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메노모리 호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메노모리 호슈
Remove ads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 (あめのもりほうしゅう) 1668년~1755년)는 에도 시대 일본의 의사이자 주자학 계열의 유학자이다. 호슈는 그의 호이며, 본명은 도시요시(俊良)로 뒤에 노부키요(誠清 (のぶきよ))로 고쳤다. 자는 백양(伯陽)이다.

간략 정보 출생, 사망 ...

한문, 조선어, 중국어에 능통했으며, 조선 무역의 중개 역할을 하던 쓰시마 번에서 외교 담당 문관으로 활약하였다. 일본 최초로 조선어 교과서인 《교린수지》(交隣須知)를 집필하였으며, 전문 통역관으로서 통역인 양성학교도 설립하였다. 한일 양국간 대등한 외교관계를 강조했으며, 양국 우호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우삼동(雨森東)이라는 조선식 이름을 사용했다.

Remove ads

생애

요약
관점

기노시타 준안의 문하생으로

간몬 8년(1668년)에 오미국 이카 군 아메노모리 촌(현재의 시가현 나가하마시 다카쓰키 정)에서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인 아메노모리 씨(雨森氏)는 지역의 영주였으나, 오다 노부나가 휘하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고 몰락하였다. 부친은 무사의 신분을 버리고 의사가 되었으며, 호슈도 가업을 잇기 위해 의사 수업을 받았고, 12세의 나이에 교토에서 명의로 이름이 높던 다카모리 마사요시(高森正因)에게서 사사하여 의학을 공부하였다.

1685년경, 에도로 나아가 주자학자 기노시타 준안(木下順庵)의 문하에 들어갔다. 그의 동문으로는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무로 규소, 사카키바라 고슈, 기온 난카이 등이 있었고, 이후 이 네 명과 함께 '기문오선생'이라를 불리게 된다.

겐로쿠(元禄) 2년(1689년)에 기노시타의 추천으로 당시 중개무역으로 윤택한 재력을 지니고 우수한 인재를 찾고 있던 쓰시마 번에 발탁되어 겐로쿠 5년(1692년)에 쓰시마국에 부임, 쓰시마 번의 문교(文教)나 대조선 외교문서를 전담하는 진문역(真文役)이 되었다. 이 사이에 그는 나가사키(長崎)에서 중국어를 배우게 되었다.

조선방좌역

겐로쿠 11년(1698년) 조선방좌역(朝鮮方佐役, 조선 통신사 전담 보좌)을 명받고 15년(1702년)에 처음으로 조선의 부산진에 건너와, 이듬해부터 2년간을 부산 초량왜관에서 차왜로써 머무르며 조선어를 습득하였다. 이 사이에 아메노모리는 조선측의 일본어사전인 《왜어유해》(倭語類解)의 편찬에 협력했고 그 자신도 조선어 입문서인 《교린수지》(交隣須知)를 작성하였다. 당시 일본 유일의 해외 공관이었던 부산의 왜관을 차왜로서 오가면서 조선어를 습득하였는데, 지적 호기심이 대단하여 당시 조선의 선비들이 천대했던 언문(한글)에도 매우 관심을 보이면서 배웠다고 한다.

6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 때인 쇼토쿠(正德) 원년(1711년)과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때인 교호(享保) 4년(1719년), 아메노모리는 바쿠후의 요청으로 신임 쇼군을 축하하고자 조선에서 파견되어 쓰시마에 온 조선 통신사 사절의 에도행을 수행하였고, 쇼군 요시무네 당시의 조선 통신사 제술관이었던 신유한은 귀국 후에 쓴 자신의 저서 《해유록》(海遊錄)에서 아메노모리 호슈의 활약을 적고, 그의 학식에 감탄하였다. 아메노모리는 독실한 인격으로 사람들의 신뢰를 얻었고, 명분이나 덕업을 중시해 자제들의 교육에도 힘썼다.

만년의 나날들

교호 5년(1720년)에는 조선 국왕 경종(景宗)의 즉위를 축하하는 쓰시마 번의 사절단에 참가해 다시 부산포로 건너왔다. 그러나 조선인삼 밀수 등 쓰시마 번의 대조선정책에 불만을 품고 이듬해 조선방좌역을 사임, 가독을 장남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자택에 서당을 열고 저작과 교육에 전념하면서 나날을 보냈다. 아메노모리가 교호 12년(1727년)에 자신의 자택에 연 3년 과정의 조선어학교에서는 수많은 조선어 역관이 배출되었다.

