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오르카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오르카냐
Remove ads

안드레아 디 치오네 디 아르칸젤로 (Andrea di Cione di Arcangelo, 1308년경 – 1368년 8월 25일)는 오르카냐(Orcagna)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피렌체에서 활동하던 이탈리아의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다. 그는 피렌체 대성당의 자문가로 활동했고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파사드 건설을 감독했다.[1] 그의 '스트로치 제단' (1354–57년)은 가톨릭의 신조와 교황의 권위에 대한 근원이라는 그리스도의 새로운 역할을 정의한 것으로 유명하다.[2]

간략 정보 오르카냐Andrea di Cione di Arcangelo, 본명 ...
Thumb
피렌체 우피치의 야외 미술관에 위치한 안드레아 오르카냐의 조각상. 니콜로 바찬티가 조각했다.
Remove ads

작품

오르카냐의 작품에는 다음과 같다e:

  • 피렌체 산타 마리아 노벨라의 '스트로치 디 만토바' 예배당에 위치한 "예수 그리스도 제단화" (1354–57년)
  • 오르산미켈레의 장막 (1359년 완성) - "이탈리아 고딕 미술의 가장 완벽한 작품"으로 여겨진다.[3]
  • 프란츠 리스의 걸작 '죽음의 무도'에 영감을 준 프레스코 '죽음의 승리'.
  • 프레스코 '십자가형' - 십자가를 주변으로 다양한 각도를 띠며 검은색 배경과 최후의 만찬 (1365년)의 일부가 묘사되어 있다.[4]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모자이크 장식과 장식창은 오르카냐가 맡은 것으로, 그는 1359년 오르비에토 대성당의 감독관이 되었다.

제자

오르카냐의 제자 및 유산에는 다음과 같다:

  • 넬로 디 반니 - 14세기 피사의 화가로, 캄포 산토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베르나르도 넬로 또는 조반니 팔코네와 동일 인물로 추측된다.[5]
  • 톰마소 델 마차 - 조르조 바사리는 톰마소 디 마르코라고 불렀다[6]
  • 야코포 디 치오네 - 안드레아 오르카냐의 형제로 조각가 및 건축가이었다.[7]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