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42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42호선 (인천 ~ 동해선, 國道第四十二號 仁川東海線)은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사거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까지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이 중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서창동에서 수원역까지 구간은 수인로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Remove ads
연혁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2호선 인천 ~ 북평선이 됨.[1]
- 1972년 9월 19일 : 도로 노선 개량으로 인해 용인군 기흥면 구갈리 ~ 용인면 삼가리 5.66 km 구간을 4.56 km 로 도로구역 변경[2]
- 1976년 10월 30일 :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기존 12.04 km 구간 폐지[3]
- 1976년 12월 30일 : 수인산업도로 (인천시 간석동 ~ 수원시 서둔동) 46.7 km 구간 개통[4]
- 1980년 2월 22일 : 정선군 북면 여량리 ~ 유천리 1.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84 km 구간 폐지, 정선군 북면 나전리 ~ 여량리 13.13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2.04 km 구간 폐지[5]
-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에서 '강원도 동해시'로 변경함. 이에 따라 '인천 ~ 북평선'에서 '인천 ~ 동해선'이 됨.[6]
- 1986년 5월 13일 : 시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7]
- 1994년 3월 16일 : 멧둔재터널(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미탄면 창리) 10.0 km 구간 개통[8]
- 1994년 7월 15일 : 정선군 북면 유천리 ~ 임계면 임계리 21.5 km 구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 동해시 신흥동 23 km 구간 개통[9]
- 1995년 1월 12일 : 원주 ~ 안흥간 도로(원주시 태장1동 ~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36 km 구간 개통[10]
- 1995년 2월 11일 : 용인군 용인읍 김량장리 ~ 마평리 2 km 구간 및 용인군 기흥읍 신갈리 ~ 구갈리 720m 구간 개통[11]
- 1996년 7월 1일 : 시점을 '인천직할시 중구'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로 변경함.[12]
- 1997년 6월 13일 : 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3]
- 1997년 12월 27일 : 용인 ~ 내사간 도로(용인시 마평동 ~ 이천시 마장면 이치리) 14.4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59 km 구간 폐지[14]
- 1998년 5월 1일 : 이천 ~ 여주간 도로(이천시 부발읍 신하리 ~ 여주군 여주읍 교리) 17.3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15]
- 1999년 7월 19일 : 원주시 문막읍 문막리 ~ 단계동 12.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65 km 구간 폐지[16]
- 1999년 8월 31일 : 반월 ~ 수원시계간 도로(안산시 팔곡동 ~ 수원시 구운동) 9.74 km 구간 확장 개통[17]
- 1999년 12월 28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9.42 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8]
- 1999년 12월 31일 : 여주 ~ 강천간 도로(여주군 여주읍 교리 ~ 강천면 부평리) 10.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 강천면 부평리 강원도계 15.4 km 구간 폐지[19]
- 2000년 1월 1일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리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8.1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035 km 구간 폐지[20]
- 2000년 12월 23일 :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84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00m 구간 폐지[21]
- 2001년 4월 10일 :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서곡리 11.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2]
- 2002년 1월 7일 : 원주시 봉산동 ~ 소초면 장양리 7.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3]
- 2002년 8월 3일 : 원주시 관설동 ~ 봉산동 7.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4]
- 2003년 9월 30일 : 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상안리 640m 구간 개통[25]
- 2004년 12월 31일 : 이천시 마장면 회억리 ~ 표교리 3.35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4.28 km 구간 폐지, 이천시 호법면 유산리 ~ 부발읍 신하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3 km 구간 폐지[26]
- 2007년 7월 13일 : 여주우회도로(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 능서면 왕대리) 3 km 구간 확장 개통[27]
- 2007년 11월 9일 : 1993년 원주 ~ 안흥간 도로 개수공사로 인해 발생한 구 국도 구간 120m 폐지[28]
- 2007년 12월 16일 : 여주우회도로 개통으로 기존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 ~ 여주읍 홍문리 2.54 km 구간 폐지[29]
- 2008년 12월 31일 : 원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광터 교차로 ~ 관설 교차로) 구간 12.327 km 개통[30]
- 2009년 10월 13일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남동 12.4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1]