교호 14년(1729년) 아메노모리는 특사로써 다시 한 번 조선의 초량왜관으로 건너오게 된다. 교호 19년(1734년)에는 쓰시마 번주의 소바요닌으로 취임, 번의 정치에 관련된 《치요관견》(治要管見)이나 대조선 외교 지침 《교린제성》(交隣提醒)을 집필하였다. 이러한 그의 저술에서는 문화상대주의 사상이 드러난다는 평가가 따른다.

동문의 유학자이자 평생의 지우였던 아라이 하쿠세키와는 일본국왕 호칭 문제로 대립하였다(아라이 하쿠세키와의 '일본국왕' 칭호 논쟁 항목 참조). 이는 양국 정치체의 수장인 조선 국왕과 일본 쇼군의 문서상 호칭에 관한 문제로, 일본의 체제가 형식적 국가 상징인 천황(天皇)과 실권자인 쇼군으로 이원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조선은 에도 바쿠후의 쇼군에게 일본국대군(日本國大君)이라고 불렀는데, 아라이 하쿠세키는 조선과 동등한 일본국왕(日本國王)으로 호칭할 것을 주장했고, 호슈는 대등한 교류 관계를 들어 이에 반대하였다.

호레키(宝暦) 5년(1755년), 쓰시마 이즈하라(厳原)의 히키치(日吉) 별저에서 사망하였다. 향년 88세. 시호는 일득재방주성청부군(一得斎芳洲誠清府君). 묘는 히키치의 조슈인(長寿院)에 있고, 그 옆에 맏아들 겐노스케(顕之允)의 무덤도 있다.

Remove ads

평가

요약
관점

외교

아메노모리는 조선 연구 성과, 조선 외교에 대한 생각을 담은 《교린제성》(交隣提醒)이나 《인교시송물어》(隣交始松物語), 《조선천호연혁지》(朝鮮践好沿革志)를 남겼다. 아메노모리 호슈는 조선과의 교류를 성신(誠信)으로 하여야 함을 주장했다. 그는 성신은 곧 진실한 마음[實意]이므로 서로 속이지 않고 다투지 않으며 진실을 가지고 교제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조선과 참된 성신지교(誠信之交)를 하기 위해서는 송사(送使)를 사퇴시키고 조금도 그 나라(조선)의 번거로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라이 하쿠세키와의 '일본국왕' 칭호 논쟁

일본의 대조선 외교에서 조선 국왕에 대한 일본측 외교 수반은 바쿠후의 수장인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 즉 쇼군(將軍)이었다. 쇼군은 일단 겉으로는 교토의 천황으로부터 임명되는 존재로 천황의 신하를 자처했지만, 천황과 조정을 대신해 일본의 내정과 외치까지 장악한 실질적인 일본의 왕(The king of Japan)이었다.

임진왜란 이전 조선의 외교 교섭 대상이었던 무로마치 바쿠후(室町幕府)는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명의 건문제에게 사신을 보내어 일본국왕으로 책봉을 받았으며, 이후 대조선, 대명 외교에서 '일본국왕'의 직함이 쓰이기도 하였지만, 《해동제국기》에서 일본 국왕 즉 무로마치 쇼군에 대해 "국왕은 그 나라에서는 감히 왕이라 일컫지는 않고, 다만 고쇼(御所)라 일컬을 뿐이며, 명령 문서는 명교서(明敎書)라 일컫는다. 매년 세정(원단)에 만 대신을 거느리고 천황을 한 번 알현할 뿐, 평상시에 서로 접촉하지도 않는다. 국정(國政)과 이웃 나라의 외교 관계도 천황은 모두 간여하지 않는다."라고 하고 있듯이, 일본 국내적으로는 쇼군이 자기 스스로를 일본의 왕이라고 자처하지 못했다. 쇼군은 그 자체만으로는 단순히 군사령관의 칭호에 지나지 않았고, 조선 및 중국은 자국의 대일본 외교에 있어서 그 외교 교섭의 대상을 오직 '일본 국왕'으로 한정하고 있었다. 에도 바쿠후도 이 점은 마찬가지였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서 에도 바쿠후가 성립되고 쓰시마를 통해 조선과의 국교를 재개하면서 일본측에서 보내는 국서에서는 조선 국왕 앞으로 보내지는 일본측의 수반을 '일본국 미나모토(源)○○'(日本國 源○○)라고 칭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조선과 외교 교섭을 행하는 일본측의 수반에 대한 칭호를 따로 쓰지 않았다. 이는 임진왜란 직후 조선과 일본 양국의 국교 재개를 위한 교섭 과정에서 일본이 조선에게, 조선이 일본에게 보내는 국서를 해당 과정을 중개하는 입장에 있던 쓰시마가 개입하여 의도적으로 위조, 내지 개찬하였기 때문이다.

