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엔포스3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엔포스3(nForce3) 칩셋은 엔비디아가 개발한 미디어, 통신 프로세서이다. 애슬론 64 프로세서에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간략 정보 지원 CPU, 지원 소켓 ...

기능

요약
관점

애슬론 64가 런칭되었을 때 엔비디아 엔포스3 프로150과 VIA K8T800, 이렇게 두 개의 칩셋만 이용이가능하였다. 150 칩셋은 VIA가 800 MHz의 온전한 AMD 사양을 구현하였을 때 600 MHz 하이퍼트랜스포트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일 때문에 비판을 받았으나 150의 전반적인 성능은 괜찮은 편이었다.

차기 리비전은 이 누락된 부분을 수정하였고, 하이퍼트랜스포트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엔포스3 칩셋은 CPU와 최대 8 GB/초의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고대역 장치를 사용 시 시스템 병목 현상을 줄이게 된다. 이를테면, 기가비트 이더넷은 125 MB/초로 전송한다. 이더넷이 칩셋에 없었다면 포화된 기가비트 이더넷 링크가 공유 133 MB/초 PCI 버스의 대역 중 93%를 사용하게 된다.

또, 150은 여러 기능이 눈에 띄게 빠져있다. 칩셋의 차기 리비전들은 이 누락 부분을 수정하였다. 이 칩셋은 각기 다른 버전으로 제공되며 소켓 유형과 기능을 반영한다.

  • nForce3 250 - 소켓 754: 기본 칩셋, 800HT는 온칩 기가비트 랜 또는 온칩 방화벽을 포함하지 않음.
  • nForce3 250Gb - 소켓 754 또는 939, 800HT는 기가비트 랜과 온칩 방화벽을 포함함.
  • nForce3 Ultra - 소켓 939, 1000HT, 기가비트 랜, 방화벽, 듀얼 채널 언버퍼(unbeffered) (Athlon 64/Athlon 64 FX)
  • nForce3 Pro250 - 소켓 940, 1000HT, 기가비트 랜, 방화벽 (옵테론)

엔포스3의 250 리비전은 세계 최초의 네이티브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 및 하드웨어 최적화 방화벽을 갖추고 있다. 엔비디아 방화벽 기술은 액티브아머 보안 네트워크 엔진을 이용한다. 이로써 방화벽이 칩 상에서 기능하며 이론적으로 CPU 및 증가하는 스루풋의 부하를 줄여준다. 이 방화벽은 또한 IAM(Intelligent Application Manager)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기반 필터링을 제공한다.

그러나 엔포스3 칩셋에서 빠진 기능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엔포스2 보드에서 보이던, 품질이 좋은 내장형 사운드스톰 오디오였는데, 비용적인 이유로 제거된 것으로 짐작된다. 엔포스 3 칩셋은 역사적인 노스브리지/사우스브리지 조합과 반대되는 싱글 다이 솔루션이며 오디오 기능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남겨두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엔포스3는 또한 직렬 ATA(SATA) 기술, RAID 0+1 스트리핑 및 미러링을 지원한다. 이 칩셋은 4개의 높은 대역폭의 SATA-150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Remove ads

윈도우 비스타 비호환

엔비디아는 윈도우 비스타 공식 출시 전에 해당 운영 체제용 AGP 기반 엔포스2용 칩셋 드라이버를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윈도우 비스타 출시 이후 엔비디아는 2007년 2월 말 엔포스3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므로 엔비디아는 비스타에 64비트 프로세서용으로 설계된 칩셋을 지원하지 않는 유일한 주요 메인보드 칩셋 제조업체가 되었다. 윈도우 비스타에 패키징된 칩셋 드라이버의 이용은 가능하지만 엔포스2와 3 칩셋용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므로 하드웨어를 고루 활용하지 못하고 일부 기능이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는 IDE와 SATA 드라이브의 안전한 제거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