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수 0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반단순 리 대수
의 근계

를 고르자. 그렇다면, 근계의 기저의 지표를
라고 하면, 카르탕-베유 기저
![{\displaystyle [H_{i},E_{\alpha }]=\alpha _{i}E_{\alpha }\qquad (\alpha \in \Phi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558bef58b33ecde2cd37055e23f7fc5480c447d9)
![{\displaystyle [H_{i},H_{j}]=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b8d32f1a80df904b21d33f702337372bc13c8c3)
![{\displaystyle [E_{\alpha },E_{\beta }]={\begin{cases}N_{\alpha ,\beta }E_{\alpha +\beta }&\alpha +\beta \in \Phi \\0&0\neq \alpha +\beta \not \in \Phi \\H_{i}&\alpha +\beta =0\end{case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858f0edcb49647e434cfd0dfe16ba8d9c583fa3)

를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저에서의 구조 상수
는 일반적으로 정수가 아니다.
이제,
의 단순근


을 고르고, 그 카르탕 행렬이

라고 하자. 이제,
의 다른 기저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displaystyle [{\tilde {H}}_{\sigma },{\tilde {H}}_{\sigma '}]=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2fbfde59cf2fa152353b7d6e5329c6cddbc6313)
![{\displaystyle [{\tilde {H}}_{\sigma },E_{\alpha }]=A_{ij}E_{\alpha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569f57b26cd9fd10f10812819529cc327d70db5)
![{\displaystyle [E_{\alpha },E_{\beta }]={\begin{cases}N_{\alpha ,\beta }E_{\alpha +\beta }&\alpha +\beta \in \Phi \\0&0\neq \alpha +\beta \not \in \Phi \\\sum _{\sigma \in \Sigma }(\sigma ,\beta )H_{\sigma }&\alpha +\beta =0\end{case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fc578b96775e3d492219f785122cb1752d69871)
가 되어, 모든 구조 상수가 정수가 된다. 이를
의 슈발레 기저라고 한다.
이에 따라, 위 리 괄호로 정의되는 정수 리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가환환
에 대하여,
-리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만약
일 경우, 이는 반단순 리 대수의 분할 형태(영어: split for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