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즈키 젠코
일본의 제70대 내각총리대신 (1911–2004)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즈키 젠코(일본어: 鈴木 善幸, 1911년 1월 11일 ~ 2004년 7월 19일)는 일본의 자유민주당 정치인이자 제70대 내각총리대신 (1980년 ~ 1982년)이다. 메이지 시대에 태어난 마지막 내각총리대신이다.
Remove ads
생애
1911년 1월 11일, 이와테현의 어촌인 야마다정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수산업을 영위하며 생선을 잡아 판매하였다.
스즈키는 도쿄 해양대학에서 수학하여 1935년 학업을 마쳤다.
1948년, 그는 일본자유당에 입당함으로써 정치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1955년, 그는 자당을 비롯한 유사한 정당들의 통합에 기여하였으며, 이는 훗날 일본 정계의 주류 세력으로 자리 잡은 자유민주당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이후 오랜 세월 동안 스즈키는 정부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965년부터 1966년까지는 후생대신으로 재임하였으며, 1976년부터 1977년까지는 농림대신의 직을 맡았다.

스즈키 젠코는 전임 총리 오히라 마사요시의 갑작스러운 서거 이후 제70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하였다.[1] 오히라는 선거 운동 중 심근 경색으로 급서하였고, 그의 죽음은 국민의 깊은 슬픔을 자아내어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에 대한 지지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여론의 지지에 힘입어 자유민주당은 국회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스즈키 내각은 전례 없는 안정적 기반 위에서 출범하였다.
그러나 그의 재임 기간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내각의 인사 변동이 잦았고, 당내 여러 파벌 간의 의견 대립이 때때로 노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즈키는 탁월한 외교 감각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당의 주요 회의를 여러 차례 주도하며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였고, 재임 후에도 국제 외교 무대에서 일본의 위상을 높이는 데 힘썼다. 특히 1988년,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통해 미일 관계 개선에 기여하였다.
2004년 7월 19일, 도쿄에서 향년 93세로 폐렴으로 별세하였다.[2] 부인 사치 여사는 2015년에 별세하였다.
Remove ads
서훈
- 대훈위 국화대수장 (2004년)
가계도
오쿠보 도시미치 1830년-1878년 일본 초대 내무경 | 미시마 미치쓰네 1835년-1885년 사쓰마번 무사·일본 내무성 관료 | ||||||||||||||||||||||||||||||||||||
마키노 노부아키 1861년-1949년 일본 외무대신·농상무대신·문부대신 역임 | 미네코 | 아소 다키치 1857년-1933년 아소 상점 사장, 석탄 광업 협회 회장, 규슈 수력 전기 사장, 중의원 의원, 귀족원 고액 납세자 의원 | |||||||||||||||||||||||||||||||||||
유키코 | 요시다 시게루 1878년-1969년 일본 외무대신, 제45·48·49·50·51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아소 다로 | |||||||||||||||||||||||||||||||||||
요시다 겐이치 1912년-1977년 영문학 번역가, 비평가, 소설가 | 가즈코 | 아소 다카키치 1911년-1980년 사업가, 정치인, 아소 시멘트 회장 | 스즈키 젠코 1911년-2004년 제70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
미카사노미야 도모히토 왕자 1946년-2012년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의 아들 | 미카사노미야 노부코 공주 1955년- 아소 다카키치의 셋째 딸이자, 아소 다로의 여동생 | 아소 다로 1940년- 제92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 지카코 | 스즈키 슌이치 1953년- 전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 | |||||||||||||||||||||||||||||||||
미카사노미야 아키코 공주 1981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미술 관련 논문으로 박사 학위 취득 | 미카사노미야 요코 공주 1983년- | ||||||||||||||||||||||||||||||||||||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