- 2013년 11월 1일 : 전재고개(횡성군 우천면 백달리 ~ 안흥면 안흥리) 9.11 km 구간 신설·개량 개통, 기존 10.11 km 구간 폐지[32]
- 2013년 12월 23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관설 ~ 봉산간 도로(원주시 관설동 관설 교차로 ~ 행구동 행구 교차로) 5.3 km 구간 확장 개통[33]
- 2014년 1월 16일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원주시 관통(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 소초면 흥양리) 13.25km 구간 폐지[34]
- 2015년 11월 30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1,2공구(평창군 평창읍 노론리 ~ 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14.94 km 구간 확장 개통[35]
- 2017년 12월 31일 : 정선북면우회도로(정선군 여량면 여량리 ~ 유천리) 3.5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61 km 구간 폐지[36]
- 2018년 2월 5일 : 평창 ~ 정선간 도로 3공구(정선군 정선읍 광하리 ~ 덕송리) 10.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0 km 구간 폐지[37]
- 2018년 11월 30일 : 용인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처인구 이동면 천리) 12.54km 구간 확장 개통[38]
- 2018년 12월 31일 : 영월 ~ 방림간 도로 1공구(평창군 평창읍 후평리 ~ 방림면 방림리 6.2km 구간과 평창군 방림면 방림리 500m 구간) 총 6.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1km 구간 폐지[39][40]
- 2020년 12월 29일 : 궁촌교차로(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개통[41]
- 2022년 7월 18일 : 원주 ~ 새말간 도로(원주시 소초면 흥양리 ~ 횡성군 우천면 백달리) 11.66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583m 구간 폐지[42]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중구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 미추홀구 (숭의동 · 도화동 · 주안동) - 남동구 (간석동 · 만수동 · 장수동 · 운연동)
- 시흥시 (신천동 · 대야동 · 은행동 · 안현동 · 매화동 · 도창동 · 금이동 · 논곡동 · 목감동 · 조남동) -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장상동 · 부곡동 · 성포동 · 이동 · 일동 · 팔곡일동 · 건건동 · 사사동) - 수원시 (권선구 (당수동 · 입북동 · 구운동 · 서둔동) - 팔달구 (고등동 · 매산로1가 · 매산로2가 · 매산로3가 · 교동 · 중동 · 팔달로3가 · 영동 · 인계동) - 영통구 (매탄동 · 원천동)) -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 신갈동 · 구갈동 · 상하동) - 처인구 (삼가동 · 역북동 · 김량장동 · 마평동 · 양지면) - 이천시 (마장면 · 호법면 · 장록동 · 부발읍) - 여주시 (흥천면 · 세종대왕면 · 월송동 · 교동 · 홍문동 · 매룡동 · 연양동 · 단현동 · 강천면)
Remove ads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인천광역시
경기도
-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 용인시 기흥구 영덕 교차로 - 경희대입구삼거리 - 수원신갈 나들목 - 신갈시외버스정류장 - 신갈오거리 - 신갈치안센터사거리 - 녹십자사거리 - 기흥역사거리 - 강남대삼거리 (강남대지하차도) - 어정삼거리 - 고인돌마을사거리 - 하나로마트사거리 - 아주냉장삼거리 - 대우아파트삼거리 - 진흥아파트입구 - 수원동(취락마을)삼거리 - 쌍용아파트입구 - 상하동인정프린스A사거리 - 상하교
- 용인시 처인구 삼가삼거리 - 삼가역삼거리 - 용인시청삼거리 - 용인대입구삼거리 - 등기소앞사거리 - 명지대입구사거리 - 통일공원삼거리 - 문예회관입구삼거리 - 처인구청후문사거리 - 터미널사거리
강원특별자치도


- 기존 구간 (2009년 이전 노선)
- 원주시 광터 교차로 - 사제사거리 - 만종역삼거리 - 만종삼거리 - 청골사거리(구 단계삼거리) - 점말사거리 - 단계사거리(국도 제19호선과 교차) - 역전삼거리 - 원주역사거리 - 지하상가사거리 - 평원사거리 - 학성초등학교 - 태학교사거리(국도 제5호선과 교차) - 태학교 - 학봉정삼거리(국도 제5호선과 교차) - 태장1동 행정복지센터 - 가매기사거리 - 태장중학교 - 강원과학고등학교 - 흥양삼거리 - 흥양교 - 흥양리
- 기존 구간 (2015년 이전 노선)
-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Remove ads
도로명
- 인천광역시
- 중구 인천역사거리 ~ 신포사거리 : 제물량로
- 중구 신포사거리 ~ (제1부두입구) : 신포로
- 중구 (제1부두입구) ~ 미추홀구 숭의로터리 : 인중로
- 미추홀구 숭의로터리 ~ 남동구 간석오거리 : 경인로
- 남동구 간석오거리 ~ 장수사거리 : 백범로
- 남동구 장수사거리 ~ 운연동 : 수인로
- 경기도
- 시흥시 신천동 ~ 수원시 팔달구 육교사거리 : 수인로
- 수원시 팔달구 육교사거리 ~ 수원역광장 교차로 : 덕영대로
-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광장 교차로 ~ 교동사거리 : 매산로
- 수원시 팔달구 교동사거리 ~ 중동사거리 : 정조로
- 수원시 팔달구 중동사거리 ~ 용인시 기흥구 영덕 교차로 : 중부대로
- 용인시 기흥구 영덕 교차로 ~ 처인구 대촌 교차로 : 신중부대로
- 용인시 처인구 대촌 교차로 ~ 남리 교차로 : 남북대로
- 용인시 처인구 남리 교차로 ~ 터미널사거리 : 백옥대로
- 용인시 처인구 터미널사거리 ~ 여주시 능서면 영릉 교차로 : 중부대로
- 여주시 능서면 영릉 교차로 ~ 중앙동 월송 교차로 : 여주북로
- 여주시 중앙동 월송 교차로 ~ 강천면 부평터널 : 여원로
- 강원특별자치도
- 원주시 문막읍 부평터널 ~ 건등사거리 : 여원로
- 원주시 문막읍 건등사거리 ~ 흥업면 광터 교차로 : 원문로
- 원주시 흥업면 광터 교차로 ~ 소초면 흥양 교차로 : 원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 원주시 소초면 흥양 교차로 ~ 진양삼거리 : 노루고개길
- 원주시 소초면 진양삼거리 ~ 학곡삼거리 : 치악로
- 원주시 소초면 학곡삼거리 ~ 평창군 방림면 방림삼거리 : 서동로
- 평창군 방림면 방림삼거리 ~ 방림 교차로 : 평창대로
- 평창군 방림면 방림 교차로 ~ 평창읍 후평2 교차로 : 뱃재로
- 평창군 평창읍 후평2 교차로 ~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교차로 : 서동로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