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완화곡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완화곡선은 도로 선형을 설계할 때 시점 및 종점에서 접속하는 노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선을 말한다. 완화곡선을 설치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직선부에서 원곡선부로 차량이 이동할 때 물리적,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속도를 줄이지 않고 쾌적하게 이동하게끔 하기 위해서이다.[1]

종류

다음 곡선들의 일부분을 완화곡선으로 도로 선형에 적용한다.[2]

  • 3차 포물선곡선(cubic parabolic curve) : 과거 철도에 사용
  • 반파장 sine 체감곡선(successive diminution curve) : 철도에 사용.
  • 나선형 곡선(spiral curve)
  • 렘니스케이트 곡선(lemniscate curve)
  • 클로소이드 곡선(clothoid curve) : 나선의 일종.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 고속도로에서 사용
Thumb
클로소이드

계산

완화곡선은 운전자가 평면곡선부 주행에 적응하도록 적정한 길이의 완화곡선을 설치하는데 그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3]

( : 완화곡선장 (m),  : 설계속도 (km/h),  : 주행시간 (2초))
자세한 정보 설계속도 (km/h), 완화곡선장 (m)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