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산 신씨
한국의 성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산 신씨(靈山辛氏)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영산 신씨(靈山 辛氏) 시조 신경(辛鏡)은 송나라 8학사[1]의 일원으로 고려에 東來하여, 1109년 10월 29일, 고려 개경 개성부 순덕왕후 사저에서 태어나신 고려高麗17대 국왕 인종仁宗(어린 나이로 왕위(王位)에 올라 선정(善政)을 베푸셨고, 음률(音律)과 서화(書畫)에 능(能)하셨음)께서 즉위하신 1122년5월15일이후,1138년(인종1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從一品 上 文官인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金紫光錄大夫 門下侍郞平章事)의 관직을 얻으시어 고려에 머무르시며, 경남 영산의 영취산이 중국의 영취산과 산세가 비슷하다 하시어 본관本貫을 慶尙南道 昌寧郡 靈山面에 자리하시고, 묻혀계신곳은 高麗 仁宗께서 계시던 개경이시다. [2] 포항에 있는 4세 신몽삼의 묘에 영주신지묘라고 되어 있는데, 《신씨성관고(辛氏姓貫考)》에서는 영주(寧州)는 중국에 없고, 우리나라 녕변(寧邊)의 옛 지명이라 하며,지금의 감숙성을 송나라때엔 영주(寧州)라고 불렀다.
Remove ads
역사
9세손 신천(辛蕆)이 1294년(충렬왕 20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고,[3] 신천의 동생 신혁(辛革)은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었다. 신혁의 손자 신예(辛裔)가 충목왕 때 취성부원군(鷲城府院君)의 칭호를 하사받았다.[4] 공민왕 때 신예의 동생 신부(辛富)는 취산군(鷲山君)의 호를 받았으며, 신돈(辛旽)은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使司)의 공직을 얻었다.[5]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0명, 공신 7명을 배출하였다. 신부의 손자인 신인손(辛引孫)이 세종 때 대제학에 오르고, 신인손의 아들 신석조(辛碩祖)는 세조 때 이조참판을 지냈다.
분파
인물
항렬자 (영산파)
인구
- 2000년 영산 신씨 83,798명 + 영월 신씨 67,489명 = 151,287명
- 2015년 영산 신씨 102,521명 + 영월 신씨 84,905명 = 187,426명
- 2020년 영산 신씨 102,631명 + 영월 신씨 85,100명 = 187,731명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