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동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동시의 시내버스는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에 관한 항목이다. 경안여객, 동춘여객, 안동버스의 3사가 운행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공동 배차제를 시행하다가 2018년 1월 1일 운행사 권역별 책임 노선제가 실시되었다.[1]
개요
주로 서울과 경기도, 부산 지역에서 사용한 중고 디젤버스가 많으며[2] 유로Ⅲ형 엔진이 장착된 디젤 시내버스가 대부분이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 대기환경 특별법에 의거해서 디젤버스를 CNG버스로 대폐차하게 되어서 서울 지역 버스 회사들이 디젤버스를 다량 매각하게 됨으로써 중고 버스가 많아진 것이다.
버스 운임은 성인 1,500원, 학생 1,200원, 어린이 800원이나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운임이 현금 승차 시보다 100원 할인 된다. 카드 가격은 3,000원이다. 본래는 센스패스의 탑티머니를 이용했으나, 탑티머니의 단종 이후에는 현재는 한국스마트카드의 티머니가 주 교통카드다. 그 전에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 지역에서 사용되는 티머니 교통카드를 안동시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며, 탑티머니 교통카드도 서울 시내버스와 지하철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3][4]
2013년 9월 9일부터 후불교통카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해당 카드는 KB국민카드, 삼성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비씨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다.
2010년 1월 1일부터 시내버스 전 노선으로 무임 환승 및 환승 할인제를 실시하고 있다. 하차 1시간 이내에 하차한 노선과 다른 노선의 시내버스를 1회에 한해 이용할 수 있다.[5]
경상북도 경주시와 같이 기아 그랜버드로 시내버스를 운영하기도 하였다.[6]
2011년에는 안동시내버스 최초로 중저상버스가 도입되었다.[7]
캐시비, 탑패스(원패스 포함) 카드는 안동시에서 이용할 수 없다.
2014년 11월 1일 자로 센스패스가 안동시의 교통카드 사업을 한국스마트카드에 이관함으로써 스마트 티머니가 주 교통카드로 변경됐으며, 2015년에 탑티머니는 완전히 단종됐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 북부 지역에서는 모두 스마트 티머니가 통용되게 됐다.
2018년 1월 1일부터 3사가 권역별 책임 운행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3월 24일로 기존 2자리 노선 번호 앞에 권역 번호를 붙이게 되어 3자리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Remove ads
주요 운수 업체
안동시 차적의 버스 노선
급행버스
시내 노선
기타 노선
지선 노선
Remove ads
시간표
611번 버스(임동면, 아래 링크 첨부 엑셀 파일 임동면 탭) https://bus.andong.go.kr/m04/s01.detail.do?c=20700&i=20710&id=16
주요 버스 운임
기본 운임은 다음과 같다. 또한 2010년 1월 1일을 기하여 좌석버스 운임과 안동시내 구간 운임이 폐지되었다.
2013년 3월 1일부터 시계외 구간요금제도가 완전히 폐지되어 어떤 차적의 노선도 구간요금을 받지 않는다.
2016년 1월 1일부터 시내버스요금이 100원 인상된다.
2021년 5월 1일부터 시내버스요금이 100원 인상되었다.
외부 링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