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금역
서울지하철 3, 5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오금역(梧琴驛, Ogeum station)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과 가락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5호선 마천지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이 역부터 압구정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이 역부터 지축역까지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이 역부터 구파발역까지 서울특별시 구간이다.
Remove ads
역사
- 1996년 3월 30일(토요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강동~마천 구간 추가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0년 2월 18일(목요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오금 구간 길이 연장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환승역이 됨
- 2025년 : 수도권 전철 3호선 오금역~하남시청 구간 길이 연장 착공
- 2033년 : 수도권 전철 3호선 오금역~하남시청 구간 길이 연장 개통과 함께 예정
개요
심야에 수도권 전철 3호선 1편성[3]이 주박한다.
특징
역번호가 52로 같은 게 특징이다.
역 구조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4] 개통은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앞섰으나 당초부터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오금역 구간 연장 개통 및 환승을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역은 기존 마천지선 역에 증설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1부를 공유한다. 개찰구는 두 역 모두 각각 지하 1층에 있으며, 지하 3층에 환승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마천지선이 지하 2층에,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지하 4층에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의 경우 이 역 진입 전에 건넘선이 존재하여 상행 선로(대화 방향)를 이용해 역주행해 대화 방향 승강장에 정차한 후 회차선을 거치지 않고, 바로 회차해 대화·구파발행으로 바뀐 채로 운행할 때가 가끔 있으며, 이 때가 X자형 선로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출입구는 7개다. 1·2·7번 출입구는 오금동에 있고, 3번~6번 출입구는 가락동에 있다.
3호선 승강장
경찰병원 ↑ |
| 상 |
시·종착역 |
5호선 승강장
방이 ↑ |
| 상 |
↓ 개롱 |
Remove ads
주변
사진
- 1번 출입구
- 3호선 대화 방향 승강장 스크린도어(서울메트로 시절)
- 5호선 마천 방향 역명판
- 3호선 대화 방향 승강장 안내표시기(서울메트로 시절)
- 3호선 역명판
이용객 변동
3호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2월 18일(목요일)부터 12월 31일(금요일)까지인 3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Remove ads
인접한 역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