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아벨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들이 두 개의 정수 등급(grading)
(
p
,
q
)
∈
Z
2
{\displaystyle (p,q)\in \mathbb {Z} ^{2}}
을 가진다고 하자. 이 경우,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
r
p
,
q
{\displaystyle E_{r}^{p,q}}
는 다음과 같은 대상들로 이루어진다.
어떤 정수
r
0
∈
Z
{\displaystyle r_{0}\in \mathbb {Z} }
모든
r
≥
r
0
{\displaystyle r\geq r_{0}}
에 대하여,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
E
r
p
,
q
{\displaystyle E_{r}^{p,q}}
공경계 사상
d
r
p
,
q
:
E
r
p
,
q
→
E
r
p
+
r
,
q
+
1
−
r
{\displaystyle d_{r}^{p,q}\colon E_{r}^{p,q}\to E_{r}^{p+r,q+1-r}}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모든 정수
r
≥
r
0
{\displaystyle r\geq r_{0}}
에 대하여,
d
r
∘
d
r
=
0
{\displaystyle d_{r}\circ d_{r}=0}
이다.
⋯
→
E
r
p
−
2
r
,
q
−
2
+
2
r
→
d
r
E
r
p
−
r
,
q
−
1
+
r
→
d
r
E
r
p
,
q
→
d
r
E
r
p
+
r
,
q
+
1
−
r
→
d
r
E
r
p
+
2
r
,
q
+
2
−
2
r
→
⋯
{\displaystyle \cdots \to E_{r}^{p-2r,q-2+2r}{\xrightarrow {d_{r}}}E_{r}^{p-r,q-1+r}{\xrightarrow {d_{r}}}E_{r}^{p,q}{\xrightarrow {d_{r}}}E_{r}^{p+r,q+1-r}{\xrightarrow {d_{r}}}E_{r}^{p+2r,q+2-2r}\to \cdots }
H
(
E
r
p
,
q
)
=
ker
d
r
p
,
q
/
im
d
r
p
−
r
,
q
−
1
+
r
≅
E
r
+
1
p
,
q
{\displaystyle H(E_{r}^{p,q})=\ker d_{r}^{p,q}/\operatorname {im} d_{r}^{p-r,q-1+r}\cong E_{r+1}^{p,q}}
이다.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의 경우 대신
E
p
,
q
r
{\displaystyle E_{p,q}^{r}}
로 쓰고, 이 경우 공경계 사상 대신 경계 사상
∂
r
:
E
p
,
q
r
→
E
p
−
r
,
q
−
1
+
r
r
{\displaystyle \partial _{r}\colon E_{p,q}^{r}\to E_{p-r,q-1+r}^{r}}
을 사용한다.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수열
E
2
p
,
q
{\displaystyle E_{2}^{p,q}}
의 형상화
그림과 같이, 보통 스펙트럼 열은 주어진
r
{\displaystyle r}
에 대한 일련의 2차원 행렬들로 형상화한다. 즉, 스펙트럼 열은 "쪽"이
r
0
,
r
0
+
1
,
…
{\displaystyle r_{0},r_{0}+1,\dots }
인 "책"을 이루며, 책의
r
≥
r
0
{\displaystyle r\geq r_{0}}
번째 쪽에는
(
p
,
q
)
{\displaystyle (p,q)}
에 의하여 지표화된 2차원 행렬이 수록되어 있다.
수렴과 퇴화
스펙트럼 열
E
r
p
,
q
{\displaystyle E_{r}^{p,q}}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각
(
p
,
q
)
{\displaystyle (p,q)}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r
0
(
p
,
q
)
{\displaystyle r_{0}(p,q)}
가 존재한다고 하자.
d
r
p
−
r
,
q
+
r
+
1
=
0
∀
r
≥
r
0
(
p
,
q
)
{\displaystyle d_{r}^{p-r,q+r+1}=0\qquad \forall r\geq r_{0}(p,q)}
d
r
p
,
q
=
0
∀
r
≥
r
0
(
p
,
q
)
{\displaystyle d_{r}^{p,q}=0\qquad \forall r\geq r_{0}(p,q)}
그렇다면, 주어진
(
p
,
q
)
{\displaystyle (p,q)}
에 대하여
E
r
p
,
q
{\displaystyle E_{r}^{p,q}}
는 충분히 큰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같아진다. 이를
E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
라고 하고,
E
r
p
,
q
{\displaystyle E_{r}^{p,q}}
가 여과 지표 (濾過指標, 영어 : filtration index )
p
{\displaystyle p}
에 대하여
E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
로 수렴 (收斂, 영어 : converge , abut )한다고 한다. 이는 기호로 다음과 같이 적는다.
