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엔비디아 테그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엔비디아 테그라(NVIDIA Tegra)는 ARM 프로세서를 채용한 엔비디아사의 단일 칩 시스템이다. 이 칩은 스마트폰, PDA 등의 휴대용 기기를 위해 개발되었다.

2008년 2월에 Tegra APX 2500, 2008년 6월에 Tegra 6xx product line, 2009년 2월에 Tegra APX 2600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APX 시리즈는 스마트폰을 겨냥한 반면, 600과 650시리즈는 넷북과 MID(Mobile Internet Devices) 시장을 위한 프로세서이다. 2010년 1월에 새로운 세대 tegra 250이 출시되었으며 사양은 다음과 같다.
사양
요약
관점

테그라 2
2세대의 테그라는 두개의 1GHz Cortex A9 코어와 ULP Geforce(ultra low power)라 명명된 GPU, 싱글채널 DDR2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당 32KB/32KB의 L1 캐시 1MB의 L2 캐시가 탑재되었다. 또한 코어와 GPU가 오버클럭된 3D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모델도 있다.
테그라 2는 SoC 하드웨어 코덱이 지원하는 포맷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소프트웨어 가속을 하더라도 SIMD 연산인 ARM NEON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아 ARM NEON을 지원하는 동클럭의 이전 세대 싱글코어 AP보다 동영상 디코딩 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스냅드래곤 S3 프로세서와 비교하여 유일하게 성능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듀얼코어 프로세서이다.
테그라 3 (칼엘)
3세대의 테그라는 네개의 1.3Ghz Cortex A9 코어와 "컴패니언" 코어로 불리는 저전력 저클럭의 서브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엔비디아는 로드가 낮을 때 다른 코어는 모두 오프라인 상태로 만들고 컴패니언 코어만 사용해 연산을 하여 전력소모를 최대 61%까지 줄였다고 주장한다.[3] 이 새로운 방식의 코어로 인해 테그라 3는 종종 4+1 코어로 불린다.
이전 세대의 테그라와는 달리 NEON SIMD 명령어를 탑재하였으며 2560x1600 해상도의 화면 출력과 1080p H264 High-Profile @ 40 Mbps의 하드웨어 동영상 가속을 지원한다.
테그라 4 (웨인)
- 네개의 ARM Cortex-A15 코어와 저전력 공정의 Cortex-A15 컴패니언 코어 CPU 1.9ghz
- 72코어 ULP 지포스 GPU
- 2013년 초 출시
테그라 4i (그레이)
- ARM Cortex A9 쿼드코어 2.3Ghz CPU
- 테그라4와 테그라3 사이의 성능
- 28 nm HPM 공정
- 원칩 3G/4G 모뎀
- 60코어 ULP 지포스 GPU
- 2013년 출시
테그라 K1 (로건)
네개의 ARM Cortex-A15(r3) 코어
- 28 nm 공정
- ARM v7 프로세서
- 192코어 케플러 GPU (16/32bit 365GFLOPS)
- 2014년 출시
테그라 X1 (에리스타)
- 네개의 ARM Cortex-A57 코어와 네개의 ARM Cortex-A53 코어
- 20 nm 공정
- ARM v8 프로세서
- 256코어 맥스웰 GPU
(16bit 1024GFLOPS, 32bit 512GFLOPS)
- 2015년 출시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