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명 1-대수(해석)적 증명법]
라고 가정하자.
그러므로,
임을 증명하면 된다.
를 대입해 주면,
![{\displaystyle f\left(x+{\frac {1}{n}}\right)=\left[x+{\frac {1}{n}}\right]+\left[x+{\frac {2}{n}}\right]+\cdots +\left[x+1\right]-[nx+1]=\left[x+{\frac {1}{n}}\right]+\left[x+{\frac {2}{n}}\right]+\cdots +\left[x\right]+1-[nx]-1=f(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0cde395de4ad7d0eaf805ed937fb86f2ad6966a)
가 된다.
즉,
은 주기가
인 주기함수가 된다.
(추가로
일 때
는 주기가
인 함수이다.)
그러므로
인
에 대하여
임을 증명하면 되는 것이다.
![{\displaystyle 0\leq x<{\frac {1}{n}},[x]=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3434f89c414d3d1f112bc82c2bca3b34c0e561b7)
![{\displaystyle 0\leq x+{\frac {1}{n}}<{\frac {2}{n}},\left[x+{\frac {1}{n}}\right]=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9d40e9b27a7ba35a61df17f09ac96513b054e71)
.
.
.
![{\displaystyle 0\leq x+{\frac {n-1}{n}}<1,\left[x+{\frac {n-1}{n}}\right]=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0e3640c9a6fe020df4a7c0ee265923a293da836)
![{\displaystyle 0\leq nx<1,[nx]=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3cd1e8d0cea813c8ccee993b52f2043e8d0e5f5)
위의 식을 다 더하면
.
따라서 에르미트 항등식은 성립한다.
[증명2-정수적 증명(바닥함수의 정의 이용)]
라고 가정하자. (단,
은 정수,
이다.)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가 성립한다. (
는 자연수)
또한, 두 부등식
,
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이 되고 양변에
를 더해 주면,
이 되고,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므로,
![{\displaystyle \sum _{k=0}^{n-1}\left[x+{\frac {k}{n}}\right]=[x]+\left[x+{\frac {1}{n}}\right]+\left[x+{\frac {2}{n}}\right]+\cdots +\left[x+{\frac {n-1}{n}}\right]=[n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bc231a450b4730b3765deb55707b62033d842949)
이로써 에르미트 항등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