E
r
p
,
q
⇒
p
E
∞
p
,
q
{\displaystyle E_{r}^{p,q}\Rightarrow _{p}E_{\infty }^{p,q}}
보통
E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
는 여과
F
∙
E
∞
n
{\displaystyle F^{\bullet }E_{\infty }^{n}}
가 갖추어져 있는 대상
E
∞
n
{\displaystyle E_{\infty }^{n}}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E
∞
p
,
q
=
F
p
E
∞
p
+
q
F
p
+
1
E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frac {F^{p}E_{\infty }^{p+q}}{F^{p+1}E_{\infty }^{p+q}}}}
이 경우 마찬가지로
E
r
p
,
q
⇒
p
E
∞
n
{\displaystyle E_{r}^{p,q}\Rightarrow _{p}E_{\infty }^{n}}
로 표기한다.
스펙트럼 열
E
r
p
,
q
{\displaystyle E_{r}^{p,q}}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r
0
{\displaystyle r_{0}}
가 존재한다면,
E
r
p
,
q
{\displaystyle E_{r}^{p,q}}
가
r
0
{\displaystyle r_{0}}
에서 퇴화 (退化, 영어 : degenerate )한다고 한다.
d
r
p
,
q
=
0
∀
p
,
q
∈
Z
,
r
≥
r
0
{\displaystyle d_{r}^{p,q}=0\qquad \forall p,q\in \mathbb {Z} ,\;r\geq r_{0}}
스펙트럼 열이 퇴화하는 것은 스펙트럼 열이 수렴하는 것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第一四分面spectrum列, 영어 : first-quadrant spectral sequence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스펙트럼 열이다.
만약
p
<
0
{\displaystyle p<0}
또는
q
<
0
{\displaystyle q<0}
이라면
E
r
p
,
q
=
0
{\displaystyle E_{r}^{p,q}=0}
즉, 모든 쪽에서 성분이 오직 제1 사분면 에서만 영 대상 이 아닌 스펙트럼 열이다. 사실,
r
{\displaystyle r}
번째 쪽에서 성분이 제1 사분면에만 존재한다면 그 다음에 오는 모든 쪽에서 성분들은 제1 사분면에서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조건은 첫 번째 쪽에서만 확인하면 된다.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은 항상 수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분면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의 경우
E
∞
p
,
q
=
E
max
{
p
+
1
,
q
+
2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E_{\max\{p+1,q+2\}}^{p,q}}
이며,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의 경우 역시
E
p
,
q
∞
=
E
p
,
q
max
{
p
+
1
,
q
+
2
}
{\displaystyle E_{p,q}^{\infty }=E_{p,q}^{\max\{p+1,q+2\}}}
이다.
코호몰로지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제1 사분면 코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
2
p
,
q
⇒
p
E
∞
p
+
q
{\displaystyle E_{2}^{p,q}\Rightarrow _{p}E_{\infty }^{p+q}}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셋째 쪽의 처음 몇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
⋮
⋮
⋮
E
3
0
,
2
E
3
1
,
2
E
3
2
,
2
E
3
3
,
2
⋯
E
3
