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에서, 슈발레-바르닝 정리(영어: Chevalley–Warning theorem)는 변수가 많고 차수가 낮은 유한체 계수 연립 다항 방정식이 유일한 해를 가질 수 없다는 정리이다. 정의요약관점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가 표수가 p {\displaystyle p} , 크기가 q {\displaystyle q} 인 유한체라고 하자. f 1 , … , f m ∈ F q [ t 1 , … , t n ] {\displaystyle f_{1},\dots ,f_{m}\in \mathbb {F} _{q}[t_{1},\dots ,t_{n}]} 가 d 1 , … , d m {\displaystyle d_{1},\dots ,d_{m}} 차 다항식들이며, d 1 + ⋯ + d m < n {\displaystyle d_{1}+\cdots +d_{m}<n} 이라고 하자. 또한 V ( f 1 , … , f m ) = { ( x 1 , … , x n ) ∈ F q n : f 1 ( x 1 , … , x n ) = ⋯ = f m ( x 1 , … , x n ) = 0 } {\displaystyle V(f_{1},\dots ,f_{m})=\{(x_{1},\dots ,x_{n})\in \mathbb {F} _{q}^{n}\colon f_{1}(x_{1},\dots ,x_{n})=\cdots =f_{m}(x_{1},\dots ,x_{n})=0\}} 이 이에 대응하는 연립 다항 방정식의 해의 집합이라고 하자. 슈발레-바르닝 정리에 따르면, p ∣ # V ( f 1 , … , f m ) {\displaystyle p\mid \#V(f_{1},\dots ,f_{m})} 이다.[1]:605, Theorem 1.1[2]:273, Theorem 6.8 즉, 체의 표수는 이 연립 다항 방정식의 해의 개수를 나눈다. 특히, # V ( f 1 , … , f r ) ≠ 1 {\displaystyle \#V(f_{1},\dots ,f_{r})\neq 1} 이다. 즉, 이 연립 다항 방정식의 해는 존재하지 않거나, 2개 이상이다. 증명: 임의의 i ∈ { 0 , 1 , … , q − 2 } {\displaystyle i\in \{0,1,\dots ,q-2\}} 에 대하여 ∑ x ∈ F q x i = 0 {\displaystyle \sum _{x\in \mathbb {F} _{q}}x^{i}=0} 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편의상 i > 0 {\displaystyle i>0} 이라고 하자.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의 가역원군 F q × {\displaystyle \mathbb {F} _{q}^{\times }} 은 순환군이다. a {\displaystyle a} 가 그 생성 원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 x ∈ F q x i = ∑ j = 0 q − 2 ( a j ) i = a i ( q − 1 ) − 1 a i − 1 = 0 {\displaystyle \sum _{x\in \mathbb {F} _{q}}x^{i}=\sum _{j=0}^{q-2}(a^{j})^{i}={\frac {a^{i(q-1)}-1}{a^{i}-1}}=0} 이다. 만약 단항식 t 1 a 1 ⋯ t n a n {\displaystyle t_{1}^{a_{1}}\cdots t_{n}^{a_{n}}} 의 차수 a 1 + ⋯ + a n {\displaystyle a_{1}+\cdots +a_{n}} 이 n ( q − 1 ) {\displaystyle n(q-1)} 미만이라면, a i < q − 1 {\displaystyle a_{i}<q-1} 인 i {\displaystyle i} 가 존재하므로, ∑ ( x 1 , … , x n ) ∈ F q n x 1 a 1 ⋯ x n a n = ( ∑ x 1 ∈ F q x 1 a 1 ) ⋯ ( ∑ x n ∈ F q x n a n ) = 0 {\displaystyle \sum _{(x_{1},\dots ,x_{n})\in \mathbb {F} _{q}^{n}}x_{1}^{a_{1}}\cdots x_{n}^{a_{n}}=\left(\sum _{x_{1}\in \mathbb {F} _{q}}x_{1}^{a_{1}}\right)\cdots \left(\sum _{x_{n}\in \mathbb {F} _{q}}x_{n}^{a_{n}}\right)=0} 이다. 만약 다항식 f ∈ F q [ t 1 , … , t n ] {\displaystyle f\in \mathbb {F} _{q}[t_{1},\dots ,t_{n}]} 의 차수가 n ( q − 1 ) {\displaystyle n(q-1)} 미만이라면, f {\displaystyle f} 는 차수가 n ( q − 1 ) {\displaystyle n(q-1)} 미만인 단항식들의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선형 결합이므로, ∑ ( x 1 , … , x n ) ∈ F q n f ( x 1 , … , x n ) = 0 {\displaystyle \sum _{(x_{1},\dots ,x_{n})\in \mathbb {F} _{q}^{n}}f(x_{1},\dots ,x_{n})=0} 이다. 다항식 f ( t 1 , … , t n ) = ∏ i = 1 m ( 1 − f i ( t 1 , … , t n ) q − 1 ) ∈ F q [ t 1 , … , t n ] {\displaystyle f(t_{1},\dots ,t_{n})=\prod _{i=1}^{m}(1-f_{i}(t_{1},\dots ,t_{n})^{q-1})\in \mathbb {F} _{q}[t_{1},\dots ,t_{n}]}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f ( x 1 , … , x n ) = { 1 ( x 1 , … , x n ) ∈ V ( f 1 , … , f m ) 0 ( x 1 , … , x n ) ∈ F q n ∖ V ( f 1 , … , f m ) {\displaystyle f(x_{1},\dots ,x_{n})={\begin{cases}1&(x_{1},\dots ,x_{n})\in V(f_{1},\dots ,f_{m})\\0&(x_{1},\dots ,x_{n})\in \mathbb {F} _{q}^{n}\setminus V(f_{1},\dots ,f_{m})\end{cases}}} 이며, deg f = ( q − 1 ) ∑ i = 1 m d i < ( q − 1 ) n {\displaystyle \deg f=(q-1)\sum _{i=1}^{m}d_{i}<(q-1)n} 이다. 따라서, 0 = ∑ ( x 1 , … , x n ) ∈ F q n f ( x 1 , … , x n ) = # V ( f 1 , … , f m ) ⋅ 1 F q {\displaystyle 0=\sum _{(x_{1},\dots ,x_{n})\in \mathbb {F} _{q}^{n}}f(x_{1},\dots ,x_{n})=\#V(f_{1},\dots ,f_{m})\cdot 1_{\mathbb {F} _{q}}} 이다. 즉, p ∣ # V ( f 1 , … , f r ) {\displaystyle p\mid \#V(f_{1},\dots ,f_{r})} 이다. Remove ads역사 1935년에 레너드 유진 딕슨[3]과 에밀 아르틴은 차수가 변수 개수보다 작은 유한체 계수 동차 다항식이 자명하지 않은 해를 가진다고 추측하였다. 클로드 슈발레가 1935년 논문에서 슈발레-바르닝 정리의 약한 형태( # V ( f 1 , … , f r ) ≠ 1 {\displaystyle \#V(f_{1},\dots ,f_{r})\neq 1} )를 증명하였다.[4] 에발트 바르닝(영어: Ewald Warning, 1910~1999)이 1935년 논문에서 슈발레-바르닝 정리( p ∣ # V ( f 1 , … , f r ) {\displaystyle p\mid \#V(f_{1},\dots ,f_{r})} )를 증명하였다.[5] (두 논문은 같은 학술지 같은 호에 연이어 실렸다.) Remove ads참고 문헌Loading content...외부 링크Loading content...Loading related searches...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