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세트알데하이드

화합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세트알데하이드(영어: acetaldehyde 애시트앨더하이드[*] /ˌæsitˈædəhˌaid/) 또는 아세트알데히드(독일어: acetaldehyd)는 알데하이드 화합물의 일종이다. 에탄알(Ethanal)이라고도 한다.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Remove ads

분자식CH3CHO이다. 상온에서는 무색 액체로 존재한다. 녹는점은 -123.5°C, 끓는점은 20.2°C이다.[10] , 에탄올, 에테르와 잘 섞인다. 연소열은 218.9kcal이다.

체내에서는 의 주성분인 에탄올의 대사과정에서 형성되는 대사산물이며, 숙취의 원인이다. 간에 있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다시 아세트산으로 분해해 알코올 대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ALDH가 부족할 경우 술을 마시면 얼굴이 금방 붉어지게 된다.[11][12]

에서 떫은맛이 사라지는 이유와 관련되어 있는데, 의 무기호흡 과정에서 생성되어 떫은맛의 원인인 타닌과 중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 떫은맛이 사라지게 된다.[13]

Remove ads

반응

아세트알데하이드가 관여된 반응으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10]

  • 암모니아성 질산 은 용액(톨렌스 시약)과 반응하여 을 생성한다. 이 반응을 은거울반응이라고도 한다.
  • 펠링 용액과 반응하여 산화 구리(I)을 생성한다.
  • 아황산으로 인해 탈색된 로자닐린과 반응하면 로자닐린의 분홍색이 다시 나타난다.
  • 과 0°C 이하에서 반응하여 메타알데하이드를 생성한다.
  • 오염화 인과 반응하여 1,1-다이클로로에테인을 생성한다.
  • 염소와 반응하여 클로랄(CCl3CHO)를 생성한다.
  • 황화 수소와 반응하여 싸이오아세트알데하이드(CH3CHS)나 (CH3CHS)3를 생성한다.
  • 페닐 하이드라진과 반응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 페닐하이드라존(CH3-CH=N-NH-C6H5)를 생성한다.
  • 세미카바자이드와 반응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 세미카바자이드(CH3-CH=N-NH-CO-NH2)를 생성한다.

이중 암모니아성 질산 은 용액, 로자닐린, 페닐 하이드라진, 세미카바자이드와의 반응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검출에 널리 사용된다.[10]

Remove ads

제법

공업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대량생산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10]

용도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10]

안전성

섭취 시 위장에 자극을 주고 구역질, 구토,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삼킬 경우 해롭다. 중추신경억제제로 작용한다.[14]

흡입 시 기도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고농도에는 마취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노출될 경우 중추신경억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증기는 어지러움 또는 질식을 일으킬 수 있으며, 폐수종이 있을 수 있다. 다량을 흡입할 경우 호흡 항진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뒤 호흡 불량, 경련, 호흡계 마비로 인한 사망에 이를 수 있다.[14]

피부를 자극하고, 민감하게 만든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다.[14]

눈에 심각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증기는 눈을 자극할 수 있다. 일시적인 각막의 손상을 줄 수 있다. 최루 효과가 있다.[14]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참고 문헌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