섬의 경제를 대부분 조선과의 교역에 의존하고 있었던 쓰시마 도주(島主) 소 씨는 처음 일본에서 보내는 국서를 '일본국 미나모토' 운운한 부분을 '일본국왕 미나모토'로 고쳐 조선으로부터 무역 개시의 허가를 받아냈다. 조선측은 쓰시마의 이러한 국서 위조를 알고 있었으나 만주족 등 북방에서의 위협이 가중되고 있는 와중에 일본과의 관계를 굳이 악화된 채로 놔둘 이유가 없다는 논리로 굳이 묻지 않았고, 일본에서도 이후에 보내진 국서에 대한 위조와 조작을 벌였음이 간에이(寛永) 10년(1633년)에 발각되었으나(야나가와 잇켄) 에도 바쿠후 역시 해당 문제에 대해 주동자로 지목된 야나가와 시게오키만을 쓰가루로 유배시키고 번주 요시나리에게는 죄를 묻지 않음으로써 사건을 덮었다. 이를 계기로 바쿠후는 조선에 대해 국서상에서 '일본국 대군'(日本國大君)의 칭호와 일본 연호의 사용을 조선측에 전했고, 간에이 13년(1636년)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 방일 때부터 '일본국 대군'이라는 칭호가 정식으로 사용되었다.

대군은 《주역》(周易)에서 "대군(大君)이 명(命)을 받음이여, 나라를 열고 집안을 일으키도다"(大君有命,開國承家), "무인(武人)이 대군이 되도다"(武人爲於大君), "지혜롭게 임함이니 대군의 마땅함이라"(知臨, 大君之宜) 등에서 보이는데, 대개가 천자(天子)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즉 '일본국 대군'이란 '일본국 천자(황제)'를 의미하는 말로 해석될 소지도 다분하였다.

6대 쇼군 이에노부(家宣) 때에 이르러 쇼토쿠의 치(正徳の治)라 불리는 일련의 정치 개혁이 이루어졌는데, 이를 주도한 것이 아메노모리 호슈의 동문이기도 했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였다. 그가 추진한 정치 개혁에는 당시 많은 경비가 소요되던 조선통신사 대접의 간소화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조선과의 외교에 있어서 쇼군의 지위 향상을 시도한 것이 결코 대조선 국서에 쇼군의 칭호로 쓰이는 '일본국 대군'을 '일본국왕'으로 바꾸는 것이었다. 대군은 《주역》에서 따온 말로 그 자체가 국왕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하쿠세키는 조선에서는 '대군'이라고 하면 국왕의 적자(嫡子)를 의미하는 칭호임을 지적하고 조선 국왕과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이유로 '일본국 대군'이 아닌 '일본국왕'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외교적인 문제뿐 아니라 천황과 쇼군의 관계에 있어서 천황은 명목적인 군주이며 '쇼군'은 천하성패권(天下成敗權, 전국적 군사 지휘권+전국적 통치권)을 가진 전국적 통치권자임을 명확히 하고, 무가관위를 천황-조정으로 이어져 있는 율령제 관직체계에서 자립시켜서 쇼군-바쿠후(국왕)으로 일체화시키고자 하였던 것에 하쿠세키의 노림수가 있었다.

