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쇼크

질병의 종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쇼크
Remove ads

쇼크(shock)는 조직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쇼크로 인하여 호흡과 맥박이 멈추면 심폐소생술(CPR)을 실시한다. 그래서 충격(衝擊)이라고도 한다.

간략 정보 쇼크, 다른 이름 ...
Thumb

쇼크는 근본 원인에 따라 저혈량성 쇼크, 심인성 쇼크, 폐쇄성 쇼크, 분포성 쇼크 등 4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저용량 쇼크라고도 알려진 저혈량성 쇼크는 출혈, 설사 또는 구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심장성 쇼크는 심장마비나 심장 타박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폐쇄성 쇼크는 심장 압전이나 긴장성 기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분포 쇼크는 패혈증, 아나필락시스, 상부 척수 손상 또는 특정 과다 복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은 일반적으로 증상, 신체 검사, 실험실 검사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맥압 감소(수축기 혈압 - 확장기 혈압) 또는 빠른 심박수는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심박수를 쇼크 지수(SI)로 알려진 수축기 혈압으로 나눈 값이 0.8보다 크면 단독으로 저혈압이나 빠른 심박수보다 진단을 더 잘 뒷받침한다.

쇼크 치료는 가능한 근본 원인에 따라 이루어진다. 기도가 열려 있어야 하고 충분한 호흡이 이루어져야 한다. 진행 중인 출혈은 모두 중단해야 하며, 수술이나 색전술이 필요할 수 있다. 링거 젖산염이나 농축 적혈구와 같은 정맥 수액이 종종 투여된다.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혈관수축제는 어떤 경우에는 유용할 수 있다. 쇼크는 흔하며 사망 위험도 높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20만 명이 쇼크로 응급실을 방문하며, 이들의 사망 위험은 20~50%이다.

Remove ads

종류

  • 저혈량성 쇼크 - 혈액 등 체액의 대량손실로 발생
  • 심장성 쇼크 - 심장에 충격 등이 가해져 제기능을 하지 못함으로 발생
  • 신경성 쇼크 - 경추,척추손상 등으로 신경계에 이상이 발생
  • 과민성 쇼크(아나필락시스) - 알레르기로 인한 기도 폐쇄로 인해 발생, 경우에 따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호흡성, 대사성, 정신성 쇼크(급성 스트레스 장애) - 산소량 부족, 당뇨성케토산의 증가, 정신적 충격으로 발생. 정신적 쇼크도 응급 진료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