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양주남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양주남
Remove ads

양주남(梁柱南, 1912년 3월 8일 ~ 생사불명)은 일제강점기영화 감독시인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다.

간략 정보 양주남 梁柱南, 출생 ...
Remove ads

소속

생애

요약
관점

생애 초기와 어린 시절

본관(관향)남해(南海)이고 호(號)는 풍송(豊松)· 귤산(橘山)· 기현(岐峴)이다.

일제 강점기 경성부에서 출생한 그는 전라북도 남원전라남도 해남경상남도 남해경기도 시흥경기도 과천경기도 고양경기도 개풍경기도 개성황해도 장연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고 이후 경성 공옥소학교 2학년 때이자 9세 시절이던 1920년에 부친상을 치렀다.

친척 관계

그의 6촌 재종형은 문학평론가·시인·수필가·국어국문학자·영어영문학자번역문학가 양주동(梁柱東, 1903년 6월 24일 ~ 1977년 2월 4일) 前 동국대학교 대학원 원장이다.

영화 및 문학 분야 활약 절정기와 은퇴

그는 시인 겸 아동극작가 및 국어국문학자수필가 모기윤(毛麒允, 1912년 2월 29일 ~ 1983년 6월 30일) 前 한글학회 이사장과도 문학 교류를 하였으며 그는 한때 그의 문하에 정일성· 윤삼륙· 전세권· 김벌래 등이 교습하였고 트로트 가수영화 기획가영화제작자 고복수(高福壽, 1911년 12월 29일 ~ 1972년 2월 10일)·영화감독영화 시나리오 각본 작가기획가 조긍하(趙肯夏, 1919년 8월 16일 ~ 1982년 1월 28일) 등과도 각각 영화 기획 투자 교류 협상을 시도하기도 한 그는 이처럼 서울에서 영화예술가연극연출가문학작로 활발히 활약을 하다가 1977년 이후에는 경기도 안양에 전격 낙향하여 그곳에 거주하였고 이듬해 1978년 영화와 문학 및 연극연출을 비롯한 예술 분야에서 사실상 은퇴하였다.

학력

주요 경력

Remove ads

작품

영화 감독작

영화 편집감독작

영화 음향연출작

영화 동시녹음연출작

영화 음향감독작

영화 현상감독작

영화 녹음기술작

영화 녹음감독작

영화 촬영감독작

사진집

  • 1955년 《삼한 이남의 산하》

수필집

  • 1958년 《강릉에서 춘천까지 소박한 여행로》

시집

연극 연출작

수상 및 서훈 경력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