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산군
안산시의 전령(全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산군(安山郡)은 1914년에 시흥군과 수원군에 분할 편입되어 사라진 경기도의 옛 행정구역이다. 지금의 안산시 일원과 시흥시 남부, 수원시 권선구 입북동, 군포시 대야동, 송부동 일부, 의왕시 월암동·초평동을 관할하였다.
유래
처음 이름은 장항구(獐項口) 또는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이다. 장항구를 한자의 뜻으로 풀면 노루의 입(또는 목)이 된다. 신라시대에 장단군 대강면에 있던 임강현(臨江縣)의 초기 이름도 '장항'으로 가차 표기가 같은데, 고대 고구려어인지는 확실치 않다. 장항구라는 이름이 당항성과 비슷하다는 점이 주목되기도 한다. '안산(安山)'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 이후부터 쓰였다.
역사
《대동여지도》
- 백제의 영토였으나, 백제가 고구려에 패하여 웅진으로 천도한 후 고구려는 이 지역을 장항구현(獐項口縣)이라 하였다.
-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구군(獐口郡)으로 개칭하였다. 영현(領縣)은 설치되지 않았다.
- 940년: 안산군(安山郡)으로 개칭하였다.
- 1018년: 안산현(安山縣)이 되었다.
- 1308년: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 1895년 음력 윤 5월 1일: 인천부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안산군으로 개편되었다.[2]
- 1906년 9월 24일: 1577년부터 존속해 온 광주군의 견아상입지(또는 월경지)인 북방면(北方面)[3]·성곶면(聲串面)[4]·월곡면(月谷面)[5]이 편입되었다.[6]
- 1912년 2월 5일: 안산군의 동리 명칭이 개정되었다.[7]
- 1914년 4월 1일 : 군이 폐지되고 시흥군과 수원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8년 전에 광주군에서 편입되었던 북방면·성곶면·월곡면은 수원군 반월면(半月面)이 되었다.[8]
- 1986년 1월 1일 경기도 반월지구출장소(시흥군 군자면, 수암면의 각 일부와 화성군 반월면 일부)가 안산시로 승격되면서 옛 안산군이 사실상 부활되었다. 오리지널 안산군 지역은 3분의 1만 얻었다 나머지는 다 오리지널 아님[9]
Remove ads
행정구역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