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승경궁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승경궁주(承慶宮主, ? ~ 1158년 이전)는 고려의 왕족이다. 인종공예왕후의 장녀이다. 승경궁공주(承慶宮公主)라고도 한다. , 본관개성이다. 의종명종, 신종 등의 친남매이며, 희종강종 등의 고모이다.

간략 정보 승경궁주, 별호 ...
Remove ads

생애

생몰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의종 즉위 후인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6일 동생 덕녕궁주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승경궁주(承慶宮主)의 작호를 받았다.[1] 승경궁주는 문종의 손자 강릉공 왕온의 아들 공화백 왕영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낳았다.[2][3]

승경궁주의 딸 왕씨의 묘지명인 〈왕영녀왕씨묘지명(王瑛女王氏墓誌銘)〉에 '어머니는 승경궁공주 왕씨이며 (중략) 나이 7, 8세가 되기 전에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4]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승경궁주는 최소한 1158년 이전에 사망한 듯 하다.[3]

가족 관계

승경궁주는 강릉공 왕온의 아들 공화후 왕영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공화백은 후에 공화후로 진봉되었으며,[3] 1186년(명종 16년) 6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시호는 정의(定懿)이다[2]. 한편 공화백과 승경궁주의 혼인은 7촌 숙질간에 이루어진 근친혼이다[주 1].

아들은 광릉공 왕면이며 의종의 딸 화순궁주와 혼인하였다. 성격이 순수하고 후덕하며, 침착하고 냉정하였다고 한다. 또 여러 기술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도 한다. 왕면은 1218년(고종 5년) 사망하였다.[2]

딸은 이름은 전하지 않으며 혼인은 하지 않았고, 1185년(명종 15년) 36세를 일기로 창신사(彰信寺)에서 사망하였다. 남동생인 광릉공이 묘지명을 지었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승경궁주의 딸의 묘지명이 남아있다.[3]

승경궁주의 시아버지인 강릉공은 자신의 아들을 인종의 딸과 결혼시키고, 자신의 네 딸은 모두 인종의 아들들과 결혼시켜 왕비가 되는 등 인종과 무려 다섯 겹사돈 관계를 맺고 있다.[5]

  • 아버지 : 제17대 인종(仁宗, 1109~1146, 재위:1122~1146)
  • 어머니 : 인종 제3비 공예왕후(恭睿王后, 1109~1183)
    • 남매 : 제18대 의종(毅宗, 1127~1173, 재위:1147~1170)
    • 남매 : 대령후 왕경(大寧侯 王暻, 1130~?)
    • 남매 : 제19대 명종(明宗, 1131~1202, 재위:1170~1197)
      • 조카 : 제22대 강종(康宗, 1152~1213, 재위:1211~1213)
    • 남매 : 원경국사 왕충희(元敬國師 王冲曦, ?~1183)
    • 남매 : 제20대 신종(神宗, 1144~1204, 재위:1197~1204)
      • 조카 : 제21대 희종(熙宗, 1181~1237, 재위:1204~1211)
    • 동생 : 덕녕궁주(德寧宮主, ?~1192)
    • 동생 : 창락궁주(昌樂宮主, ?~1216)
    • 동생 : 영화궁주(永和宮主, 1141~1208)
  • 시아버지 : 강릉공 왕온(江陵公 王溫, ?~1146)
  • 시어머니 : 미상
    • 남편 : 공화후 왕영(恭化侯 王瑛, 1126~1186)
      • 아들 : 광릉공 왕면(廣陵公 王沔, ?~1218)
      •  : 왕씨 (王氏, 1150~1185)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