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소토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소토어
Remove ads

소토어(Sotho) 또는 세소토어(Sesotho)는 반투어에 속하는 언어로, 레소토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1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북소토어(페디어)에 대비하여 남소토어(Southern Sotho)라고도 한다. 다른 반투 언어들처럼 많은 접사와 활용어미를 통해 완성된 단어를 만드는 교착어적 성질을 띠고 있다.

간략 정보 소토어, 원어 지역 ...
Remove ads

분류

소토어는 니제르콩고어족남반투어군에 속하며, 특히 소토-츠와나어군(Sotho–Tswana)이라는 그룹으로 분류된다.

원래 "소토"(Sotho)라는 명칭은 소토-츠와나어군의 모든 언어를 가리킬 수 있는 이름이며, 이러한 지칭을 쓰는 경우 협의의 소토어는 "남소토어"라고 일컫는다. 이 그룹 내에서 남소토어는 특히 잠비아와 나미비아에서 쓰이는 로지어(Lozi)와 가까운 관계이다. 남소토어와 대비되는 북소토어는 지리적 분류로서, 소토어 및 로지어와 밀접히 연관된 여러 방언을 포함한다. 또한 츠와나어는 "서(西)소토어"라고도 한다.

"소토"를 어근으로 하여 여러 접두사가 앞에 붙은 형태의 명칭도 자주 사용된다. 이때 반투어에서 "세소토"(Sesotho)는 소토 언어를 가리키는 말이고, "바소토"(Basotho)는 소토 민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서는 이 "세소토"라는 언어명이 더 널리 쓰인다.

Remove ads

현황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거의 4백만 명의 인구가 세소토어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국가 인구의 약 8%에 해당한다. 세소토어 화자의 대부분은 프리스테이트주하우텡주 내에 거주하였다. 세소토어는 또한 레소토의 주류 언어이기도 한데, 1993년 자료에 따르면 인구의 85%에 해당하는 1,493,000명이 세소토어를 사용하였다. 2011년 인구조사에서는 집계되지 않았으나 도시 지역에는 세소토어를 제2언어나 제3언어로 구사하는 다중언어화자가 많다.

세소토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2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영어와 함께) 레소토의 2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짐바브웨의 16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음운

홀소리

자세한 정보 전설, 근전설 ...

닿소리

자세한 정보 입술소리, 치경음 ...
  • [d]는 l이 /i, u/ 앞에 올 때만 나타난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