이 발달하였다.[2] 2017년 대한민국의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다.[12] 2017년 연간 방문객 650만 명에 달하는 명소가 되었으나 바가지 요금 논란이 일어 인기가 줄어든 추세이다.[13]

어항

인천광역시

  • 육역 : 18,628m2 (남동구 논현동 111-198 등 9필지)
  • 수역 : 49,860m2 (소래포구 수변광장 연접지점(X=533,049 Y=176,659)에서 월곶 방향 300m 나아간 육지점(X=532,842 Y=176,881), 이점에서 항내측 해안을 따라 570m 나아간 육지점(X=533,227 Y=177,296), 이 점에서 정북에서 동측으로 48°방향 340m 나아간 해상점(X=533,455 Y=177,549), 이점에서 정북에서 서측으로 20°방향 345m 나아간 해상점(X=533,778 Y=177,430) 및 이점에서 정서방향에서 남측으로 20°방향 90m 나아간 육지점(X=533,746 Y=177,345)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12]

경기도

  • 육역 : 4,410m2 (시흥시 월곶동 1048등 4필지)
  • 수역 : 257,238m2 (월곶포구로 진입하는 항로의 남측 연접지점(X=531,921 Y=176,175)에서 정북에서 동측으로 38°방향 500m 나아간 육지점(X=532,275 Y=176,448)과 시흥조선 연접지점(X=531,753 Y=177,082)에서 정남에서 서측으로 26°방향 195m 나아간 육지점(X=531,580 Y=176,996)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12]

주요 어종

소래포구항의 어종은 새우, 꽃게, 민어, 농어, 홍어, 광어, 낙지 등 다양하다.

Remove ads

소래포구 축제

소래포구항에서는 매년 10월 남동구 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풍어제, 소래포구 아줌마 선발대회, 소래포구 뽀빠이 선발대회, 망둥이 낚시대회 등 축제가 열리고 있다.

주변관광명소

소래산 , 갯골생태공원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