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깃값 문제


를 생각하자.
열린집합
및 연속 함수
가 주어졌고,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오스굿 조건, 영어: Osgood condition).



![{\displaystyle |f(t,y)-f(t,z)|\leq g(|y-z|)\qquad \forall (t,y),(t,z)\in [t_{0},t_{0}+a]\times U}](//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0b3df508d6f5f8907e6a861a56556c838c2b5de)
오스굿 유일성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에 대하여, 위 초깃값 문제는 어떤
에 대하여 유일한 국소적 해
를 갖는다.
오스굿 유일성 정리에서
(
)를 취하면 피카르-린델뢰프 정리를 얻는다.
국소적 해의 존재는 페아노 존재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유일성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두 해
를 갖는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인
가 존재한다. 이제
![{\displaystyle {\tilde {s}}=\sup\{t\in [t_{0},s]\colon \phi (t)=\psi (t)\}\in [t_{0},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962e2c865a1cf1c97ab33b57ed28aef5a7e4e6b2)
![{\displaystyle h\colon [{\tilde {s}},s]\to [0,\infty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bebf11f823e26b18e400d4d6256c4f459a72ceb)

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이다. 따라서

이며, 이는 모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