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야프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야프어(Yapese)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야프섬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한다. 이 이상으로 자세히 분류하기는 어려우나, 애드미럴티제도어군에 속할 수도 있다.[2]
문자

야프어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1970년대까지의 야프어 철자법에서는 성문 파열음을 독립된 글자로 적지 않았다. 단어 끝의 성문 파열음은 마지막 모음 글자를 두 번 적는 것으로 나타냈다. 자음의 성문음화는 아포스트로피로 나타냈다. 1970년대에는 모음 글자를 두 번 적어 장모음을 나타내는 정서법이 만들어졌고, 성문 파열음이 적히지 않았을 때의 중의성을 막고자 성문 파열음을 q로 적었다. 이렇게 q를 쓰는 새 정서법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야프섬에 관한 많은 저작과 지도에서 이 정서법으로 지명을 나타내며, 야프어와 그 정서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스러울 만큼 많은 q 자가 쓰인다.
Remove ads
음운론
요약
관점
모음 하나로만 이루어진 일부 문법적 형태들을 제외하면, 음절 구조는 CV(C)이다.
자음
야프어는 방출 마찰음이 존재하는 세계에서 비교적 드문 언어들 중 하나이다.[3] 야프어의 방출음은 /pʼ tʼ kʼ θʼ/이다. 또한 성문음화된 비음 /mˀ nˀ ŋˀ/과 접근음 /jˀ wˀ lˀ/이 있다.[4]
아래 표에는 각 음소가 야프어 정서법에서 그에 해당하는 자소와 짝지어 나열되어 있다.
/h/ <h>와 /j/ <j>는 영어 및 일본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그러나 /j/ <y>는 고유어에도 나타난다).
모음
아래 표에는 각 음소가 야프어 정서법에서 그에 해당하는 자소와 짝지어 나열되어 있다.
Remove ads
문법
형태론
중첩
야프어는 (1a-b)처럼 기동 형용사에서 상태 형용사를 파생시키거나, (2a-b)처럼 동사의 지소형을 만드는 등 여러 형태론적 기능에 중첩을 이용한다.[4]
(1a) roow become.red '빨개지다'
(1b) roow~roow STAT~red '빨갛다'
(2a) toey chop '썰다'
(2b) si-toey~toey DIM-DIM~chop '조금 썰다'
대명사
야프어의 인칭 대명사는 세 가지 문법적 수(단수, 쌍수, 복수)와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청자 포함 여부를 구별한다.[4]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