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

우즈베키스탄의 고속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
Remove ads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우즈베키스탄의 양대 도시인 타슈켄트사마르칸트를 잇는, 길이 600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타슈켄트주, 시르다리야주, 지자흐주, 사마르칸트주를 통과한다. 노선에는 아프로시욥(Afrosiyob)이라는 운행 계통명을 가진 고속철도가 매일 운행한다.

간략 정보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 아프로시욥, 기본 정보 ...
Remove ads

개요

2015년 8월 22일, 최고 속도 160km/h의 남부 도시 카르시행 연장선이 개통하였으며,[1] 2016년 8월 25일에는 부하라까지 가는 연장선이 개통하여, 사마르칸트로부터 256 km에 달하는 구간의 현대화 공사의 마침표를 찍었다. 타슈켄트부터 부하라까지의 총 노선 길이는 600 km로, 기존에 7시간이 걸리던 거리를 3시간 20분 만에 주파한다.[2]

역사

Thumb
타슈켄트 중앙 철도역

2011년 3월 11일, 총 건설비로 약 7천만 달러를 사용하여, 공사가 시작되었다.[3][4] 고속철도 공사에는 새 선로 건설, 기존 선로 개량, 현대식 신호 체계 도입이 포함되어 있었다.[5] 고속철도 운영이 가능한 새 선로 건설에 더해, 부하라히바에는 저속 철도가 새로 건설되었다.[4] 건설된 고속철도의 총 길이는 344 km로, 최고 운행 속도는 250 km/h이며, 타슈켄트부터 사마르칸트까지 약 2시간이 걸렸다.[5] 당초 2011년 9월 경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었지만,[6] 예상과 달리 지연되었다.[7]

Thumb
아프로시욥 열차 내부

2009년 11월, 탈고에 3800만 유로로 고속철도에서 사용하기 위한 열차 2편성을 발주하였다.[4][8] 발주 비용은 우즈베키스탄 철도와 우즈베키스탄 재건 채권이 나눠 부담하였다.[5] 각 편성에는 동력차 2칸, 승객차 8칸과 식당칸이 있었으며, 257명을 태울 수 있었다.[8] 완성된 운행 열차 탈고 250 중 첫 번째 편성은 2011년 7월 22일 타슈켄트에 도착했으며,[8][9] 두 번째 편성은 같은 해 12월 9일에 타슈켄트에 도착했다..[10] 2011년 8월 26일에는 먼저 도착한 편성이 타슈켄트에서 사마르칸트까지 시험 운행을 진행하였다.[11][12] 2017년에는 추가로 두 편성이 더 도입되었다.[13]

2011년 10월 8일, '아프로시욥'이라는 상표를 달고 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14][15] 운행 초기에는 운행 시간이 2시간 반을 넘겼었으나,[16] 2013년 2월 10일부터 2시간 8분으로 단축되었다.[17]

열차 운행 빈도는 2012년 1월 1주일에 5번까지 늘었고,[18] 2012년 2월 13일에는 매일 운행하기 시작하였다.[19]

연장

고속철도는 우즈베키스탄 비단길을 완성하기 위해 우르겐치를 거쳐 히바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2018년 12월에는 우르겐치와 히바를 연결하는 30 km 길이의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부하라와 우르겐치 사이 구간은 2021년 완공 예정이었으나,[20] 2022년 2월 기준 아직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21] 완공될 경우, 타슈켄트부터 히바까지의 운행 시간은 7시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21]

2022년 가을부터 고속철도의 운행을 위해, 부하라에서 우르겐치를 거쳐 히바로 가는 452 km 노선의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었다.[22]

Remove ads

운행 구간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