0
,
1
E
3
1
,
1
E
3
2
,
1
E
3
3
,
1
⋯
E
3
0
,
0
E
3
1
,
0
E
3
2
,
0
E
3
3
,
0
⋯
_
=
|
⋮
⋮
⋮
⋮
ker
d
2
0
,
2
ker
d
2
1
,
2
ker
d
2
2
,
2
im
d
2
0
,
3
ker
d
2
3
,
2
im
d
2
1
,
3
⋯
ker
d
2
0
,
1
ker
d
2
1
,
1
ker
d
2
2
,
1
im
d
2
0
,
2
ker
d
2
3
,
1
im
d
2
1
,
2
⋯
E
2
0
,
0
E
2
1
,
0
coker
d
2
0
,
1
coker
d
2
1
,
1
⋯
_
{\displaystyle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E_{3}^{0,2}&E_{3}^{1,2}&E_{3}^{2,2}&E_{3}^{3,2}&\cdots \\E_{3}^{0,1}&E_{3}^{1,1}&E_{3}^{2,1}&E_{3}^{3,1}&\cdots \\E_{3}^{0,0}&E_{3}^{1,0}&E_{3}^{2,0}&E_{3}^{3,0}&\cdots \end{matrix}}}\right.\qquad =\qquad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ker d_{2}^{0,2}&\ker d_{2}^{1,2}&{\tfrac {\ker d_{2}^{2,2}}{\operatorname {im} d_{2}^{0,3}}}&{\tfrac {\ker d_{2}^{3,2}}{\operatorname {im} d_{2}^{1,3}}}&\cdots \\\ker d_{2}^{0,1}&\ker d_{2}^{1,1}&{\tfrac {\ker d_{2}^{2,1}}{\operatorname {im} d_{2}^{0,2}}}&{\tfrac {\ker d_{2}^{3,1}}{\operatorname {im} d_{2}^{1,2}}}&\cdots \\E_{2}^{0,0}&E_{2}^{1,0}&\operatorname {coker} d_{2}^{0,1}&\operatorname {coker} d_{2}^{1,1}&\cdots \end{matrix}}}\right.}
넷째 쪽의 처음 몇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
⋮
⋮
⋮
E
4
0
,
2
E
4
1
,
2
E
4
2
,
2
E
4
3
,
2
⋯
E
4
0
,
1
E
4
1
,
1
E
4
2
,
1
E
4
3
,
1
⋯
E
4
0
,
0
E
4
1
,
0
E
4
2
,
0
E
4
3
,
0
⋯
_
=
|
⋮
⋮
⋮
⋮
ker
d
3
0
,
2
ker
d
3
1
,
2
ker
d
3
2
,
2
ker
d
3
3
,
2
im
d
3
0
,
4
⋯
ker
d
2
0
,
1
ker
d
2
1
,
1
ker
d
2
2
,
1
im
d
2
0
,
2
coker
d
3
0
,
3
⋯
E
2
0
,
0
E
2
1
,
0
coker
d
2
0
,
1
coker
d
3
0
,
2
⋯
_
{\displaystyle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E_{4}^{0,2}&E_{4}^{1,2}&E_{4}^{2,2}&E_{4}^{3,2}&\cdots \\E_{4}^{0,1}&E_{4}^{1,1}&E_{4}^{2,1}&E_{4}^{3,1}&\cdots \\E_{4}^{0,0}&E_{4}^{1,0}&E_{4}^{2,0}&E_{4}^{3,0}&\cdots \end{matrix}}}\right.\qquad =\qquad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ker d_{3}^{0,2}&\ker d_{3}^{1,2}&\ker d_{3}^{2,2}&{\tfrac {\ker d_{3}^{3,2}}{\operatorname {im} d_{3}^{0,4}}}&\cdots \\\ker d_{2}^{0,1}&\ker d_{2}^{1,1}&{\tfrac {\ker d_{2}^{2,1}}{\operatorname {im} d_{2}^{0,2}}}&\operatorname {coker} d_{3}^{0,3}&\cdots \\E_{2}^{0,0}&E_{2}^{1,0}&\operatorname {coker} d_{2}^{0,1}&\operatorname {coker} d_{3}^{0,2}&\cdots \end{matrix}}}\right.}
즉, 이 스펙트럼 열은 다음과 같은 성분들로 수렴한다.
