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에토미데이트
향정신성 화합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에토미데이트[3](Etomidate, USAN, INN, BAN, 아미데이트(Amidate)로 판매)는 전신마취 유도 및 진정작용[4]을 위해 사용되는 단시간 작용 정맥 주사 마취제이다. 탈골된 관절 정복, 기관내삽관, 심장율동전환 및 전기 경련 요법과 같은 단시간 시술에 사용된다. 1964년 얀센 제약에서 개발되었고 1972년 유럽에서, 1983년 미국에서 정맥 주사제로 도입되었다.[5]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주사 시 정맥 통증과 골격근 움직임이 있다.[6]
Remove ads
의학적 사용
진정 및 마취
응급 상황에서 에토미데이트는 진정제-최면제 약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의식하 진정[7][8] 및 신속도입마취를 위해 마취 유도에 사용된다.[9][10] 이 약물은 작용 발현이 빠르고 안전한 심혈관 위험 프로필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유도제보다 혈압의 현저한 하락을 유발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마취제로 사용된다.[11][12] 또한 에토미데이트는 쉬운 투여량 프로필, 제한적인 환기 억제, 히스타민 방출 부족 및 심근 및 뇌 허혈로부터의 보호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10] 따라서 에토미데이트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사람에게 좋은 유도제이다.[9] 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두개내압을 감소시키고 정상적인 동맥압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마취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5][13][14][15][16]
패혈증 환자의 경우, 한 번의 약물 투여는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7]
언어 및 기억력 테스트
에토미데이트의 또 다른 사용은 뇌의 뇌전증성 중심을 제거하기 위한 엽절제술을 시행하기 전에 환자의 언어 측면화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에토미데이트 언어 및 기억력 테스트 또는 eSAM이라고 불리며 몬트리올 신경학 연구소에서 사용된다.[18][19] 그러나 후향적 코호트 연구만이 이 테스트를 위한 에토미데이트의 사용 및 안전성을 지지한다.[20]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제
에토미데이트는 마취제로서의 작용 및 사용 외에도 부신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효소적 생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22] 정맥 또는 비경구 투여가 가능한 유일한 부신 스테로이드 합성 억제제로서, 고코르티솔증의 신속한 조절이 필요하거나 경구 투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유용하다.[21][22][23]
Remove ads
사형 집행에 사용
미국 플로리다주는 2017년 8월 24일 마크 제임스 아세이 (53세)의 사형 집행 절차에 이 약물을 사용했다. 아세이는 에토미데이트를 약물 중 하나로 사용하여 사형에 처해진 미국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었다. 에토미데이트는 미다졸람을 진정제로 대체한다. 제약회사는 사형 집행을 위한 미다졸람 구입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에토미데이트 다음에는 마비제인 로쿠로늄 브로마이드가 투여되었고, 마지막으로는 심장을 멈추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염화 칼륨 주사 대신 아세트산 칼륨이 사용되었다. 아세트산 칼륨은 2015년 오클라호마에서 실수로 처음 사용되었다.[24]
부작용
요약
관점
에토미데이트는 부신 스테로이드 생산에 중요한 효소인 스테로이드 11β-수산화효소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부신 피질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합성을 억제한다. 이는 원발성 부신 억제를 유발한다.[25][26] 집중치료실에서 중증 외상 환자의 진정작용을 위해 지속적인 에토미데이트 주입을 사용하는 것은 부신 억제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27] 에토미데이트의 지속적인 정맥 투여는 부신 피질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5일 이상 에토미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주입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폐렴과 같은 감염성 원인으로 인해 25%에서 44%로 증가했다.[27]
에토미데이트 유발 부신 억제 때문에 패혈증 환자에 대한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부신 기능 부전 위험이 있는 이 환자군에서 단일 에토미데이트 일회 투여 후 코르티솔 수치가 최대 72시간 동안 억제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이러한 이유로 많은 저자들은 에토미데이트가 패혈성 쇼크가 있는 중환자에게 절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8][29][30] 왜냐하면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30][31] 그러나 다른 저자는 에토미데이트의 안전한 혈역학적 프로필과 명확한 해로운 증거 부족으로 인해 패혈증 환자에 대한 에토미데이트 사용을 계속 옹호한다.[13][32] 자브레 등(Jabre et al.)