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토브리그 (드라마)
2019년 SBS 금토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스토브리그》는 2019년 12월 13일부터 2020년 2월 14일까지 방송된 SBS 금토 드라마이며 프로야구의 준비과정과 선수들의 약물,불법 도박 등의 이야기를 다룬다.[1]
Remove ads
Remove ads
줄거리
프로야구 팬들의 눈물마저 말라버린 꼴찌 팀에 새로 부임한 백승수 단장이 남다른 시즌을 준비하면서, 새로운 마음을 다시 재기하는 모습을 그린 스포츠 드라마
등장인물
요약
관점
드림즈 관계자
프런트
선수
- 홍기준 : 장진우 역 - 노장 투수
- 채종협 : 유민호 역 - 투수 유망주
- 조한선 : 임동규 역 - 4번 타자. 외야수, 국가대표 4번 타자
- 차엽 : 서영주 역 - 주전 포수
- 김동원 : 곽한영 역 - 주전 내야수
- 김봉만 : 강태민 역 - 내야수
- 장원형 : 이용재 역 - 외야수
- 하도권 : 강두기 역 - 국가대표 1선발급 에이스 투수
치어걸
연지후 하소연 은빛 민지민
전직 선수/스태프
코칭스태프
야구 관계자들
그 외 인물
특별출연
Remove ads
촬영지
시청률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Remove ads
OST
Part. 1
Part. 2
Part. 3
Part. 4
Part. 5
Remove ads
드라마 이모저모
요약
관점
- 제목으로 사용된 '스토브리그(Stove League)'란, 프로야구 정규 시즌이 끝난 휴식기에 팀 전력 보강 차원에서, 팬들이 난롯가에 둘러앉아 선수들의 연봉 협상이나 트레이드 등에 관해 입씨름을 벌이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 프로그램 기획서에 기재된 스포츠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기획 의도는 다음과 같다.
1. 야구 드라마다.
프로야구 경제적 파급 효과 2조원, 프로야구 관중 800만 시대, 역동적인 그라운드, 진한 땀 냄새에 열광하는 프로야구 팬들의 취향 저격하는 이야기.
2. 야구 드라마 같은 오피스 드라마다.
선수가 아닌 단장을 비롯한 프런트들의 이야기다. 프로 스포츠의 게스트(조연)인 프런트를 쫓아가는 이 드라마는 사실 그들이 단순 그림자가 아닌 겨울 시즌의 또 다른 주인공임을 보여줄 것이다.
3. 오피스물 같은 전쟁 드라마다.
패배가 익숙하고 썩어 들어가는 팀을 성장시키는 과정은 결코 익숙한, 아름다운 성장드라마가 아니다.
썩은 것을 도려내기 위해 악랄해지고 진흙탕을 뒹구는 추악하고 처절한 싸움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오늘만 사는 듯 싸워나가는 주인공에 눈살이 찌푸려져도 '사회적 약자이면서도 관성에 저항하는 악귀'를 지켜볼 수밖에 없고 응원하게 되기를 바라며.
4. 전쟁물 같은 휴먼 성장드라마다.
프로스포츠는 가혹하다. 꼴찌 팀은 그들이 꼴찌라는 것을 전 국민이 알 수 있다.
그 팀의 소속이라는 이유만으로 그 팀을 응원한다는 이유만으로 어깨가 처지고 말수가 줄어드는 경험을 해봤는가.
처음부터 꼴찌였던, 벗어나려 발버둥을 쳐도 꼴찌였던 이들은 꼴찌에서 2등만 해도 웃을 수 있다. 불가피하게 어딘가 존재하는 꼴찌들이 기죽지 않는 판타지를 꿈꾸며 이 이야기를 쓰고 있다.
- 남녀간의 알콩달콩한 러브 스토리에만 치중했던 기존 상업적 트렌디 드라마와는 달리, 스포츠 드라마 특유의 흥미성과 휴머니즘을 제대로 잘 조화시킨 이미지로 그 동안 드라마 기근에 시달렸던 수 많은 시청자들에게 큰 호평을 얻으면서, 17% 내외의 압도적인 시청률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여, KBS 2TV 수목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이은 역대 최대 기록으로 꼽힌다.[4]
- 이에 따라 성민규 롯데 자이언츠 신임 단장이 주연 배우인 남궁민의 실명을 따 '남궁민규'라는 별명을 얻는 등, 실제 야구 선수와 프론트도 주목한 드라마로 자리매김했다.[5]
- CJ ENM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2020년 2월 1주(2월 3일 ~ 2월 9일) 콘텐츠 영향력 지수(CONTENT POWER INDEX) 비드라마 종합순위 4위로 선정했으며, 237.9점을 받았다.
- 극 중에서 등장하는 선수들의 성적은 인위적으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 실제 KBO 리그 선수들의 성적을 참고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드라마 속 극적 요소만을 골라서 만들었다.
- 극 중에서 방송된 야구장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한 인천SSG랜더스필드(SSG 랜더스 홈구장)에서 촬영하였다.
Remove ads
설정 및 용어
KPB 리그 구단
- 세이버스 (SABRES)
- HG 바이킹스 (VIKINGS)
- MG 펠리컨즈 (PELICANS)
- 태강 웨일스 (WHALES)
- 재규어스 (JAGUARS)
- 데블스 (DEVILS)
- SV 타이탄스 (TITANS)
- 블랙윙스 (BLACK WINGS)
- 레드호크스 (REDHAWKS)
- 재송 드림즈 (DREAMS)
극중에서 주요 등장 팀은 드림즈, 바이킹스, 펠리컨즈 3개 구단이다.
재송 드림즈
1982년에 창단되었다. 동진시 남구 현성로 618 홈구장 내에 있다. 이후 PF 소프트에 인수되어 PF 드림즈로 개편된 것으로 마무리되는 설정이 있었다.
재송그룹
재송 드림즈는 재송그룹에 의해 만들어져 있었다.
- 권일도: 재송그룹 회장이다.
- 권경민: 재송그룹 상무, 드림즈 구단주 대행이었으나 드림즈 사장이 되었다.
동진시
모티브는 인천광역시다. 극 중 드림즈의 연고지로 설정되었다.
Remove ads
수상 경력
결방 사유 및 스페셜 방송
참고 사항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