|
⋮
⋮
⋮
⋮
E
∞
0
,
2
E
∞
1
,
2
E
∞
2
,
2
E
∞
3
,
2
⋯
E
∞
0
,
1
E
∞
1
,
1
E
∞
2
,
1
E
∞
3
,
1
⋯
E
∞
0
,
0
E
∞
1
,
0
E
∞
2
,
0
E
∞
3
,
0
⋯
_
=
|
⋮
⋮
⋮
⋮
ker
d
3
0
,
2
ker
d
3
1
,
2
ker
d
3
2
,
2
ker
d
3
3
,
2
im
d
3
0
,
4
⋯
ker
d
2
0
,
1
ker
d
2
1
,
1
ker
d
2
2
,
1
im
d
2
0
,
2
coker
d
3
0
,
3
⋯
E
2
0
,
0
E
2
1
,
0
coker
d
2
0
,
1
coker
d
3
0
,
2
⋯
_
{\displaystyle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E_{\infty }^{0,2}&E_{\infty }^{1,2}&E_{\infty }^{2,2}&E_{\infty }^{3,2}&\cdots \\E_{\infty }^{0,1}&E_{\infty }^{1,1}&E_{\infty }^{2,1}&E_{\infty }^{3,1}&\cdots \\E_{\infty }^{0,0}&E_{\infty }^{1,0}&E_{\infty }^{2,0}&E_{\infty }^{3,0}&\cdots \end{matrix}}}\right.\qquad =\qquad \left|{\underline {\begin{matrix}\vdots &\vdots &\vdots &\vdots \\\ker d_{3}^{0,2}&\ker d_{3}^{1,2}&\ker d_{3}^{2,2}&{\tfrac {\ker d_{3}^{3,2}}{\operatorname {im} d_{3}^{0,4}}}&\cdots \\\ker d_{2}^{0,1}&\ker d_{2}^{1,1}&{\tfrac {\ker d_{2}^{2,1}}{\operatorname {im} d_{2}^{0,2}}}&\operatorname {coker} d_{3}^{0,3}&\cdots \\E_{2}^{0,0}&E_{2}^{1,0}&\operatorname {coker} d_{2}^{0,1}&\operatorname {coker} d_{3}^{0,2}&\cdots \end{matrix}}}\right.}
수렴한 성분들이
E
∞
∙
{\displaystyle E_{\infty }^{\bullet }}
의 여과 에 의하여 주어진다고 하자.
E
∞
p
,
q
=
F
p
E
∞
p
+
q
F
p
+
1
E
∞
p
+
q
{\displaystyle E_{\infty }^{p,q}={\frac {F^{p}E_{\infty }^{p+q}}{F^{p+1}E_{\infty }^{p+q}}}}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E
2
1
,
0
≅
E
∞
1
,
0
=
F
1
E
∞
1
F
2
E
∞
1
=
F
1
E
∞
1
{\displaystyle E_{2}^{1,0}\cong E_{\infty }^{1,0}={\frac {F^{1}E_{\infty }^{1}}{F^{2}E_{\infty }^{1}}}=F^{1}E_{\infty }^{1}}
ker
d
2
0
,
1
≅
E
∞
0
,
2
=
F
0
E
∞
1
F
1
E
∞
1
=
E
∞
1
F
1
E
∞
1
{\displaystyle \ker d_{2}^{0,1}\cong E_{\infty }^{0,2}={\frac {F^{0}E_{\infty }^{1}}{F^{1}E_{\infty }^{1}}}={\frac {E_{\infty }^{1}}{F^{1}E_{\infty }^{1}}}}
coker
d
2
0
,
1
≅
E
∞
2
,
0
=
F
2
E
∞
2
F
3
E
∞
2
=
F
2
E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d_{2}^{0,1}\cong E_{\infty }^{2,0}={\frac {F^{2}E_{\infty }^{2}}{F^{3}E_{\infty }^{2}}}=F^{2}E_{\infty }^{2}}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열을 적을 수 있다.
0
→
E
2
1
,
0
≅
F
1
E
∞
1
↪
E
∞
1
→
E
∞
1
F
1
E
∞
1
≅
ker
d
2
0
,
1
↪
E
2
0
,
1
→
d
2
0
,
1
E
2
2
,
0
↠
coker
d
2
0
,
1
≅
F
2
E
∞
2
↪
E
∞
2
{\displaystyle 0\to E_{2}^{1,0}\cong F^{1}E_{\infty }^{1}\hookrightarrow E_{\infty }^{1}\to {\frac {E_{\infty }^{1}}{F^{1}E_{\infty }^{1}}}\cong \ker d_{2}^{0,1}\hookrightarrow E_{2}^{0,1}{\xrightarrow {d_{2}^{0,1}}}E_{2}^{2,0}\twoheadrightarrow \operatorname {coker} d_{2}^{0,1}\cong F^{2}E_{\infty }^{2}\hookrightarrow E_{\infty }^{2}}
여기서
ker
d
2
0
,
1
{\displaystyle \ker d_{2}^{0,1}}
와
coker
d
2
0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d_{2}^{0,1}}
을 생략하면, 다음과 같은 완전열 을 얻는다.
