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동 | 법정동 | 설명 |
대야동 | 대야동(大也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신현면 일리(一里)였다. 1914년 부천군 소래면 대야리라고 불렸고,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대야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대야리로 관할로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대야동으로 되었다.[4] |
계수동(桂壽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황등천면 오리계일·육리수로곡·육리구미·육리가일·육리건지정·육리고공리·칠리내곡·칠리후곡·칠리덕석곡(五里桂日·六里壽老谷·六里九美·六里佳日·六里乾井里·六里古孔里·七里內谷·七里後谷·七里德石谷) 지역이었다. 1914년 부천군 소래면 계수리라고 불렸고,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계수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계수리로 관할로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계수동으로 되었다.[4] |
신천동 | 신천동(新川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신현면 신촌리, 사천리였고, 1914년 신촌리와 사천리가 합쳐 부천군 소래면 신천리로 바뀌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신천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신천리로 관할로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신천동으로 되었다.[4] |
신현동 | 방산동(芳山洞) | 조선시대 인천부 신현면 죽원(竹院), 방곡리(芳谷里), 산정리(山井里)였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방산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방산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방산리로 관할로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방산동으로 되었다.[4] |
포동(浦洞) | 조선시대 인천부 신현면 국동(局洞), 포동이었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포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포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포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포동으로 되었다. 동주민센터는 포동에 있다.[4] |
미산동(米山洞) | 조선시대 인천부 신현면 창동(倉洞), 고기동(古基洞), 이리(二里)였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미산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미산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미산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미산동으로 되었다.[4] |
은행동 | 은행동(銀杏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신현면 삼리(三里)이었다. 1914년 부천군 소래면 은행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은행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은행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은행동으로 되었다.[4] |
안현동(鞍峴洞) | 조선시대 인천부 전반면 일리양지리(一里陽支里), 일리가대동(一里家垈洞), 일리송내동(一里松內洞), 이리장락동(二里長樂洞)이었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안현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안현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안현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안현동으로 되었다.[4] |
매화동 | 매화동(梅花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전반면 일리양지리·일리가대동·일리송내동·이리장락동(一里陽支里·一里家垈洞·一里松內洞·二里長樂洞) 지역이었다. 1914년 부천군 소래면 매화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매화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매화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매화동으로 되었다.[4] |
도창동(道倉洞) | 조선시대 인천부 전반면 삼리도두리(三里道頭里), 삼리강창리(三里江倉里)이었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도창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도창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도창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도창동으로 되었다.[4] |
금이동(錦李洞) | 조선시대 인천부 전반면 사리(四里), 오리검의리(五里儉義里), 육리(六里)였고, 1914년 부천군 소래면 금이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금이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금이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금이동으로 되었다.[4] |
목감동 | 목감동(牧甘洞) |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 목감리, 율포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목감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목감동으로 되었다.[4] |
물왕동(物旺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물왕리, 상직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물왕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물왕동으로 되었다.[4] |
산현동(山峴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산현리, 궤곡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산현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산현동으로 되었다.[4] |
조남동(鳥南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조남리, 제청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조남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조남동으로 되었다.[4] |
논곡동(論谷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논곡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논곡동으로 되었다.[4] |
군자동 | 군자동(君子洞) | 조선시대에는 안산군의 마유면 구정리, 산북리였다. 1914년 시흥군 군자면 군자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군자동으로 되었다.[4] |
거모동(去毛洞) | 조선시대 안산군 대월면 석곡동(石谷洞), 거모포(去毛浦)였고, 1914년 시흥군 군자면 거모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거모동으로 되었다.[4] |
월곶동 | 월곶동(月串洞) |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월동리(月東里), 월서리(月西里)였고,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월곶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월곶동으로 되었다.[4] |
정왕본동 |
죽율동(竹栗洞) |
안산군(安山郡) 마유면(馬遊面) 죽율리였다.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죽율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죽율동으로 되었다.[4] |
정왕동(正往洞) |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정왕리, 오이리였고,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정왕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정왕동으로 되었다.[4] |
정왕1동 |
〃 |
정왕2동 |
정왕3동 |
정왕4동 |
거북섬동 |
배곧1동 |
배곧동(배곧洞) |
2021년 7월 1일 정왕동 중 배곧신도시 일대가 배곧동으로 분리되었다. |
배곧2동 |
과림동 | 과림동(果林洞) |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황등천면 일리, 이리, 삼리 일부(一里·二里·三里)였다. 1914년 부천군 소래면 과림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과림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과림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과림동으로 되었다.[4] |
무지내동(茂芝內洞) | 조선시대 인천부 전반면 칠리(七里) 지역으로 1914년 칠리능내동(七里陵內洞), 칠리은행동(七里銀杏洞), 칠리중동(七里中洞), 칠리신흥동(七里新興洞)을 합하여 무지리(茂芝里)라 하고 부천군 소래면에 편입되었다.1973년 7월 1일 시흥군 소래면 무지리[2], 1980년 12월 1일 시흥군 소래읍 무지리로 관할이 바뀌었다가[3]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무지동으로 되었다.[4] 1995년 11월 15일 무지동을 무지내동으로 개칭하였다. |
연성동 | 하중동(下中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하중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하중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하중동으로 되었다.[4] |
하상동(下上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하상리, 중직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하상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하상동으로 되었다.[4] |
광석동(廣石洞) | 조선시대 안산군 초산면 광석리, 하하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광석리가 되었다.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광석동으로 되었다.[4] |
장현동(長峴洞) |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장상리(長上里), 조현리(鳥峴里)였고,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장현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장현동으로 되었다.[4] |
장곡동 | 장곡동(長谷洞) |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 장하리(長下里), 도촌리(島村里), 응곡리(鷹谷里)였고, 1914년 시흥군 군자면 장곡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장곡동으로 되었다.[4] |
능곡동 | 군자동 | ↑ 참고 |
능곡동(陵谷洞) | 조선시대 안산군(安山郡) 인화면(仁化面) 능곡리, 북곡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능곡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능곡동으로 되었다.[4] |
화정동(花井洞) | 조선시대 안산군(安山郡) 인화면(仁化面) 화정리, 광곡리였고, 1914년 시흥군 수암면 화정리가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설치에 따라 화정동으로 되었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