의 연구는 기관내삽관 전 신속도입마취에 사용된 단일 용량의 에토미데이트가 일시적인 부신 억제를 유발하더라도 케타민과 비교하여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3] 또한, 홀(Hohl)이 실시한 최근 메타분석에서는 에토미데이트가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10] 이 메타분석의 저자는 에토미데이트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릴 통계적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홀은 에토미데이트가 패혈증 환자에게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할 의무를 제안하며, 사용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10] 다른 저자들[34][35][36]은 에토미데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예방적 스테로이드 용량(예: 히드로코르티손)을 투여하도록 조언하지만, 결장직장 수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 하나의 작은 전향적 대조 연구[36]만이 에토미데이트를 투여받는 모든 환자에게 스트레스 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거의 32,000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에토미데이트는 마취 유도에 사용될 때 프로포폴을 투여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사망 위험이 2.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에토미데이트를 투여받은 환자는 또한 심혈관 이환율이 유의하게 더 높고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더 길었다.[37] 이 연구의 후향적 설계로 인해 데이터에서 어떠한 확실한 결론도 도출하기 어렵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에토미데이트를 사용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자극 검사의 둔화와 관련이 있다.[26] 이 효과의 임상적 영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또한, 에토미데이트와 오피오이드 및 벤조디아제핀을 병용하는 것은 에토미데이트 관련 부신 기능 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가정된다.[38][39]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 대한 후향적 증거만 존재하며, 이 상호작용의 임상적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에토미데이트는 주사 시 작열감,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표재성 혈전정맥염 발생률이 높다(프로포폴보다 높은 비율).[40]
약리학

약력학
(R)-에토미데이트는 S-거울상 이성질체보다 10배 더 강력하다. 낮은 농도에서 (R)-에토미데이트는 β2 및 β3[42] 소단위체를 포함하는 GABAA 수용체의 알로스테릭 조절인자이다.[43] 더 높은 농도에서는 GABA 없이 전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알로스테릭 작용제 역할을 한다. 그 결합 부위는 이 수용체의 막관통 도메인에서 베타 및 알파 단백질 소단위체 (β+α−) 사이에 위치한다. β3 함유 GABAA 수용체는 에토미데이트의 마취 작용에 관여하는 반면, β2 함유 수용체는 이 약물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일부 진정 및 다른 작용에 관여한다.[44]
약물동태학
일반적인 용량에서 마취는 약 5-10분 동안 유도되지만, 약물 대사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약 75분이다. 이는 에토미데이트가 혈장에서 다른 조직으로 재분배되기 때문이다.
Remove ads
대사
에토미데이트는 혈장에서 고도로 단백질과 결합하며, 간 및 혈장 에스터레이스에 의해 비활성 생성물로 대사된다. 이는 지수적 감쇠를 나타낸다.
제형
에토미데이트는 일반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35% 수용액에 에토미데이트 2 mg/mL를 함유하는 투명 무색 주사액으로 제공되지만, 지질 유화액 제제(동등한 강도)도 도입되었다. 에토미데이트는 원래 라세미 혼합물로 제형화되었지만,[45] R-형이 그 광학 이성질체보다 훨씬 더 활성이 강하다.[46] 나중에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약물로 재제형화되어 임상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전신마취제가 되었다.[47]
오락용 약물로의 사용
에토미데이트는 홍콩에서 '스페이스 오일'(Space oil, 중국어: 太空油)[48] 또는 싱가포르에서 '케타민 팟'(Ketamine pod, 흔히 K팟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알려진 전자담배 액상으로 만들어졌다.[49][50] 또한 삼속 및 케타민을 포함한 다른 약물과 혼합될 수 있다.[51][48]
홍콩
에토미데이트는 약사 및 독극물 규정(Cap. 138A)에 따라 1급 독극물로 규제되며, 이에 따르면 에토미데이트를 무단으로 소지하는 경우 최대 10만 홍콩 달러의 벌금과 2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52] 스페이스 오일 수입 증가로 인해 2024년 정책 연설에서 에토미데이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토미데이트는 2025년 2월 14일부터 위험 약물 조례(Cap. 134)에 의해 규제 약물로 분류되며, 이에 따르면 스페이스 오일의 불법 소지 또는 흡연, 흡입, 섭취 및 주사는 최대 7년의 징역형과 100만 홍콩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으며, 에토미데이트 밀매 또는 불법 수입은 최대 종신형과 500만 홍콩 달러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51][53]
싱가포르
싱가포르에서 에토미데이트는 2025년 9월 1일부터 마약 오용법에 따라 C등급 약물로 분류되었다. 이는 베이프 (2018년 2월 1일부터 싱가포르에서 불법이며, 케타민과 유사한 부작용 때문에 싱가포르에서 K팟으로 알려져 있음)에서 에토미데이트 남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54] 에토미데이트 판매자, 유통업자 및 수입업자는 2년에서 20년 사이의 강제 징역형과 2에서 15대의 강제 태형에 처해질 수 있다. 베이프 관련 범죄에 대한 처벌도 강화되어, 최소 500싱가포르 달러의 벌금 및 징역형에 처해지며, 베이프 사용자 또한 승인된 재활 센터 또는 약물 재활 센터에서 강제 재활을 받아야 한다.[54][55][56][57]
대한민국
에토미데이트의 오남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에토미데이트를 2024년 12월 마약류안전관리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경찰청 등 수사기관과 보건의료 관련 협회(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 등)에 통보했다고 밝혔으며,[58] 2025년 2월 28일 엔-피롤리디노 프로토니타젠 등 6개 다른 물질과 함께 마약 또는 향정신성의약품에 지정이 확정되었다.[59]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