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텝긴털족제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텝긴털족제비(Mustela eversmanii)는 중부 유럽괴 동부 유럽 그리고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족제비과 동물의 일종이다.[2] 여러 보호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고, 서식지 변동에 대해 어느 정도 내성을 갖고 있으며,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Species)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아주 연한 노란색을 띠고 다리쪽과 얼굴 부분은 어두운 색을 보인다.[3] 근연종 긴털족제비와 비교하여, 스텝긴털족제비가 더 크며, 더 튼튼한 두개골 골격을 갖고 있다.[4] 스텝긴털족제비는 먹이, 주로 땅다람쥐류가 절멸될 때까지는 일반적으로 한 지역에 정착하는 유목 동물의 일종이다.[5] 3월과 5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고, 보통 한 번에 3~6 마리의 새끼를 낳아 기르고, 완전히 성장하는 데 2년 정도 걸린다.[6] 우는토끼류와 마멋류 등과 같은 큰 먹이를 사냥한다.[7]
Remove ads
아종
7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8] 베링 육교 지역에서 서식했던 베링스텝긴털족제비(M. e. beringiae)와 현존하는 가장 큰 스텝긴털족제비인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보다 더 컸던 M. e. michnoi 등 멸종한 아종은 제외했다.[9]
- 페트로파블로프스텝긴털족제비 (M. e. eversmanii)
- 중국스텝긴털족제비 (M. e. admirata)
- 아무르스텝긴털족제비 (M. e. amurensis
- 유럽스텝긴털족제비 (M. e. hungarica)
- 티베트스텝긴털족제비 (M. e. larvatus)
- 바이칼스텝긴털족제비 (M. e. michnoi)
- 투르키스탄스텝긴털족제비 (M. e. talassicus)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10]
족제비아과 |
|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