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언론통폐합

제5공화국의 일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언론 통폐합 정책(言論統廢合 政策, 영어: Policy for Merger and Abolition of the Press)은 1980년 11월 30일부터 대한민국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에 의해 추진된 언론 통폐합 조치이다.

전개

  • 1979년 10·26 사건12·12 군사반란을 거치면서 실권을 잡은 전두환은 계엄포고령에 따라 모든 언론 보도를 검열했다.
  • 1980년 2월 전두환은 보안사 정보처에 언론반을 신설했다.
  • 언론반에서는 K공작계획으로 언론인을 회유하고 언론사의 논조를 민주화 여론에 부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언론 공작을 했다.
  • 이러한 언론인 접촉 공작은 1980년 8월 하순까지 추진됐다. 보안사와 중앙정보부는 파악된 언론인들의 동정, 언론사 시안 등을 토대로 언론의 공정성,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해 언론 통폐합 사전 작업을 했다.[1]
  • 1980년 11월 11일 신군부는 정국 안정을 위해 언론통폐합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언론통폐합의 실행을 결심하고, 허문도 등은 「언론창달계획」을 입안, 1980년 11월 12일 전두환 대통령의 결재를 득한 후, 집행을 보안사에 위임했다.
  • 집행을 위임받은 보안사는 1980년 11월 12일 오후 6시경부터 언론사 사주들을 연행․소환하여 통폐합조치를 통보하고 이의가 없다는 내용의 각서를 받았다.[2]
  • 전두환 대통령의 지시 아래, 1980년 11월 14일 한국방송협회, 신문협회 등은 총회를 열고 방송, 신문 통합 등 소위 '대한민국 언론의 개혁'을 골자로 하는 건전 언론 육성과 창달에 관한 결의문을 발의했다.
  • 이에 따라 중앙지 신문은 7개에서 6개로, 지방지 신문도 14개에서 10개로 줄었다. 합동통신과 동양통신이 해체·통합되면서 연합통신이 설립되어 대한민국의 유일무이한 통신사가 됐다.
자세한 정보 언론사, 구분 ...
Remove ads

같이 보기

방송사
인물
법률 및 기관 등 기타 관련 항목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