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아시아에서 진행중인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시아의 코로나19 범유행
Remove ads

다음은 아시아에서의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설명이다.

간략 정보 병명, 바이러스 종류 ...

확진자 발생 국가

요약
관점

네팔

대만

대한민국

Thumb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발병 현황

대한민국의 코로나19 첫 발병은 2020년 1월 20일에 발생했다.[1] 그 중에서도 대규모로 확진자가 증가한 시기는 2월 19일에서 20일, 특히 20일에는 58명, 21일까지 총 346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이 확진되었다.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대구광역시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예배에 참석한 "31번 환자" 확인 이후 급격히 확진자 수가 늘어났다고 밝혔다.[2] 2020년 2월 20일 (2020-02-20) 기준, 대한민국은 중국과 다이아몬스 프린세스에 이어 3번째로 확진자 수가 많은 국가가 되었다.[3] 2020년 3월 14일 (2020-03-14) 기준으론 4번째로 많은 국가가 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첫 지역사회 전파 사례로부터 1주일 이내 66,650명 이상이 테스트를 받았고, 하루 1만 명 이상 빠르게 테스트를 시행하였다.[4]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조지아

압하지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마카오

홍콩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타지키스탄

태국

튀르키예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