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에르미트 다항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에르미트 다항식
Remove ads

수학에서 에르미트 다항식(Hermite多項式, 영어: Hermite polynomial)은 직교 관계를 만족시키는 일련의 다항식들이다.

Thumb
확률론 에르미트 다항식 의 그래프 ()
Thumb
물리학 에르미트 다항식 의 그래프 ()
Remove ads

정의

요약
관점

에르미트 다항식은 확률론물리학에서 쓰이는 정의가 조금씩 다르다.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 은 다음과 같다.

물리학에서 쓰이는 에르미트 다항식 은 다음과 같다.

이 문서에서는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 정의를 사용한다.

확률론의 에르미트 다항식들은 아펠 다항식열을 이룬다. 즉, 다음과 같은 수열을 정의하자.

여기서

이중 계승이다. 그렇다면,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는 아펠 다항식열음계산법으로 간편하게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변수 에 대하여 선형 범함수

를 정의하면,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즉, 구체적으로 은 다음과 같다.

의 역범함수는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직교성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직교 관계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크로네커 델타이다. 또한, 이들은 힐베르트 공간 의 완비기저를 이룬다. 여기서 은 다음과 같은 내적이 주어진 함수공간이다.

에르미트 미분 방정식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에르미트 미분 방정식(영어: Hermite differential equation)의 해를 이룬다.

여기서 는 임의의 상수이다. 즉, 는 미분 연산자

고유함수이다.

점화식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아펠 다항식열이므로, 점화식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선형 범함수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에르미트 다항식이 만족시키는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이다.

생성 함수

에르미트 다항식열의 지수 생성 함수는 다음과 같다.

이는 에르미트 다항식의 계수의 지수 생성 함수

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음계산법을 사용하면,

이다.

미분과 적분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에르미트 다항식은 아펠 다항식열을 이루므로, 이는 음계산법으로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적을 수 있다.

갈루아 군

인 경우, 기약원이다. 인 경우, 기약원이다.

다음과 같은 다항식열 을 정의하자.

이들 다항식의 위의 분해체갈루아 군은 항상 대칭군이다.[1][2][3]:274, Example 8(b)

Remove ads

요약
관점

확률론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096713)

물리학에서의 에르미트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Remove ads

역사

에르미트 다항식은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1810년 정의하였다.[4] 이후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이들을 1859년 자세히 연구하였다.[5] 샤를 에르미트는 이 함수들에 대하여 1864년 연구하였고,[6][7] 이에 따라 에르미트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응용

에르미트 다항식은 양자역학에서 양자 조화 진동자의 에너지 고유상태의 파동 함수에 등장한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