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스타리그 목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99년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개최되는 스타리그의 리그 목록에 대해 서술한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사용 맵: Paradoxxx_mycube, Nostalgia, Guillotine, 신개마고원
- 우승: 박용욱, 준우승: 강민
NHN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
다음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 사용맵: Outsider, 신의정원 (예선 한정 사용), 왕의 귀환 (본선 사용맵), Holy World SE (16강부터 사용), 단장의 능선 (16강부터 사용)
- 우승: 이제동 준우승: 박명수
EVER 스타리그 2009
- 사용 맵: 엘니뇨, 태풍의눈, 단장의 능선 (36강), 투혼 (16강에서 추가)
- 8강부터는 단장의 능선이 신 단장의 능선으로 바뀌게됨.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 사용 맵: 태풍의 눈, 투혼, Great Barrier Reef (36강)
- 태풍의 눈, 투혼, Great Barrier Reef, 매치포인트 (16강)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치러진 최후의 시즌
- 사용 맵: 네오그라운드제로, 네오일렉트릭써킷, 글라디에이터, 신저격능선
- 우승: 허영무, 준우승: 정명훈
Remove ads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로 치러진 최초의 시즌이자 최후의 시즌. (이후 군단의 심장)
- 스타리그 최초로 7전 4선승제 도입 (4강, 3-4위전, 결승)
- 사용 맵: WCS묻혀진 계곡, WCS오하나, WCS안티가 조선소, WCS여명
- 우승: 정윤종 (로열로더) 준우승: 박수호 (옐로우로더)
- 결승전 장소: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 종목 전환과 함께 로고도 새로이 변경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으로 치러지는 최초의 시즌.
-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의 일원으로 치러지는 시즌
- 전 시즌 우승자에게 시드가 주어지지 않음(GSL과의 WCS Korea 통합으로 2013 WCS 코리아 시즌1 망고식스 GSL의 시드가 대신 주어짐)
- 사용 맵:벨시르 잔재, 아킬론 황무지, 우주정거장, 뉴커크재개발지구, 돌개바람, OGN 광안리, 아나콘다
- 우승: 조성주 (로열로더) 준우승: 정윤종
- 결승전 장소: 코엑스 D홀
- 이후 대회가 열리지 않음으로 인해 잠정 중단, 사실상 마지막 스타리그
이벤트 리그
2000 온게임넷 왕중왕전
- 리그기간 : 2000년 12월 4일 ~ 2000년 12월 28일
- 특이사항
- 6인 Full League
- 온게임넷 최초의 왕중왕전
- 우승, 준우승 선수에게 차기 리그 시드배정
- 최초로 공식맵에 Neo라는 접두어를 사용하기 시작
- 결승전은 FINAL 2000이라는 부제를 내세움
- 결승장소 : 건국대학교 새천년기념관
- 사용 맵:Neo Blaze, Ice Temple, Deep Purple, Neo Jungle Story
- 우승 기욤 패트리, 준우승 국기봉
- 온게임넷 공식 전적에는 포함되지 않음
경기 결과
기욤패트리 | 4승 1패 |
김동수 | 2승 3패 |
봉준구 | 2승 3패 |
최진우 | 0승 5패 |
강도경 | 3승 2패 |
국기봉 | 4승 1패 |
결승전 | |||
국기봉 | 2 | ||
기욤패트리 | 3 |
2002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 리그기간 : 2002년 1월 12일 ~ 2002년 2월 22일
- 특이사항
- Full League 출전선수 6명 제한을 위한 와일드카드 경기 실시
- 참가선수별 테마적용
- 선수당 1일 2경기(더블헤더) 부분적용
- 우승, 준우승 선수 차기리그 시드배정
- 엄정김(엄재경,정일훈,김태형) 트리오 중계진의 마지막 방송
- 결승장소 : 장충체육관
- 사용 맵: Neo Vertigo, Neo Legacy of Char, Neo Silent Vortex, Neo Lost Temple
- 우승 홍진호, 준우승 조정현
- 온게임넷 공식 전적에는 포함되지 않음
와일드카드전
김정민 | 3승 1패 |
기욤패트리 | 1승 3패 |
조정현 | 2승 2패 |
본선
조정현 | 3승 2패 |
임요환 | 2승 3패 |
김정민 | 3승 2패 |
장진남 | 0승 5패 |
홍진호 | 4승 1패 |
김동수 | 3승 2패 |
플레이오프
조정현 | 2승 0패 |
김동수 | 1승 1패 |
김정민 | 0승 2패 |
결승전 | |||
홍진호 | 3 | ||
조정현 | 0 |
신한은행 Pre 마스터즈
- 리그기간 2007년 3월 5일 ~ 2007년 3월 7일
- 특이사항
- 8강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 모든 경기가 3전 2선승제 방식으로 진행한다.
- 프리 마스터즈에서 우승하면 신한은행 마스터즈 4강에 합류한다.
- 사용 맵: 815 Ⅲ, Neo Arkanoid, Reverse Temple, 신 백두대간
- 우승:변형태 준우승:이병민 공동 3위:박명수, 박태민
- 온게임넷 공식 전적에 포함됨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박명수 | 2 | |||||||||
조용호 | 0 | |||||||||
이병민 | 2 | |||||||||
박명수 | 0 | |||||||||
이병민 | 2 | |||||||||
박성준 (삼성) | 0 | |||||||||
변형태 | 2 | |||||||||
이병민 | 0 | |||||||||
오영종 | 1 | |||||||||
박태민 | 2 | |||||||||
변형태 | 2 | |||||||||
박태민 | 0 | |||||||||
변형태 | 2 | |||||||||
전상욱 | 1 | |||||||||
신한은행 마스터즈
- 리그기간 : 2007년 3월 17일
- 장소 :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홀
- 특이사항
- 역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우승자와 신한 프리 마스터즈 우승자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펼치는 경기
- 우승시에는 마스터즈 전용 우승컵과 기념 반지를 제공하며, 차기 스타리그 4번 시드 수여
- 우승자 이윤열이 차기 시즌 2번 시드를 이미 획득했기 때문에, 신한은행 시즌3 4위였던 한동욱이 4번 시드 획득
- 경기 직전에 프로리그 중계권 도입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린 바 있음
- 우승 이윤열, 준우승 마재윤, 공동 3위 한동욱, 변형태
- 온게임넷 공식 전적에 포함됨
준결승전 | 결승전 | |||||
이윤열 | 3 | |||||
변형태 | 1 | |||||
이윤열 | 3 | |||||
마재윤 | 1 | |||||
한동욱 | 1 | |||||
마재윤 | 3 | |||||
Remove ads
역대 결승전 결과
- 취소선 표시는 프로게이머 자격이 영구 제명되어 기록이 없어진 선수를 의미함.
역대 결승전 기록실
-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포함
- 영구 제명된 선수는 제외
- 이벤트 리그 기록은 제외
최다 우승자
최다 스타리그 결승 진출자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