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온산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온산읍
Remove ads

온산읍(溫山邑)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속해 있으며 소재지이다. 온산읍에는 온산공업단지가 위치해 있는데 중화학공업단지와 비철금속 업체들이 입주해 있다. 공업단지로 인해 이 일대는 다른 지역에 비해 SO2, NO2, O3, CO, PM10 등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서 1986년 3월 18일부터 대기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되어 보다 엄격한 대기환경기준을 적용하고 있다.[1] 최봉욱 등의 연구에 따르면, 울산 및 온산 지역 중 온산 일대, 특히 원산리가 오염물질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2]

간략 정보 온산읍 溫山邑, 로마자 표기 ...
Remove ads

역사

  • 1879년 온양면과 분리되어 온산면(溫山面)이 되었다.
  • 1914년 4월 1일 청량면 사방, 목도, 처용, 신기, 달포, 산하동과 온북면 기산동, 산성동을 편입하고 11개리로 개편하였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온산면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
  • 1961년 9월 1일 온산면의회가 해산되었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온산면이 되었다.
  • 1974년 4월 1일 국가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지정.
  • 1975년 10월 1일 온양면 덕신리와 청량면 용암리, 학남리를 온산면에 편입하였다.
  • 1985년 10월 15일 공단조성지역 거주민의 이주대책 사업으로 16개마을 2,600여세대가 덕신리로 이주하였다.
  • 1987년 1월 1일 용암리를 청량면으로 환원하였다.
  • 1987년 6월 4일 면사무소를 대정리에서 덕신리로 이전하였다.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온산면이 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온산면이 되었다.
  • 1996년 2월 1일 온산면을 온산읍으로 승격.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이 되었다.
  • 2013년 8월 1일 울산 신일반산업단지 조성으로 학남리와 처용리, 청량면 용암리간의 경계가 일부 조정되었다.
Remove ads

행정 구역

온산읍은 13개 법정리와 37개 행정리, 141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2014년 1월 1일 기준으로 10,746세대 24,884명(외국인 제외)인데 그 중 94%가 덕신리에 거주하고 있으며, 온산공단이 조성되어 주민이 거의 없는 법정리가 많다. 읍소재지는 덕신리이다.

자세한 정보 법정리, 한자 ...

주요 시설

교육 기관

교통 시설

도로

국도 제31호선이 온산공단을 지나며 서생면, 청량면과 연결된다. 이 구간은 과거 지방도 제1019호선이었다가 지방도 지정이 해제된 후 국도가 된 구간이다.

철도

온산선이 읍의 남부를 지나며 대정리에 온산역이 있지만 온산선은 화물열차만 운행한다. 온산읍에서 가장 가까운 여객취급역은 온양읍 남창리에 소재한 남창역이다.

온산면의회

온산면의회는 1952년부터 1961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이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