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욧츠노구치
일본 에도 막부가 관리했던 4개의 교역창을 가리키는 일본 역사용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욧츠노구치(일본어: 四つの口)는 근세 일본(에도 시대) 시기 일본이 외국과의 교역을 위해 열어둔 4개의 창구를 가리키는 일본 역사학계의 용어로, 구체적으로는 중국 및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맡은 "나가사키구"(長崎口), 조선과의 통신을 담당한 대마도를 부르는 "대마구"(対馬口), 류큐 왕국과의 교역을 담당한 조슈번을 부르는 "조슈구"(薩摩口), 그리고 에조치와의 교역을 담당한 "마츠야마구"(松前口)를 가리킨다.[1][2]

1960년대 일본 역사학계는 근세 일본의 대외 정책을 외국과의 교역을 차단했다는 사코쿠를 정설로 받아들였지만, 이 시기 이후의 일본 역사학계의 연구는 에도 막부가 대외 정책을 실질적으로 관리했다는 것을 통설로 받아들이고 있다.[3][4] 이를 상징하는 '욧츠노구치'라는 표현은 1981년 아라노 야스노리가 처음으로 사용했고, 2010년대부터는 일본 고등학교에서도 공식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1][5]
Remove ads
욧츠노구치의 역사와 사코쿠
사코쿠 이전
16세기 중후반
1547년 명나라와 일본이 마지막으로 감합무역을 한 뒤 양국의 교역은 중단되었지만 양국 민간인들의 교역은 감합무역이 중단된 이후에도 활발히 이루어졌다.[6] 동시에 일본 해안의 다이묘들은 유럽 각국이 교역 거점으로 삼은 동남아시아로 진출하는 한편 중국의 비밀 교역집단과 무역 네트워크를 형성해 동중국해 일대에 상업 거점을 마련했는데 일본 역사학계에서는 이를 '왜구적상황'(倭寇的状況)이라고 불렀다.[6][2][7]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지방 다이묘들이 독립적으로 해외무역을 진행하는 한편, 포르투갈과 같은 유럽 국가들과도 교역을 시작했다.[8] 하지만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키면서, 일본은 조선과 명나라와 관계가 험악해지고 교역도 중단되고 말았다.[9][10][1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책 변화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