호슈는 이에 대하여 바쿠후의 쇼군은 엄연히 일본이라는 '왕국'의 왕(천황)으로부터 국가 권력을 위임받아 무력으로 통치하는 존재일 뿐임을 강조하여 일본에서 '일본국왕'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은 엄연히 교토의 천황뿐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는 조선과의 외교 문제뿐 아니라 당시 일본의 현실을 보는 호슈와 하쿠세키 두 사람의 시각의 차이도 있었다. 애초에 바쿠후가 있는 에도와 가까운 가즈사(지금의 지바 현) 출신인데다 쇼군의 정치 고문으로 바쿠후 중추 권력의 일원이었던 하쿠세키가 국내외적으로 바쿠후의 이익과 입장을 우선시하는 것은 그가 국수주의자냐 혐한이냐의 문제를 떠나서 당연한 것이었고, 쓰시마의 경제가 조선과의 교역 여하에 따라 일희일비하는 현실뿐 아니라 성리학을 깊이 공부한 데다 체질적으로 쇼군보다 천황을 받드는 존왕 의식이 강할 수밖에 없는 긴키(近畿) 근방에서 자란 호슈에게 천황이 아닌 쇼군이 일본 국왕으로 불린다는 것은 용납하기 어려운 일이기도 하였다. 호슈는 이런 주장을 펴는 하쿠세키를 (바쿠후의 입장을 대변하는) 폭유(暴儒, 깡패 같은 유학자)라고 비난했고, 하쿠세키도 호슈를 "쓰시마 촌구석 선비 주제에 제놈이 뭘 안다고"라고 깠다(《오리타쿠시바노키》).

조선 통신사들의 기록에는 교토의 지식인들이 암암리에 교토의 천황을 왕자(王者), 에도의 쇼군을 패자(覇者)로 부르는 등으로 존왕(尊王) 사상이 퍼져 있었음이 언급되고 있다. 이는 쇼군이 일본이라는 나라(왕국)의 실권자이기는 하지만 정당한 주권자 즉 왕은 교토의 천황뿐이고 쇼군은 어디까지나 천황의 신하로써 일본의 통치를 대행하고 있는 것이라는 유학(성리학)의 명분론에 의한 것이기도 하였다. '존왕' 즉 일본이라는 왕국의 정당한 주권자인 '왕'은 곧 천황뿐이라는 관점에서 쇼군을 '일본국왕'으로 부르게 되면 자칫 진정한 '일본국왕'인 교토의 천황을 부정하는 것이 될 수도 있었다. 또한 '일본국왕'으로써 쇼군을 비상 상황을 상정한 '비제도권'이 아닌 천황으로부터 책봉된 천황 아래의 제후왕으로 자리매김하고 이를 통해 천자(천황)-제후(쇼군)라는 도식으로 천황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서 다스리는 '제도권'의 존재로써 그 위치를 자리매김할 경우 쇼군이라는 지위와 그를 수장으로 하는 바쿠후라는 조직의 '상설 통치기관'으로써의 합법성이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쇼군(제후왕)이 천황(황제)의 하부적인 존재로써 버젓이 천황의 권한을 임시적으로 대행해야만 할 상황이나 명분이 없는 한 제후인 쇼군은 왕인 천황에게서 (처음에 비상 상황을 상정하여 위임받았던) 일본이라는 왕국의 '대권'을 주인인 천황에게 돌려 드려야 마땅하다는 존왕론자들의 주장에 힘이 실리고 바쿠후의 지배 논리 역시 위협받을 여지가 있었다. 이후 하쿠세키가 실각하고, 8대 쇼군 요시무네(吉宗)의 시대에 다시 쇼군의 칭호는 '일본국왕'에서 '일본국 대군'으로 돌아갔다.

어학분야 공헌

호슈는 당시 일본의 학자들과 달리 일본어 어순으로 풀어 읽는 일본식 한문이 아닌 살아있는 중국어(입말)와 조선어를 손수 습득함으로써, 조선사람, 중국사람과 역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고, 다른 언어를 객관적으로 보는 비교언어학적 관점을 지닐 수 있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조선어를 가르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재가 없고, 그 전까지 일본의 조선어 역관들은 왜관 등지에 거주하면서 조선말을 자연스레 몸에 익힌 사람들이었다.

임진왜란 뒤에 왜관에 대한 조선측의 통제가 심해져 왜관 밖을 돌아다니며 조선 사람과 접촉하거나 교류할 기회가 없어지자, 조선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점점 없어져갔다. 호슈는 부산 초량왜관에 있을 때, 조선말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학습 과정에서 익힌 지식을 책으로 엮어 교재로 편집했다. 당시 조선에서는 《왜어유해》라는 일본어 대역학습서가 있었는데, 호슈는 이 책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그 경험을 살려 자신의 조선어 학습서 《교린수지》에 반영했다.