0
→
E
2
1
,
0
→
E
∞
1
→
E
2
0
,
1
→
d
2
0
,
1
E
2
2
,
0
→
E
∞
2
{\displaystyle 0\to E_{2}^{1,0}\to E_{\infty }^{1}\to E_{2}^{0,1}{\xrightarrow {d_{2}^{0,1}}}E_{2}^{2,0}\to E_{\infty }^{2}}
이를 5항 완전열 (五項完全列, 영어 : five-term exact sequence )이라고 한다.
호몰로지 제1 사분면 스펙트럼 열
마찬가지로, 수렴하는 제1 사분면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E
p
,
q
2
⇒
p
E
p
+
q
∞
{\displaystyle E_{p,q}^{2}\Rightarrow _{p}E_{p+q}^{\infty }}
이 주어졌다고 하고, 수렴한 성분들이
E
∙
∞
{\displaystyle E_{\bullet }^{\infty }}
의 여과 에 의하여 주어진다고 하자.
E
p
,
q
∞
=
F
p
E
p
+
q
∞
F
p
−
1
E
p
+
q
∞
{\displaystyle E_{p,q}^{\infty }={\frac {F_{p}E_{p+q}^{\infty }}{F_{p-1}E_{p+q}^{\infty }}}}
그렇다면, 스펙트럼 열의 처음 몇 성분은 다음과 같다.
E
1
,
0
2
≅
E
1
,
0
∞
=
F
1
E
1
∞
F
0
E
1
∞
=
E
1
∞
F
0
E
1
∞
{\displaystyle E_{1,0}^{2}\cong E_{1,0}^{\infty }={\frac {F_{1}E_{1}^{\infty }}{F_{0}E_{1}^{\infty }}}={\frac {E_{1}^{\infty }}{F_{0}E_{1}^{\infty }}}}
ker
∂
2
,
0
2
≅
E
2
,
0
∞
=
F
2
E
2
∞
F
1
E
2
∞
=
E
2
∞
F
1
E
2
∞
{\displaystyle \ker \partial _{2,0}^{2}\cong E_{2,0}^{\infty }={\frac {F_{2}E_{2}^{\infty }}{F_{1}E_{2}^{\infty }}}={\frac {E_{2}^{\infty }}{F_{1}E_{2}^{\infty }}}}
coker
∂
2
,
0
2
≅
E
0
,
1
∞
=
F
0
E
∞
2
F
−
1
E
∞
2
=
F
0
E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partial _{2,0}^{2}\cong E_{0,1}^{\infty }={\frac {F_{0}E_{\infty }^{2}}{F_{-1}E_{\infty }^{2}}}=F_{0}E_{\infty }^{2}}
이따라서, 다음과 같은 열을 적을 수 있다.
E
2
∞
↠
E
2
∞
F
1
E
2
∞
≅
ker
∂
2
,
0
2
↪
E
2
,
0
2
→
∂
2
,
0
2
E
0
,
1
2
↠
coker
∂
2
,
0
2
≅
F
0
E
1
∞
↪
E
1
∞
↠
E
1
∞
F
0
E
1
∞
≅
E
1
,
0
2
→
0
{\displaystyle E_{2}^{\infty }\twoheadrightarrow {\frac {E_{2}^{\infty }}{F_{1}E_{2}^{\infty }}}\cong \ker \partial _{2,0}^{2}\hookrightarrow E_{2,0}^{2}{\xrightarrow {\partial _{2,0}^{2}}}E_{0,1}^{2}\twoheadrightarrow \operatorname {coker} \partial _{2,0}^{2}\cong F_{0}E_{1}^{\infty }\hookrightarrow E_{1}^{\infty }\twoheadrightarrow {\frac {E_{1}^{\infty }}{F_{0}E_{1}^{\infty }}}\cong E_{1,0}^{2}\to 0}
여기서
ker
∂
2
,
0
2
{\displaystyle \ker \partial _{2,0}^{2}}
와
coker
∂
2
,
0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partial _{2,0}^{2}}
을 생략하면, 다음과 같은 5항 완전열 을 얻는다.
E
2
∞
→
E
2
,
0
2
→
∂
2
,
0
2
E
0
,
1
2
→
E
1
∞
→
E
1
,
0
2
→
0
{\displaystyle E_{2}^{\infty }\to E_{2,0}^{2}{\xrightarrow {\partial _{2,0}^{2}}}E_{0,1}^{2}\to E_{1}^{\infty }\to E_{1,0}^{2}\to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