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프리카들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프리카들개
Remove ads

아프리카들개 또는 리카온(Lycaon)은 아프리카들개속의 유일종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개과동물이다. 학명은 리카온 픽투스(Lycaon pictus). 개속의 동물들과는 발가락 수와 치아 배열이 달라서 구분된다. 리카온의 치아는 초육식성에 적합하게 적응되어 있다.[2] 리카온은 과거 서식지의 거의 대부분에서 사라졌으며, IUCN에 의해 절멸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 현재 개체수는 대략 39집단 6,600 개체이며, 그 중 완전히 다 자란 성체는 1,400 마리에 불과하다. 개체수 감소는 현재진행형이며, 그 원인은 서식지 침해, 인간의 밀렵, 질병 등 다양하다.[1]

간략 정보 아프리카들개, 생물 분류ℹ️ ...

리카온은 매우 사회적인 동물로, 암수가 각각 계급적 을 꾸려서 살아간다.[3] 사회적 육식동물로서는 특이하게도 성적으로 성숙한 뒤 팩에서 쫓겨나는 것이 수컷이 아닌 암컷이다. 또 어린 개체들은 생고기를 먹을 수 없고 시체부터 먹어야 한다. 리카온은 주행성 사냥꾼으로, 영양류를 탈진할 때까지 추격해 사냥하는 데 전문가이다.[4] 다른 개과동물들처럼 리카온은 먹이를 되새김질해서 새끼들에게 먹여 주는데, 성체가 되어도 이것은 계속된다. 이는 마치 리카온 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행동처럼 보인다.[5] 천적은 거의 없으나 사자에게 먹이를 빼앗기는 일이 많고, 다 잡은 먹이를 점박이하이에나나일악어에게 갈취당하는 절취기생을 당하기도 한다.[6] 여러마리 무리를 지어 힘을 합해서는 얼룩말, , 아프리카물소, 혹멧돼지도 잡아먹는다.

아프리카 민담이나 문화에서 리카온은 딱히 다른 아프리카 육식동물들만큼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는 않다.[7] 다만 몇몇 수렵채집사회에서 존중을 받아왔는데, 특히 왕조시대 이전 이집트[8][9][9] 부시먼족이 그러하다.[10]

국내에선 서울대공원, 대전 오월드, 에버랜드,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보유한 적이 있으나, 전시한 환경이 모두 열악했기에 노령으로 인해 집단으로 폐사하였다.

Remove ads

아종

  • 케이프리카온 ( L. p. pictus) - 승명아종
  • 동부리카온 ( L. p. lupinus)
  • 서부리카온 ( L. p. manguensis)
  • 차드리카온 ( L. p. sharicus)
  • 소말리리카온 ( L. p. somalicus)

계통 분류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11][12][13]

개과
회색여우속

섬여우Thumb

회색여우Thumb

큰귀여우

너구리Thumb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스위프트여우

키트여우Thumb

북극여우

붉은여우Thumb

흰꼬리모래여우Thumb

코사크여우Thumb

벵골여우

덤불개Thumb

갈기늑대

게잡이여우Thumb

작은귀개Thumb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여우

남아메리카여우속

회백색여우Thumb

다윈여우

팜파스여우Thumb

남아메리카회색여우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가로줄무늬자칼Thumb

검은등자칼

아프리카들개Thumb

승냥이

황금자칼Thumb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황금늑대

코요테

회색늑대Thumb

(회색늑대의 아종)

붉은늑대(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