《교린수지》에서는 한자를 달고 거기에 해당하는 조선어 한자의 음과 새김, 또 일본어의 음훈을 실었으며, 실제 그 단어를 쓴 구어체 예문을 실어서 쉽게 익힐 수 있게 하였다. 《교린수지》는 지속적으로 증보, 개정되어 메이지 초기 한국어 학습서로도 쓰였다. 그는 중국어와 조선어를 나란히 공부하면서 조선어의 특징인 토씨 사용, 어순, 동사와 형용사의 활용 등을 주목하였고, 조선 사람이 잘 틀리는 일본어 자음의 유성, 무성 구별 등을 예시로 들어서 발음 학습에도 상당한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문자로 쓰여진 것과 실제 발음이 다른 현상(철자와 발음의 괴리)도 지적하여 세밀한 신경을 썼다. 조선 관리들이 쓰는 한문은 조선어 학습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춘향전》등 언문으로 쓰인 소설 등을 읽으면서 교재로 썼다(중국어를 배울 때도 구어체에 기반한 소설로 배웠다).

또한 쓰시마 번의 정치에 관련된 저작, 교육서, 문집도 많이 남겼고, 수필로 《교창다화》(橘窓茶話), 《다와레구사》(たはれ草) 등이 있다.

Remove ads

저서

  • 《교린제성》(交隣提醒) - 2001년에 한일관계사학회에서 번역 출간하였다.
  • 《인교시송물어》(隣交始松物語)
  • 《조선천호연혁지》(朝鮮践好沿革志)
  • 《교린수지》
  • 《전일도인》(全一道人)
  • 《교창다화》(橘窓茶話)
  • 《다와레구사》(たはれ草) - 2012년에 한국의 태학사에서 《한 경계인의 고독과 중얼거림》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하였다.

일화

  • 호슈는 온갖 외국어에 능통한 사람으로 어느 중국인은 그를 보고 「당신은 다양한 어학에 능통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것은 일본어요」라는 농담을 던졌다고 한다.
  • 사상적으로는 소중화사상을 믿어 자신이 일본인으로 태어난 것을 몹시 후회하며 「내가 중화에 태어났어야 했는데」라며 눈물을 흘렸다는 기록도 후세에 전해진다.
  • 또한 당시 일본에 유행하던 남색(동성애)을 호슈 역시 이상하게 생각하지도 꺼리지도 않았는데, 조선의 통신사 제술관 신유한이 "음(陰)과 양(陽)이 서로 이끌리고 좋아하는 것이야 당연하지만 같은 양과 양끼리 서로 이끌려 좋아한다니 몹시 기괴한 일입니다."라며 불쾌해 하자, 호슈는 "학사께서는 아직 그 즐거움을 모르시는 모양입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 81세의 고령에는 처음으로 가도(歌道)에 뜻을 두어 고대 일본의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를 1천 번 이상을 읽었다고 한다.
Remove ads

참고 문헌

  • 강재언 저(이규수 역) 《조선통신사의 일본견문록》 한길사, 2005년
  • 금병동 저(최혜주 역) 《일본인의 조선관 일본인 57인의 시선 그 빛과 그림자》 도서출판 논형, 2008년
  • 나카오 히로시 저(유종현 역) 《조선통신사 이야기 한일 문화교류의 역사》 도서출판 한울, 2005년
  • 나가도메 히사에 저(최사호 역) 《아메노모리 호슈 조선을 사랑한》 어드북스, 2009년
  • 閔德基 (94.5). 新井白石·雨森芳洲의 對朝鮮外交와 관련한 텐노(天皇)觀. 사학연구 (한국사학회) (48): pp.127-157.
  • 이진희 저(김익한 역) 《한일교류사 학고재신서14》 학고재, 1998년
  • 하타 나가미(波田永実) (2016년 2월). 일본국왕 호칭에 대한 일고찰-국가론의 시점에서 (일본어). 유쿄호카쿠(流経法學) (15).
  • 허경진 《조선의 르네상스인 중인》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년
  • 호사카 류지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김영사, 2007년
Remove ads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