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알도스테론
부신겉질에서 만들어지는 무기질코르티코이드 호르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알도스테론(aldosterone)은 부신의 겉질의 한 층인 사구대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무기질코르티코이드에 속한다.[1][2]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일어나는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와 칼륨 이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3]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체내 수분량, 혈압, 혈액량에도 영향을 미친다.[4] 알도스테론은 콩팥, 침샘, 땀샘, 잘록창자 등에서 나트륨을 보존하는 데에 필수적이며, 나트륨과 칼륨, 혈압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조절되지 않는 알도스테론 분비는 병을 일으켜 심혈관질환과 콩팥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5] 심장에서 분비되는 심방성 나트륨이뇨펩타이드(ANP)와는 그 작용이 완전히 정반대이다.[4]
Remove ads
알도스테론은 레닌 안지오텐신계의 일부분이다. 혈장 반감기는 20분 이하이다.[6] 알도스테론은 혈액 양을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기 때문에 알도스테론의 분비나 작용 과정을 방해하는 약은 혈압을 낮추는 데 쓰일 수 있다. 이런 고혈압에 사용되는 약에는 안지오텐신 변화효소(ACE)를 억제하는 ACE 억제제가 있다. 이들은 알도스테론 작용을 막으므로 나트륨과 수분 저류를 감소시키고 칼륨의 배설을 막는다. 또 다른 알도스테론 관련 약물인 스피로놀락톤은 알도스테론 수용체를 막아 혈압을 낮춘다. 스피로놀락톤은 고리 이뇨제 등이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것과 대조적으로 칼륨 재흡수를 촉진하므로 칼륨 보존 이뇨제라고 한다.
애디슨병은 알도스테론의 활동이 감소된 경우이고, 콘 증후군에서는 그 활동이 증가된다. 알도스테론을 처음 분리한 것은 1953년 실비아 심슨과 제임스 프란시스 타이트로,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도 이에 협력했다.[7][8][9]
Remove ads
같이 보기
추가 이미지
- 쥐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합성 경로
- 코르티코스테론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