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오스신(Hyoscine), 스코폴라민(scopolamine)[2]은 멀미와 구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수술 전에 침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주사할 경우 약 20분 뒤에 효력이 시작되어 최대 8시간까지 지속된다. 구강이나 스킨 패치로 사용할 수도 있다.[3]
간략 정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식별 정보 ...
히오스신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S)-3-Hydroxy-2-phenylpropionic acid (1R,2R,4S,7S,9S)-9-methyl-3-oxa-9-azatricyclo[3.3.1.02,4]non-7-yl ester |
식별 정보 |
CAS 등록번호 |
51-34-3 |
ATC 코드 |
A04AD01 N05CM05, S01FA02 |
PubChem |
5184 |
드러그뱅크 |
DB00747 |
ChemSpider |
10194106 |
화학적 성질 |
화학식 |
C17H21NO4 |
분자량 |
303.353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hyoscine hydrobromide, scopolamine hydrobromide |
약동학 정보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
생물학적 반감기 |
4.5 hours[1] |
배출 |
콩팥 |
처방 주의사항 |
임부투여안전성 |
B2(오스트레일리아)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skin patch, eye drops, subcutaneous, intravenous, sublingual, rectal, buccal transmucousal, intramuscular |
닫기
히오스신은 1881년 즈음에 처음 문서화되어 1947년에 의학적인 이용이 시작되었다.[4]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이 나열된 WHO 필수 약물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5] 히오스신은 가지과 식물에서 추출하여 만든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