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르타유드 스리사무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르타유드 스리사무트(영어: Arthayudh Srisamoot, 태국어: อรรถยุทธ์ ศรีสมุทร)는 태국의 외교관이다.[3] 태국 외교부에서 1988년 공직을 시작하여 아세안국 국장(2012~2014), 주오스트리아 대사 겸 빈 국제기구 상주대표(2014~2017), 국제경제국 국장(2017~2018), 외교부 차관보(2018~2019), 주중국 대사(2019~2023) 등을 역임했다.[4][7][6][8][9] 2013년에는 태국과 대한민국이 공동 주최한 ARF DiREx 2013의 기획·운영을 태국측 공동의장으로 총괄했다.[10][11]
Remove ads
생애와 교육
스리사무트는 1962년 12월 29일 출생으로 확인된다.[1][2] 미국 일리노이주의 Monmouth College에서 정부·경제학을 전공해 학사 학위를 받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경제정책 석사를 취득했다.[3]
경력
- 1988–2001: 태국 외교부 본부 및 재외공관 근무(제3·제2서기관, 참사관 등). 마닐라 주재 태국대사관 1등서기관(1992–1996) 포함.[2]
- 2002–2004: 주제네바 유엔 사무국 및 국제기구 상주대표부 참사관(UNCTAD·WIPO 담당).[4]
- 2010–2012: 주밴쿠버 총영사.[4][5]
- 2012–2014: 태국 외교부 아세안국 국장(Director‑General, Department of ASEAN Affairs).[6]
- 2014–2017: 주오스트리아 대사·빈 유엔대표부 상주대표. 2014년 11월 25일 UNOV 사무총장에게 신임장 제정, 12월 16일 UNIDO 상주대표 신임장 제정.[7][13]
- 2016: 방콕 개최 OSCE Asian Conference 개회세션 의장.[14]
- 2017–2018: 태국 외교부 국제경제국 국장(Director‑General, Department of International Economic Affairs).[1]
- 2018–2019: 태국 외교부 차관보(Deputy Permanent Secretary). 2019년 1월 ISEAS 초청 ‘태국의 아세안 의장국 구상’ 강연을 통해 의제와 접근 전략을 제시.[4]
- 2019–2023: 주중국 대사. 2019년 10월 28일 부본(사본 신임장) 접수, 12월 31일 부외교부장 면담. 2023년 10월 23일 ‘이임’ 절차 관련 면담으로 임기 종료가 확인된다.[8][15][9] 2024년 4월 3일 차차이 비리야웨짜쿤 신임 대사가 부본을 제출하면서 후임 체제가 공식화됐다.[16]
- 2019: ‘아세안 커넥티비티 심포지엄’ 개회연설(차관보 자격).[17]
Remove ads
주요 활동
ARF DiREx 2013 기획·운영
스리사무트는 2013년 1월 방콕에서 열린 ARF DiREx 2013 초기기획회의(IPC)와 4월 차암에서 열린 최종기획회의(FPC)를 태국측 공동의장으로 주재했다. 회의는 재난대응 다자협력의 표준운영절차(SOP), 테이블탑 훈련(TTX), 현장훈련(FTX) 모듈을 확정했다.[10][11] 태국 외교부는 2013년 1월 14일 개회 세션을 그가 내무부·대한민국 외교당국 대표와 함께 공동 주재했다고 발표했다.[18]
빈(비엔나) 다자외교
2014년 11월 25일 유엔빈사무국(UNOV) 사무총장에게 상주대표 신임장을 제정하고, 같은 해 12월 16일 UNIDO 상주대표 신임장을 추가 제정했다.[7][13] 2016년 OSCE Asian Conference에서는 개회세션 의장으로 회의를 이끌었다.[14]
대중국 외교(2019–2023)
2019년 10월 28일 부본 접수와 12월 31일 부외교부장 면담을 거쳐 주중국 대사 임무를 개시했다.[8][15] 2023년 10월 23일 이임 면담으로 임기를 마쳤고, 2024년 4월 3일 후임 대사가 부본을 제출하며 교체가 완료됐다.[9][16] 베이징 주재 동안 교육·문화·투자 협력 행사를 다수 주관했고, 코로나19 기간 교민·유학생 지원 활동을 진행했다는 외교부 공개자료가 남아 있다.[19][20]
기타
주중국 태국대사관은 ‘주중국 태국대사 명단’에서 그의 임기를 불기 2562–2566년(서기 2019–2023년)으로 표기하고, 2024년부터 차차이 비리야웨짜쿤이 후임이라고 밝힌다.[21]
연표
연표 (펼치기)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