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미트 미분 방정식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에르미트 미분 방정식(영어: Hermite differential equation)의 해를 이룬다.

여기서
는 임의의 상수이다. 즉,
는 미분 연산자

의 고유함수이다.
점화식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아펠 다항식열이므로, 점화식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선형 범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에르미트 다항식이 만족시키는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즉


이다.
생성 함수
에르미트 다항식열의 지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이는 에르미트 다항식의 계수의 지수 생성 함수

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음계산법을 사용하면,

이다.
미분과 적분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에르미트 다항식은 아펠 다항식열을 이루므로, 이는 음계산법으로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적을 수 있다.

갈루아 군
인 경우,
는 기약원이다.
인 경우,
는 기약원이다.
다음과 같은 다항식열
을 정의하자.


이들 다항식의
위의 분해체의 갈루아 군은 항상 대칭군이다.[1][2][3]:274, Example 8(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