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바카비르/라미부딘

후천면역결핍증 치료용 복합제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바카비르/라미부딘
Remove ads

아바카비르/라미부딘(abacavir/lamivudine)키벡사(Kivexa)라는 상호명으로 판매되는, 후천면역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한 고정 용량의 항레트로바이러스 복합제제이다.[2] 위 약물은 아바카비르라미부딘을 함유하고 있다.[2] 기타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 같이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2] 아이들 치료에 선호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3] 정제로, 경구복용한다.[2]

간략 정보 복합약, 식별 정보 ...

흔한 부작용으로는 불면증, 두통, 우울증, 피로, 오심, 발진과 발열이 있다.[2] 심각한 이상반응으로는 고젖산혈증, 알레르기 반응과 간 비대가 있다.[2] HLA-B*5701이라는 특정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권장되지 않는 치료약물이다.[2] 임산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사용을 해도 괜찮은 것으로 보인다.[4] 라미부딘(lamivudine)과 아바카비르(abacavir)는 둘 다 뉴클레오사이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s)이다.[2]


아바카비르/라미부딘은 2004년 미국에서 사용 승인을 받았다.[2]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약물 리스트(World Health Organization's List of Essential Medicines)에 올라가있는 약물 중 하나이다.[5]

Remove ads

사회 및 문화

상품명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키벡사(Kivexa)로 판매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ViiV Healthcare라는 제약회사의 상품명 엡지콤(Epzicom)이 판매되고 있다.[6]

법적 해결과제

테바 제약회사(Teva Pharmaceuticals)와 루핀 제약회사(Leading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Lupin Ltd) 둘 다 아바카비르, 라미부딘과 아지도티미딘(AZT)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에 대해 미국의 약식 신약허가 신청(ANDA)을 했으며 이와 관련해 특허 분쟁이 진행 중이다. 2013년 미국 지방 법원에서 엡지콤(Epzicom)과 트리지비르(Trizivir)에 대한 특허권의 타당성을 인정하였다. 이 외의 사항들은 2014년 11월 20일 현재 소송 또는 항소가 진행 중이다.[7]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